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전체 로 검색된 결과 517956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訪鄭老翁【海一】不遇次壁上韻 爲訪高朋到此樓 同深松密村容幽 衰頹吾髮三千丈 仁壽翁年八十秋 人縶草廬懷素志 地連蓬海近名區 夕陽葭露還嘆詠 雅韻賡成愧讓頭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與李厚之【顯坤】相和 自子棲山邂逅難 臨風西望隔雲端 可農可士心兼致 居富居貧志愈完 積歲白頭憐共對 達宵靑眼喜相觀 逢場和律轉淸話 氣味知應總一般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경부

鄕飮酒禮笏記考證序 昔我 健廟嘗頒鄕飮儀節于郡縣俾相講擧于時縉紳縫腋奉行者頗衆至今耆舊往亡有道之者顧竆鄕晩生無由及覩盛際則未嘗不讀是書而愀然興喟也己亥春醇溪李公卸官閒居嘗訪吾親于黃檗山中約會同志諸公共習是禮于溪壇旣而折簡徵其節目一通余惟此書經文多簡疏家瓦見臨事攷擧常患難悉舊藏笏記頗多踈謬於是不揆僣越合取叅瓦而釆輯之其雜出錯見於士冠鄕射戴記諸篇者並皆旁證務從詳悉又逐條作圖以附其首合爲笏記攷證一篇旣訖或有問之者曰古禮之煩絮難行自晦菴夫子而已有是歎要當更加節畧使稍適時宜然後可行當奈何余曰古禮之行於今者上自王朝邦國下泊冠婚喪祭靡不叅酌時王之典折哀羣賢之手或洽或莗浸與古別惟玆飮射數篇獨全周公之舊卽是而觀之古人趍翔拜揖之數酬酌燕樂之節其位置森然曲折如畵使人如復見三代威儀若輕有增則易失本意泥斟酌之權非聖不能安敢議到哉盖嘗思之經禮三百威儀三千其條理名目亦已纖密矣而古人自記居動息日用飮食之間莫不由之故少而習老而安終身用之而不倦令也不然平日所以存養者固已鹵莽疎畧咸不逮古卽臨時遇事欲倅然團束於王帛鍾鼓之場宜其扜格不勝其勞苦之態矣見者不思反之而從又歸咎於世級之愈下精力之遞減殆過言也鳴呼習俗日下禮敎愈壇苟使此等禮俗講行者多難進易退之義明於上孝悌絜敬之風成於下則一種頑廉昌耻遺君後親之說惡能浸漬滋蔓蠱敗人心也哉於此益以見 先王憂患後世之意可謂深且切矣而在今後人對揚闡明之方尤不容少緩也旣以是對仍錄弁卷並以奉質于醇溪丈云新安李埈序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경부

室堂全圖 (省略)按鄭註天子諸侯有左右房大夫士唯有東房西室陳詳道云鄕飮酒薦脯五脡出自左房鄕射記籩豆出自東房大射宰胥薦脯醢由左房鄕飮鄕射大夫禮大射諸侯禮其言皆相類盖言左以有右言東以有西則大夫士之房室與天子諸侯同可知鄭氏大夫士無西房之說恐未然也又朱子曰聘禮賓館于大夫士君使卿還,于.也賓退員右房則大夫亦有右房然鄕飮酒義曰尊兩.于房戶之間賓主共之也以東房西室之制攷之設臺之所正在堂北之中便於賓主共用若有東西兩房則偏於主人一邊而不見其爲共之之義以是觀之鄭氏之說又似有據故儀禮辯名圖亦兩 存之當更攷 大抵今人堂室全失古制故凡吉凶冠昏之所陟降周旋之節一切苟艱牽掣不成次苐甚可歎也有志好禮之士誠能倣此立室以居之以爲吉凶行禮所則亦足爲復古之端而如其無力及此則規地築壇高之爲堂室低之爲門庭以惟幙屛帳之屬遮隔分截皆倣此制又不能及則畵平地以爲堂室門庭之限堊書之兩階而分之然後行禮如家禮所云亦無不可者盖先湏有此始可行禮故輒以此圖爲首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경부

