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전체 로 검색된 결과 517956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옥홀(玉笏) 玉笏 玉笏 고서-집부-총집류 교육/문화-문학/저술-시 고서 원문 玉笏 성책 정읍 영원 여산송씨가 정읍 영원 여산송씨가 신묘년(辛卯年) 6월 그믐날에 송경순(宋璟淳), 송진상(宋鎭庠), 서학권(徐鶴權), 백학래(白鶴來) 등의 시(詩)를 모아 필사한 책. 신묘년(辛卯年) 6월 그믐날에 송경순(宋璟淳), 송진상(宋鎭庠), 서학권(徐鶴權), 백학래(白鶴來) 등의 시(詩)를 모아 필사한 책이다. 표제(標題)는 "옥홀(玉笏)"이지만, 내제(內題)는 "수봉두(繡鳳肚)"로 되어 있다. 7언절구의 형식의 시들로, 중국의 두자미(杜子美), 신농씨(神農氏) 등의 행적을 제재(題材)로 삼고 있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자부

심사결(三師訣) 三師訣 三師訣 고서-자부-술수류 종교/풍속-민간신앙-점복자료 고서 원문 三師訣 성책 정읍 영원 여산송씨가 정읍 영원 여산송씨가 1919년에 당사일행(唐師一行), 여사도선(麗師道詵), 국사무학(國師無學) 등 삼사(三師)의 도결(道訣)을 모아 필사한 책. 당사일행(唐師一行), 여사도선(麗師道詵), 국사무학(國師無學) 등 삼사(三師)의 도결(道訣)을 모아 필사한 책이다. 표지에 적힌 글에 따르면, 1919년 11월에 장성석(張星石)이 다시 베낀 뒤에 이 책을 1931년 3월 3일에 정읍군(井邑郡) 이평면(梨坪面) 청량리(靑良里)에 사는 송사언(宋仕彦)에 전해 주었다. 전도서서(傳道書序), 정음정양법(淨陰淨陽法) 등의 글이 실려 있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자부

현묘경(玄妙經) 玄妙經 玄妙經 고서-자부-술수류 종교/풍속-민간신앙-점복자료 고서 원문 玄妙經 성책 정읍 영원 여산송씨가 정읍 영원 여산송씨가 갑술년(甲戌年)에 정읍군(井邑郡) 이평면(梨坪面) 청량리(靑良里)에 사는 송옥산(宋玉山)이 도교(道敎) 관련 자료들을 정리하여 필사한 책 갑술년(甲戌年)에 정읍군(井邑郡) 이평면(梨坪面) 청량리(靑良里)에 사는 송옥산(宋玉山)이 도교(道敎) 관련 자료들을 정리하여 필사한 책이다. 풍수지리가(風水地理家)로 활동하였던 송옥산이 자신의 관심사들을 한데 묶어 정리한 것으로 추정된다. 표지에 "玄妙經 地理書"로 적은 것이 이를 잘 보여준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백미고사(白眉故事) 白眉故事 白眉故事 고서-집부-총집류 교육/문화-문학/저술-문집 고서 원문 白眉故事 성책 정읍 영원 여산송씨가 정읍 영원 여산송씨가 중국(中國)의 고사(故事)를 분야별로 엮어놓은 고사사전(故事事典). 중국(中國)의 고사(故事)를 분야별로 엮어놓은 고사사전(故事事典)이다. 허이충(許以忠)이 편집하고 등지모(鄧志謨)가 교열하여 25부 269류의 고사를 모아 10권 5책으로 간행한 것이다. 목판본이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오현수언(五賢粹言) 五賢粹言 五賢粹言 고서-집부-총집류 교육/문화-문학/저술-문집 고서 원문 五賢粹言 성책 정읍 영원 여산송씨가 정읍 영원 여산송씨가 조광조(趙光祖), 이황(李滉), 이이(李珥), 김장생(金長生), 송시열(宋時烈) 등 조선시대 오현(五賢)의 문집에서 명문(名文)을 발췌하여 편집한 책자. 