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전체 로 검색된 결과 517956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구산필독(臼山筆牘) 臼山筆牘 臼山筆牘 고서-집부-서간독류 개인-생활-서간 고서 원문 臼山筆牘 성책 부안 하서 고부이씨가 부안 하서 고부이씨가 정의재(精毅齋) 이기로(李驥魯) 선생이 간재(艮齋) 전우(田愚) 선생으로부터 받은 간찰을 모은 것 정의재(精毅齋) 이기로(李驥魯) 선생이 간재(艮齋) 전우(田愚) 선생으로부터 받은 간찰을 모은 것이다. 구산(臼山)은 간재 전우 선생이 쓰시던 여러 호(號) 가운데 하나이다. 40여 통 이상의 편지가 수록되어 있다. 이기로 선생은 간재 선생의 제자로서 부안을 대표하는 유학자였다. 문집으로는 정의재유고(精毅齋遺稿)를 남겼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876년 김인곤(金仁坤) 방매(放賣)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경제-매매/교역-토지매매명문 光緖二年丙子十二月卄四日 金仁坤 光緖二年丙子十二月卄四日 金仁坤 전북 부안군 [着名] 2개 부안 동도 전주이씨가 부안 동도 전주이씨가 1876년(고종 13) 12월 24일에 한량(閑良) 김인곤(金仁坤)이 부안현 하서면 돈지리에 있는 논을 팔면서 작성한 명문(明文). 1876년(고종 13) 12월 24일에 한량(閑良) 김인곤(金仁坤)이 부안현(扶安縣) 하서면(下西面) 돈지리(頓池里)에 있는 논을 팔면서 작성한 명문(明文)이다. 김인곤은 흉년을 당하여 살 길이 막막하자 돈지리 상두동평(常頭洞坪)에 있는 용자답(庸字畓) 3두락지, 부수(負數)로는 8부 5속이 되는 곳을 23냥을 받고 팔았다. 거래시 매입자에게 구문기 1장과 신문기 1장을 넘겨 주었다. 만일 뒤에 이 논을 두고 다른 말이 있으면, 이 문기를 관(官)에 고하여 바로잡으라고 하였다. 답주 김인곤이 문서에 서명하였으며, 김귀만(金貴萬)이 필집(筆執)으로 거래문기를 작성하고 서명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인명>都百彦</인명>高祖塚<인명>都百彦</인명>高祖母塚<인명>都百彦</인명>曾祖父母塚<인명>都百彦</인명>母塚<인명>都百彦</인명>祖母塚<인명>李夏容</인명>曾祖母塚<인명>李夏容</인명>曾祖父塚叅奉公<인명>李夏容</인명>從曾祖塚<인명>李夏容</인명>高祖母塚<인명>李夏容</인명>高祖監役公塚盧塚人家<인명>李夏容</인명>曾祖塚至<인명>都百彦</인명>母塚步數六十六步<인명>李夏容</인명>曾祖塚至<인명>都百彦</인명>母塚坐立俱不見<인명>李夏容</인명>曾祖塚至<인명>都百彦</인명>祖母塚步數二十六步三寸<인명>李夏容</인명>曾祖塚至<인명>都百彦</인명>祖母塚坐立俱見禁葬<인명>李夏容</인명>[署押]應訟<인명>都百彦</인명>[署押]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지명>全羅道扶安</지명><인명>李夏容</인명><인명>李遠馨</인명>右謹言憤痛情由段民等以山訟事昨年至月良中半千里寒徑來到與<인명>都百彦</인명>接訟則 城主分付內<인명>都漢</인명>落課以今年二月內掘移之意納考踏印出給敎是故更無他慮而今月初四日來視則終不掘去故更 告之意言及則同<인명>都漢</인명>言內今二十七日壬子空亡日丁寧掘移云云故忍之至此矣到今則又稱頉退限則 官令之下豈有如許無法之漢乎緣由泣籲於 孝理之下 洞燭敎是後<인명>都哥</인명>捉致法庭嚴囚督掘以雪幽明之痛積善行下爲白只爲行下向敎是事<지명>咸陽</지명> 城主 處分<연도>丙午</연도> 四月 日官[署押](題辭)嚴治督掘次<인명>都伯彦</인명>捉待向事卄八日狀民告<인명>金亨龜</인명>[官印][官印][官印]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922년 김윤문(金允文) 영수증(領收證) 고문서-증빙류-영수증 경제-회계/금융-영수증 大正拾壹年陰拾壹月晦日 金允文 許順烘 大正拾壹年陰拾壹月晦日 金允文 전북 정읍시 [印] 3개 정읍 영원 여산송씨가 정읍 영원 여산송씨가 1922년 음력 11월 그믐날에 김윤문(金允文)이 허순홍(許順烘)에게서 빌려준 정조(正租) 1석(石)을 받고 써 준 영수증(領收證). 