樂賓圖 (二人鼓瑟二人歌)鹿鳴 升四牡 皇人者華 三終歌(升歌三終者謂升堂歌鹿鳴四牡皇皇者華每一篇而一終也 以笙歌詩有聲無詞)笙南陔 白華 華忝 三終(笙人三終者吹笙之人入於堂下奏南陔白華華忝每一篇一終也堂下吹笙堂上升歌)間歌魚麗笙由庚歌南有嘉魚笙崇丘歌南山有臺笙由儀 (三終 間歌三終者間代而作謂之乃間堂上先歌魚麗則堂下笙由庚此爲一終又堂上 歌南有嘉魚則堂下笙崇丘此爲二終又堂上歌南山有臺則堂下笙由儀以爲三終 歌樂與衆聲俱作)合周南關睢葛覃卷耳召南鵲巢來蘋 (三終 合樂三終賈氏謂堂上歌瑟堂下笙磬合奏此六詩也言三終者二南各三終也 孔氏謂堂上下歌瑟及笙幷作也若工歌關睢則笙吹鵲巢合之若工 歌葛覃則笙吹來蘩合之若工歌卷耳則笙吹來蘋合之二說不同朱 子以賈說爲是)司正中庭獻觶圖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성리유설(性理諭說) 性理諭說 性理諭說 고서-집부-별집류 교육/문화-문학/저술-문집 고서 원문 性理諭說 성책 부안 하서 고부이씨가 부안 하서 고부이씨가 성리설을 소개하기 위한 책 주자(朱子)의 성리설(性理說)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만든 책이다. 필사본이며, 단권(單卷)이다. 따로 서문은 없다. 따라서 언제 누가 어떤 목적으로 본서를 만들게 되었는지는 알 수 없다. 성(性)과 이기(理氣)에 관한 이야기가 주를 이룬다. 도판(圖板)은 하나가 보이는데, 심성정도(心性情圖)가 바로 그것이다. 한편 본서는 성리설에 관한 내용만 있는 것이 아니다. 뒤쪽을 보면 우계집서략(牛溪集書略)이라고 하여 우계 성혼(成渾) 선생의 간찰을 일부 발췌하여 실은 부분도 있다. 그런가하면 표지 뒷장에는 몇 몇 한자에 대한 뜻을 한글로 적은 적은 부분도 있다. 한편 본 서에도 정의재장이라는 소장인이 찍혀 있다. 정의재는 부안 출신의 유학자 이기로(李驥魯) 선생의 호(號)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性理喩說 淶洽 朱子曰淶洽二字有深意如浸物於水水若未入只是外面濕內面依前乾必浸之久則透裏皆濕習而熟熟而說脉絡貫通 业學而學之爲言效也 君子成德之名道者謂事物當然之理人之所共由者也德之爲言淂也行道而有淂於心也大要져 始처엄 一切한갈ᄀᆞᆺᄐᆞᆫ 一致한ᄀᆞ지라 看得보아主읏듬 過그릇 患분별 一任한소임 纔잠從븓터 貳 다시 戰戰저허 切要절당종요 約거두良ᄌᆞ연 略강잠 兢兢조심 往往잇ᄃᆞ감 苟잠ᄒᆞᆫ갓諸ᄃᆞ 此等이런 造次밧분적 這裏이ᄀᆞ온 須모롬이物남 一向ᄒᆞᆫᄀᆞᆯ치 匿ᄀᆞ만이 徒속절업 夫놈隨조차 好著됴히너기 術일 隆 이러남 變곳티依ᄀᆞᆺ 且아직 거의 恤분별 替문허딤 粗잠便곧 德어딜 失그름 擧왼 辦장만只오직 去업 累험을 曲곡진要모롬이 ᄒᆞ고저 念 외올 鬻흥졍 格지극 鄕ᄆᆞ알喫著먹으며 입으며坦然훤칠一團ᄒᆞᆫ팅矛盾 矛欲傷人而盾 蔽之不能傷之掣肘 肘欲運動而人挽 之而不能運也隱栝 揉 曲者正方者 皆制木之器也一般ᄒᆞᆫᄀᆞ지一格ᄒᆞᆫ층自家 理會찰화알ᄋᆞ儘多(ᄀᆞ/쟝)유익伎노롯勖경계甚(ᄀᆞ/쟝)期돌負밋恬므던히녀겨戒조심膠거릿기여就즉졔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계약서