조광조(趙光祖), 이황(李滉), 이이(李珥), 김장생(金長生), 송시열(宋時烈) 등 조선시대 오현(五賢)의 문집에서 명문(名文)을 발췌하여 편집한 책자이다. 조선 말기의 학자 임헌회(任憲晦)가 전우(田愚)와 신기선(申箕善)에게 명해 만들었다. 14권 2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목판본이고, 1905년에 간행되었다. 임헌회의 문인 전우가 서문을 썼다. 이 서문에 따르면 당시 홍대징(洪大徵)이 활자로 인쇄하려고 하였으나 널리 유포되지 못할 것을 염려하자, 찰방 박만환(朴晩煥)이 자금을 대어 출간하게 되었다고 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기사년(己巳年) 정읍(井邑) 여산송씨(礪山宋氏) 수봉기(收捧記) 고문서-치부기록류-밧자기 경제-회계/금융-밧자기 己巳十月三十日 己巳十月三十日 礪山宋氏宗中 전북 정읍시 정읍 영원 여산송씨가 정읍 영원 여산송씨가 기사년(己巳年) 10월에 정읍(井邑)의 여산송씨(礪山宋氏) 가문(家門)에서 작성한 수봉기(收捧記) 기사년(己巳年) 10월 30일에 정읍(井邑)의 여산송씨(礪山宋氏) 가문(家門)에서 작성한 수봉기(收捧記)로, 종토(宗土)를 소작했거나 돈을 빌려간 사람들의 이름과 도조(賭租) 또는 금액이 기재되어 있다. 송화삼(宋化三) 등 15명의 이름이 적혀 있다. 여산송씨로 추정되는 송씨가 15명 가운데 12명이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935년 송봉만(宋奉萬) 차용증서(借用證書) 고문서-증빙류-증서 경제-회계/금융-증서 宋奉萬 宋奉萬 전북 정읍시 [印] 3개 정읍 영원 여산송씨가 정읍 영원 여산송씨가 1935년에 송봉만(宋奉萬)이 24월을 빌리면서 작성한 차용증서(借用證書). 1935년 음력 3월 12일에 정읍군(井邑郡) 이평면(梨坪面) 청량리(靑良里)에 사는 송봉만(宋奉萬)이 24원을 빌리면서 채권자(債權者)에게 작성해 준 차용증서(借用證書)이다. 채권자의 이름은 문서에 기재되어 있지 않다. 이자는 1원당 4전으로 하였으며, 1935년 음력 10월 25일까지 되돌려주기로 정하였다. 만일 약정기일까지 반환하지 않으며, 익일부터 반환일까지 연체이자를 일일 5전씩으로 계산하여 반환하기로 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지명>東道仙隱洞</지명>後麓路移掘處<인명>李奎井</인명>起訟掘去<인명>李奎井</인명>兄塚名不知人偸塚<인명>李奎井</인명>從嫂塚<인명>李奎井</인명>曾祖母山<인명>尹一炳</인명>十世祖山<인명>尹一炳</인명>先山自尹一炳十世祖至<인명>李奎井</인명>兄塚七十四步三尺四寸坐立俱見是齊自名不知人偸塚至自<인명>尹一炳</인명>十世祖山五十八步四尺二寸坐立俱見是齊自<인명>李奎井</인명>兄塚至<인명>李奎井</인명>曾祖母山十七步坐立俱不見是齊自<인명>李奎井</인명>兄塚至<인명>李奎井</인명>從嫂塚十二步六寸坐立俱不見是齊自<인명>李奎井</인명>兄塚至名不知人偸塚十八步坐立俱見是齊起訟<인명>尹一炳</인명>應訟<인명>李奎井</인명>[官印][官印][官印](背面)觀此圖形李之先山於新塚不滿數十步則謂之李山亦可也况曾有偸塚而李民起訟掘移則亦豈曰非李山乎尹雖曰渠之山麓比諸李山非但步數爲遣執以前日訟掘一事言之則非尹民之山局推可知之事<연도>甲戌</연도>三月十八日知<인명>金光厚</인명>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單子 