1922년 음력 11월 그믐날에 정읍군(井邑郡) 이평면(梨坪面) 청량리(靑良里)에 사는 김윤문(金允文)이 허순홍(許順烘)에게서 빌려준 정조(正租) 1석(石)을 받고 써 준 영수증(領收證)이다. 본문에는 3년 전인 1919년 음력 2월에 정조를 빌려 준 이후 이자를 받은 내력이 자세하게 적혀 있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930년 권선환(權善煥) 차용증서(借用證書) 고문서-증빙류-증서 경제-회계/금융-증서 權善煥 1930 權善煥 전북 정읍시 指章 1개 정읍 영원 여산송씨가 정읍 영원 여산송씨가 권선환(權善煥)이 5원 70전을 빌리면서 채권자에게 작성해 준 차용증서(借用證書). 권선환(權善煥)이 5원 70전을 빌리면서 채권자에게 작성해 준 차용증서(借用證書)이다. 작성연대와 채권자의 이름은 문서에 기재되어 있지 않다. 이자는 1원당 5전으로 하였으며, 1930년 10월 30일까지 지불하기로 약정하였다. 문서의 끝에 권선환이 서명 날인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을해년(乙亥年) 김인상(金仁相) 표(標) 고문서-증빙류-수표 경제-회계/금융-수표 乙亥十一月十八日 金仁相 乙亥十一月十八日 金仁相 전북 부안군 [署押] 1개 부안 동도 전주이씨가 부안 동도 전주이씨가 을해년(乙亥年) 11월 18일에 김인상(金仁相)이 빚을 갚기로 약속하면서 작성한 표(標). 을해년(乙亥年) 11월 18일에 김인상(金仁相)이 상대방에게 진 빚을 갚기로 약속하면서 작성한 표(標)이다. 김인상이 진 빚을 갚지 못하자 그의 아버지까지 나서서 보증에 나서게 되었다. 김인상은 다음달 15일 안으로 빚을 갚겠다고 약속하면서 이 표를 작성하여 채권자에게 넘겨 주었다. 표는 그 자신이 직접 작성하고 서명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876년 모인(某人)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경제-매매/교역-토지매매명문 光緖二年丙子十二月初六日 光緖二年丙子十二月初六日 전북 부안군 부안 동도 전주이씨가 부안 동도 전주이씨가 1876년(고종 13) 12월에 누군가가 부안현(扶安縣) 입하면(立下面)에 있는 밭을 팔면서 작성한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1876년(고종 13) 12월에 누군가가 부안현(扶安縣) 입하면(立下面)에 있는 콩밭과 모시밭을 팔면서 작성한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이다. 문서의 왼쪽이 대각선으로 잘렸기 때문에 방매자와 매입자의 성명은 물론 거래의 자세한 내용을 알기 어렵다. 추정컨대 문서에 적혀 있는 밭의 일부만을 팔기 때문에 구문기를 반으로 잘라서 매입자에게 준 것으로 보인다. 이 문서에 거래된 것으로 적혀 있는 밭은, 하자(荷字) 모시밭 2두 5승락과 직자(職字) 콩밭 4두락이다. 아마 이 중에서 콩밭만을 팔면서 이 문기를 반으로 나누어 매입자에게 주었을 것이다. 밭이 위치한 부안현 입하면은 오늘날의 부안군 보안면에 해당하는 지역이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甲卯龍甲卯入首甲坐庚向巳而得丑破乾仙命<연도>壬寅</연도>金正<연도>己未</연도>火運泊中宮司令戊土金精五庚明氣死穴坤化命<연도>己酉</연도>土洪<연도>丙辰</연도>土主事<연도>庚戌</연도>安葬<연도>戊戌</연도>十二月十八日下棺 巳時開土 同日辰時放金停喪 幷宜庚方納幣□幄取土穴課 從地宜歲壓 無忌呼冲 <연도>癸卯</연도><연도>丁卯</연도>生等人下棺時少避啓殯 同月十七日辰時先破西方發靷 隨時命<연도>戊戌</연도>木白<연도>乙丑</연도>金白<연도>丁酉</연도>火紫<연도>乙巳</연도>金白白主 <연도>辛未</연도><연도>戊子</연도>婦 <연도>戊辰</연도>孫 <연도>庚寅</연도>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부안현(扶安縣) 전주이씨가(全州李氏家) 장사택일지(葬事擇日紙) 문권(文券) 녹명지(錄名紙) 고문서-치부기록류-택기 종교/풍속-민간신앙-택기 全州李氏家 全州李氏家 전북 부안군 부안 동도 전주이씨가 부안 동도 전주이씨가 부안(扶安)의 전주이씨가(全州李氏家)에서 장사택일지(葬事擇日紙)를 정리하는 과정에서 적은 녹명지(錄名紙). 