1900년 전라북도(全羅北道) 만경(萬頃) 남일면(南一面) 묘라제평(竗羅堤坪) 답안(畓案) 고문서-치부기록류-전답안 경제-농/수산업-전답안 전북 김제군 [印] 1개 1.2*1.2 1개(적색, 원형) 부안 동도 전주이씨가 부안 동도 전주이씨가 1900년 4월에 부안(扶安)의 전주이씨(全州李氏) 문중(門中)에서 매입한 전라북도(全羅北道) 만경(萬頃) 남일면(南一面) 묘라제평(竗羅堤坪)의 답안(畓案). 1900년 4월에 부안(扶安)의 전주이씨(全州李氏) 문중(門中)에서 매입한 전라북도(全羅北道) 만경(萬頃) 남일면(南一面) 묘라제평(竗羅堤坪)의 답안(畓案)이다. 묘라제는 오늘날의 전북 김제시 성덕면 묘라리에 해당하는 지역이다. 문서의 맨 끝에, "大韓光武四年庚子四月 日萬頃李福宗處給價壹萬{扌+八}千伍百兩買得畓案 舍音吳[印]"라고 적혀 있다. 즉 만경의 이복종(李福宗)에게서 18,500냥을 주고 매입하였고, 마름[舍音] 오(吳)가가 작성하였다고 하였다. 이 문서의 소장처가 부안 선은동의 전주이씨가라는 점을 고려할 때, 전주이씨가에서 매입한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마름 오가는 이복종의 마름으로 추정된다. 이 문서에는 만경 남일면 묘라제평에 산재한 논 가운데 어느 곳을 누가 얼마큼 소작하고 있는 지를 밝히고 있다. 예컨대 방자답(方字畓) 17두락(斗落)은 부수로는 38부(負) 1야미(夜味)인데 김운경(金雲卿)이 현재 소작인, 즉 시작(時作)이라고 적고 있다. 방자답은 7필지이며, 개자답(盖字畓) 10필지, 식자답(食字畓) 3필지, 차자답(此字畓) 5필지, 장자답(場字畓) 1필지, 화자답(化字畓) 1필지, 발자답(髮字畓) 1필지, 신자답(身字畓) 1필지, 만자답(萬字畓) 1필지, 목자답(木字畓) 1필지, 백자답(白字畓) 2필지, 재자답(在字畓) 1필지, 의자답(衣字畓) 1필지, 제자답(制字畓) 2필지, 수자답(樹字畓) 1필지, 명자답(鳴字畓) 4필지, 봉자답(鳳字畓) 3필지, 뢰자답(賴字畓) 1필지, 식자전(食字田) 3필지, 장자대전(場字垈田) 1필지 등이다. 묘라제평의 규모는 논 20석 9두, 밭 9두로, 합계 20석 18두이며, 결부(結負)로는 9결 92부 9속이다. 이 문서가 소장된 부안의 선은동 전주이씨가에는 산송(山訟) 관련 소지(所志)가 다수 소장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19세기 초부터 20세기 초까지 작성되었던 명문 5백여 점이 전하고 있어서 이 가문이 당시에 경제적으로 상당한 기반을 축적하였음을 알 수 있다. 한편 이 가문의 것으로 추정되는 호적문서 31건이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의 고문서DB로 구축되어 있어서 작성연대가 간지로만 적혀 있는 명문과 소지의 정확한 작성연대를 파악하는데 상당한 도움을 얻을 수 있다. 