土地賣買契約書右契約事ᄂᆞᆫ切有緊用處故伏在<지명>上東面卜星里</지명>後坪內字四九七田四斗落三片結三負八束廤旧文二張果同面<지명>新后里</지명>坪服字太田五九三斗落一片三負八束廤旧文㱏張果同面<지명>內望里</지명>東麓山坂㱏筆伍拾同落廤旧文二張果同面<지명>卜星里</지명>東麓山坂㱏筆參拾同落廤旧文㱏丈配達證明㱏丈圖本二丈幷合九張果新文㱏張価折錢文㱏佰貳拾円依數捧上是遣右人前永永放賣爲去乎日後若有異說則以此文記憑考事<연도>大正元年</연도>陰七月六日<지명>上東面卜星里</지명>二統二戶賣渡人<인명>金奉俊</인명>[印]<지명>東面新后里</지명>一統六戶 保證人<인명>金老爕</인명>[印]里長 <인명>淳錫</인명>[印]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지명>扶安</지명>居<인명>李夏容</인명><인명>李遠馨</인명>右謹言憤迫情由段民以他道之人居在半千里之地不避風寒來到山下向以<인명>都伯元</인명>偸葬事 呈訴則 題音內<인명>都漢</인명>率來査處事敎是故卽地到付則同<인명>都哥</인명>自知其屈渠矣偸埋兩塚私掘之意丁寧納考矣到今避而不見終無就訟之意則 官題之下豈有如許人習乎民以千里孤踪就卞萬無故情由玆敢仰籲於執法之下別般 處分使此他道之人無至狼狽之地望良爲只爲行下向敎是事城主 處分<연도>乙巳</연도>十一月 日咸陽官[署押](題辭)官題之下爲歉隱避更卽捉待是矣若後期猶斷當發至先給猶[官印][官印][官印][官印][官印](背面)摘奸圖形以來事卄???鄕所十四日主人告<인명>金彦述</인명>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929년 송성순(宋星淳) 차용증(借用證) 고문서-증빙류-근현대문서 경제-회계/금융-증서 昭和四年拾貳月五日 宋星淳 昭和四年拾貳月五日 宋星淳 전북 정읍시 [印] 2개 정읍 영원 여산송씨가 정읍 영원 여산송씨가 1929년 2월 5일에 송성순(宋星淳)이 70원을 빌리면서 채권자에게 작성해 준 차용증(借用證). 1929년 2월 5일에 정읍군(井邑郡) 이평면(梨坪面) 청량리(靑良里)에 사는 송성순(宋星淳)이 70원을 빌리면서 채권자에게 작성해 준 차용증(借用證)이다. 이자는 매월 1원당 4전으로 정하였으며, 이듬해 9월말까지 반환하기로 하였다. 송일섭(宋一燮)이 보증인으로 차용인 송성순과 함께 서명 날인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정읍(井邑) 여산송씨(礪山宋氏) 장사택일지(葬事擇日紙) 1 고문서-치부기록류-택기 종교/풍속-민간신앙-택기 전북 정읍시 정읍 영원 여산송씨가 정읍 영원 여산송씨가 정읍(井邑)의 여산송씨(礪山宋氏) 가문(家門)에서 작성한 장사택일지(葬事擇日紙) 정읍(井邑)의 여산송씨(礪山宋氏) 가문(家門)에서 작성한 장사택일지(葬事擇日紙)의 하나이다. 장례를 치루기 위하여 지관(地官)이 장례 날짜와 시간을 선택하고 이를 문서로 작성하여 망자의 가족에게 건네준 것이다. 장사택일지에는 묏자리의 형국과 방향을 비롯해 취토(取土), 개토(開土), 혈심(穴深), 하관(下棺) 등의 시간과 방위를 기록하였다. 