부안(扶安)의 전주이씨가(全州李氏家)에서 장사택일지(葬事擇日紙)를 정리하는 과정에서 적은 녹명지(錄名紙)이다. 문서의 소장자가 문서를 분류하기 위하여 이렇게 정리한 것으로 보인다. 이 묶음에는 신해년과 무술년에 작성된 장사택일지 3장과 "1876년 이규환(李奎煥)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이 함께 들어 있다. 이 문서가 소장된 부안의 선은동 전주이씨가에는 19세기 초부터 20세기 초까지 작성되었던 명문 5백여 점이 전하고 있어서 이 가문이 당시에 경제적으로 상당한 기반을 축적하였음을 알 수 있다. 명문 뿐만 아니라 산송(山訟) 관련 소지(所志)도 다수 소장되어 있다. 한편 이 가문의 것으로 추정되는 호적문서 31건이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의 고문서DB로 구축되어 있어서 작성연대가 간지로만 적혀 있는 명문과 소지의 정확한 작성연대를 파악하는데 상당한 도움을 얻을 수 있다. 호적문서는 1801년부터 1888년까지 부안 동도면 선은동에서 계속 작성되었는데, 여기에 기재된 호주들의 이름은 이양호(李養灝), 이양락(李養洛), 이양순(李養淳), 이양식(李養湜), 이익용(李翼容), 이겸용(李謙容), 이규함(李圭咸), 이규정(李奎井) 등이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次李生【玄升】春湖亭韻 大地春湖不盡流 書樓臨下等波樓 覇縻懷思夢華鶴 蕭灑襟期盟海鷗 全面至淸揚以手 其深無底憚垂頭 能通孟聖觀瀾術 病涉行人繫小舟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次玉果金竹溪韻 竹谷牛溪幾萬年 到今合號問胡然 樂觀鏡面淸如玉 愛取貞姿凜勝仙 暇日吟哦料得少 別天氣味主張全 挹宜嗽口纓宜濯 君子其人物亦賢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次朴晩醒【明壽】除夕韻 我年已得古人稀 況復八旬豈敢希 巧欲韓公吾反拙 瘦如杜甫子猶肥 且休白首窮經足 惟願靑春作伴歸 訪至仙庄幽僻地 松含晩翠一堂圍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來蘇寺六逸會贈座上諸益 溫溫君子住遯溪 居在同鄕年亦齊 歲晩桑楡垂髮鶴 交如淡水照靈犀 竹林樂勝七賢也 洛社會同九老兮 西岳丹楓聊可賞 盤肴壺酒更相携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戊戌宗會與朴晩醒靜虛窩晩悔翁及從弟進士【文祿】國彦肅卿柿陰【八祿】共和 主賓四繞轉淸談 君子心期秋水潭 歲暮桑楡相面對 會成花樹各情含 詩枰協律爭先後 酒榻稱觴共醒酣 衰世此遊還勝事 從容言笑動書菴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次朴晩醒詠輪疾 遭時不幸疾輪回 妖氣鎭淸喜氣開 人號明醫醫不售 經名逐鬼鬼還來 邪何侵犯眞君子 天亦甦生晩就才 吾黨餘存今幾在 願言同醉忘憂盃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甲午十月宗會夕與靜虛窩晩悔翁及從弟進士【文祿】柿陰【八祿】共和 盛會年年摠九親 吾宗敦睦異乎人 家聲華閥簪纓舊 情話靑衫白髮新 學業相勸希孔聖 義庄不置愧純仁 一觴一詠團圓夕 老少同筵意自眞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飮粥【二首】 我本胃虛不嗜粥 强然對案故療飢 原非病者調身策 豈欲庸人致富思 孔氏以餬訂少婦 韓公每畫戒家兒 食前方丈知分外 竚看西成皼服時長幼團圓皆一器 雖云飮粥愈於飢 時時古籍嘗膏味 夜夜寒窻忘餒思 昨日纔過其奈夕 老夫姑舍最難兒 吾民焉得周窮澤 天運循環早晩時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寄李聖希 弟瘠兄肥焉視秦 夢魂頻到瀛洲津 文章寶價超時格 婣睦餘風襲世淳 地勢隔厓便亦濶 病躬無力去難親 參商兩地遙相憶 蓬島深深也了春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桐齋與朴晩醒【明壽】次止浦韻【二首】 一座三人盡我師 詞源酒海不能窺 謀難閨婦吾辭窶 求固壚婆客破疑 肴盡但咬前野蓛 年多空嘆白頭絲 醒能同樂兼文述 氣味從來有素知

상세정보
517956
/25898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