호적문서는 1801년부터 1888년까지 부안 동도면 선은동에서 계속 작성되었는데, 여기에 기재된 호주들의 이름은 이양호(李養灝), 이양락(李養洛), 이양순(李養淳), 이양식(李養湜), 이익용(李翼容), 이겸용(李謙容), 이규함(李圭咸), 이규정(李奎井) 등이다.○ 원문텍스트(사진 번호 순서 다시 고쳐야 함!!!) 全羅北道萬頃南一面竗羅堤坪畓案 方字畓十七斗落所耕三十八負一夜味 時作金雲卿 方字畓六斗落所耕十三負七束一夜味 時作李允化 方字畓五斗落所耕十一負一束二夜味 時作李允化 方字畓九斗落所耕二十三負七束二夜味 時作金允權 方字畓三斗落所耕七負六束一夜味 時作白光洙 方字畓四斗落所耕九負五束一夜味 時作白德云 方字畓十二斗落所耕二十六負七束一夜味 時作任道亨 盖字畓九斗落所耕二十六負一夜味 時作李允化 盖字畓十五斗落所耕三十三負六束一夜味 時作任殷叔 盖字畓六斗落所耕十五負六束一夜味 時作吳權守 盖字畓六斗落所耕十五負四束一夜味 時作任文卿 盖字畓十斗落所耕二十五負七束一夜味 時作吳成洛 盖字畓十二斗五升落所耕二十七負一束一夜味 時作任京夫 盖字畓六斗落所耕十二負三束一夜味 時作金有卿 盖字畓九斗落所耕二十四負五束一夜味 時作金成八 盖字畓九斗落所耕二十一負七束一夜味 時作李允化 盖字畓十二斗五升落所耕二十七負一束一夜味 時作任在弼 食字畓四斗落所耕七負四束二夜味 時作金大然 食字畓六斗落所耕十六負七束一夜味 時作姜處仁 食字畓四斗落所耕十一負八束一夜味 時作李允化 此字畓十三斗落所耕二十五負七束一夜味 時作吳道君 此字畓九斗落所耕二十二負三束一夜味 時作金有卿 此字畓九斗落所耕二十二負三束一夜味 時作洪永叔 此字畓十三斗落所耕三十負四束一夜味 時作任德元 此字畓四斗落所耕十一負九束一夜味 時作姜學秀 場字畓九斗落所耕二十四負七束一夜味 時作吳權守 化字畓八斗落所耕二十二負二束一夜味 時作李允化 髮字畓九斗落所耕二十九負四束一夜味 時作任京夫 身字畓六斗落所耕十七負一束三夜味 時作吳光叔 萬字畓四斗落所耕七負三束一夜味 時作吳成洛 木字畓十二斗落所耕二十六負七束五夜味 時作任道亨 白字畓十五斗落所耕三十五負二束一夜味 時作任正三 白字畓六斗落所耕十負二束一夜味 時作白德宗 在字畓 樹字畓十五斗落所耕三十三負二夜味 時作金明臣 衣字畓九斗落所耕二十四負一束三夜味 時作李福宗 制字畓十三斗落所耕二十八負八束三夜味 時作李福宗 樹字畓十三斗落所耕二十三負九束一夜味 時作崔乃元 鳴字畓九斗落所耕十七負七束一夜味 時作洪贊西 鳴字畓八斗落所耕十三負一束一夜味 時作金永煥 鳴字畓九斗落所耕三十負八束一夜味 時作吳權叔 鳴字畓十八斗落所耕四十負一夜味 時作吳權守 鳳字畓十斗落所耕二十三負九束一夜味 時作吳權叔 鳳字畓九斗落所耕二十二負一夜味 時作白光洙 鳳字畓三斗落所耕六負二束一夜味 時作姜學永 賴字畓九斗落所耕二十負三束五夜味 時作任在弼 制字畓三斗落所耕五負二束二夜味 時作吳達元 食字田三斗落所耕九負 時作吳光叔 食字田三斗落所耕七負八束 時作姜處仁 食字田二斗落所耕五負 時作任乃俊 場字垈田一斗落所耕一負 時作金俊京 畓二十石九斗 田九斗 合二十石十八斗所耕九結九十二負九束 大韓光武四年庚子四月 日萬頃李福宗處給價壹萬{扌+八} 千伍百兩買得畓案 舍音吳[印] 已往丁未三月散放畓案旧文件 或有日後事端矣封藏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