문서의 중간에 "坤化命 己亥"로 기록하고 있어서 망자(亡者)가 여자이며 기해생(己亥生)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아들, 손자, 증손까지 기재된 것으로 미루어 망자가 고령에 죽었다는 것도 확인할 수 있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지명>全羅道扶安</지명>居<인명>李夏容</인명><인명>李震容</인명><인명>李遠馨</인명>等右謹言民等有心寒骨冷之痛裂肝罷膽之憤者族人<인명>李得容</인명>先山作害之事也同<인명>得容</인명>素以一家之棄人一鄕之棄人云者也民之五代祖<관직명>監役</관직명>公乃<인명>讓寧大君</인명>七代孫也卽<관직명>洗馬</관직명>公之孫也墳墓在於 治下<지명>栢田面</지명>是乎所去<연도>辛丑年</연도>分本里居<인명>都伯元</인명>爲名漢以沙木驛卒偸埋其母於民之先山禁養內至近之地而適當其時同<인명>得容</인명>楸省次來到山下則同<인명>都漢</인명>好言諭之以錢二十兩暗買成標是乎乃民等則家禍轉遇之致數年不得省墓則全然不知矣去三月日楸行始聞事脉數小諸宗極力收合錢文二十兩還給次來到則同<인명>都漢</인명>去七月日又埋其祖母山於<관직명>監役</관직명>公墳山無步數至近之地狀如貫珠則豈非寒心哉情由仰籲於 明監之下 洞燭敎是後<인명>都漢</인명>捉致法庭渠以常漢已葬於士大夫有官爵先營壓近之罪是白遣刻期掘去以解幽明之痛 行下爲白只爲行下向 敎是事城主 處分<연도>乙巳</연도>十一月 日咸陽官[署押][官印](題辭)<인명>都伯原</인명>率來査處事初十日狀民告<인명>金亨龜</인명>[官印]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모년(某年) 이양호(李養灝) 호구단자(戶口單子) 초(抄) 고문서-증빙류-호적 사회-인구/호적-호구단자/준호구 李養灝 李養灝 전북 부안군 부안 동도 전주이씨가 부안 동도 전주이씨가 모년에 부안군(扶安郡) 동도면(東道面) 선은동리(仙隱洞里)에 사는 이양호(李養灝)가 작성한 호구단자의 초안. 부안군(扶安郡) 동도면(東道面) 선은동리(仙隱洞里)에 사는 이양호(李養灝)가 작성한 호구단자의 초안이다. 작성연대는 알 수 없다. 이양호의 본관은 전주(全州)이며, 나이는 당시 72세로, 처 평산신씨(平山申氏)(70)세와, 아들 이익용(李翼容)(32), 며느리 한양조씨(漢陽趙氏)(32), 손자 이갑길(李甲吉)(12) 등과 함께 살고 있었다. 3대가 어울려 한 집안에 살고 있었던 셈이다. 선은동리는 오늘날의 부안군 부안읍 선은리에 해당하는 지역이다. 이 문서가 만일 1894년 이전에 작성되었다면 이양호가 살고 있었던 당시의 행정구역명은 부안군이 아니라 부안현(扶安縣)이 되어야 한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부안(扶安) 선은동(仙隱洞) 전주이씨(全州李氏) 문중(門中) 용하기편(用下記片) 고문서-치부기록류-용하기 경제-회계/금융-용하기 전북 부안군 부안 동도 전주이씨가 부안 동도 전주이씨가 부안(扶安) 선은동(仙隱洞) 전주이씨(全州李氏) 문중(門中)에서 작성된 용하기(用下記)의 일부. 부안(扶安) 선은동(仙隱洞) 전주이씨(全州李氏) 문중(門中)에서 작성된 용하기(用下記)의 일부이다. 2월 2일, 4일과 4월 16일 등에 지출된 돈의 액수를 적은 것이다. 세목은 적혀 있지 않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835년 김치상(金致相) 방매(放賣)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경제-매매/교역-토지매매명문 道光拾伍年乙未十二月 日 金致相 道光拾伍年乙未十二月 日 金致相 전북 부안군 [着名] 1개 부안 동도 전주이씨가 부안 동도 전주이씨가 1835년 12월에 김치상(金致相)이 부안현 일도평에 있는 논들을 팔면서 작성한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1835년 12월에 김치상(金致相)이 부안현 일도평에 있는 논들을 팔면서 작성한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이다. 그는 이 논들을 매득하여 경작해 왔으나 긴히 돈을 쓸 데가 있어서 팔게 되었다고 매매 사유를 밝히고 있다. 매매 대상이 된 논들은 일도평의 금자답(禽字畓) 3두락지로, 부수로는 3복 3속이 되는 곳과, 같은 금자답 2두락지로, 부수로는 2복 7속이 되는 곳과, 같은 금자답 4두락지로, 부수로는 7복 9속이 되는 곳과, 같은 금자답 2두락지로, 부수로는 5복 2속이 되는 곳과, 2두락지 논에 부수로는 4복 5속이 되는 곳과, 같은 금자답 2두 5승락지로, 부수로는 5복 2속이 되는 곳 등 여섯 곳에 걸쳐 있는 15두락지의 논이었다. 매매가격은 78냥이었다. 그는 구문기 6장을 점련(粘連)하여 매입자에게 넘겨주면서 뒷날 다른 말이 있으면 이 문서를 가지고 증빙하라고 하였다. 방매자 김치상이 자필로 문서를 작성하였으며, 유학 김양곤(金養坤)이 증인으로 거래에 참여하였으나, 이 문서에는 서명하지 않았다. 부안현 일도면은 오늘날의 부안군 동진면 일대로 추정된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和金僉知光三【膺相】慶讌韻 曾生賢子又長生 晩福德門兩世榮 依斗望京稽首日 上堂下氣獻眉觥 親朋宗族稱時慶 鼓舞笙歌樂歲平 一體君親忠孝志 傳於令胤效深誠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宗會日與朴晩醒【明壽】共和 樓近蓬萊別有天 遨遊浮世挾飛仙 淵明情話同連榻 太白歡娛共上船 花樹芳華如作日 桑楡晩景樂餘年 滿堂觴咏勝絲竹 今夕酣歌爭後先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和再從弟柿陰元日韻【乙未】 歲次維新日亦元 儒臣遠賀嗣王孫 人民無祿悲三載 朋友類多作九原 里巷爭燃消厄竹 老夫自樂介眉樽 餘生辛植休明世 女聖經邦德像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和宋伯信【潤德】壽韻 壽躋七耋返先庚 初度得來稟炁淸 白首空添千丈髮 斑衣競上萬年觥 咏詩賓友情懷悉 歌慶笙簧協律平 知是吾公仁者驗 源源福祿一門盈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弧辰述懷【乙巳七月十九日】 行年七耋復回庚 如水光陰再丙申 追感衰翁求自已 同歎兒輩賀佳辰 壽宮豈料方居甲 身世徒嘆竟苦辛 三子羣孫諸婦孝 閨妻偕老協恭寅

상세정보
517956
/25898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