全羅道扶安縣化民<인명>李奎炫</인명><인명>李洪善</인명><인명>李昌善</인명>等恐鑑伏以民等之十四代祖<인명>讓寧大君</인명>也十三代<인명>順城君</인명>也十二代祖<인명>烏川君</인명>也十一代祖任城守也十代祖成均進士公也九代祖成均進士公也八代祖<관직명>洗馬</관직명>公也七代祖<관직명>叅奉</관직명>公也而墓所在於<지명>果川</지명>而民之六代祖<관직명>監役</관직명>公始寓于治下上<지명>栢田里</지명>而仍葬于本里<지명>大方村</지명>後亥坐之原矣而累百年以來守護禁養矣去<연도>辛丑年</연도>分本里居<인명>都百彦</인명>爲名人偸葬於單靑龍二十步內故呈于本 官卽爲掘去矣去<연도>癸酉</연도>十一月今<지명>校村</지명>居<인명>權秉澤</인명>爲名人肆然偸葬其父於已掘之地故民等卽地來到將以掘移之言晝夜語之則同<인명>權秉澤</인명>言內當此冬節甚難周旋而求山後移埋之意累累哀乞數次手標故民等信之無疑而今秋來到則同<인명>秉澤</인명>終不掘去而又爲容舒云世豈有如許無法不俶之心雖尋常凡夫之塚不可如是慢侮偸葬况於士夫家有官爵之墳墓四山內已掘之處乎噫彼<인명>秉澤</인명>世居<지명>校村</지명>素多邑權自恃豪悍蔑視容踪故民等不勝憤寃玆敢 仰籲於 明政之下伏乞城主閤下特垂矜憐之澤同<인명>秉澤</인명>捉致法庭卽地掘去以保他鄕殘民之先壟之地千萬泣祝行下 向敎 是事城主 前 處分<연도>乙亥</연도>十月 日單子<인명>權秉澤</인명>手記二張接聯慶尙道發[署押](題辭)率來對卞向事十九日狀民[官印]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905년 최치경(崔致京) 방매(放賣)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경제-매매/교역-토지매매명문 光武九年乙巳 田主 崔致京 光武九年乙巳 崔致京 전북 부안군 [着名] 2개 부안 동도 전주이씨가 부안 동도 전주이씨가 1905년(고종 39) 3월 20일 최치경(崔致京)이 콩밭 9두락을 매도하면서 작성한 매매문서 1905년(고종 39) 최치경(崔致京)이 전북 부안군(扶安郡) 하서면(下西面) 호은동(芦隱洞) 도로변에 있는 태종전(太種田) 9두락을 매도하면서 작성해 준 매매 문서이다. 최치경이 이 밭을 팔게 된 이유는 생활비를 마련하기 위해서였다. 매매가는 95냥이었다. 최치경은 본 문서를 작성하면서, 위 밭과 관련하여 이전에 작성되었던 문서도 함께 내 주어야 했으나, 실은 그렇지 못하였다. 그것은 그 문서들이 자기가 살고 있는 집터의 문서와 함께 편철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이 점은 문서에 보이는 "구문기가대문권병부(舊文記家垈文卷並付)"라는 내용을 통하여 알 수가 있다. 그리고 문서 말미를 보면 "차역중 미한 구두봉세차(此亦中米罕九斗捧貰次)"라고 한 부분이 보이는데, "차역중(此亦中)"이란 추가할 내용이라는 의미이다. 그리고 그 뒤의 내용은 최치경이 본 논을 팔면서 매수자로부터 쌀 9되를 빌린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당시 최치경의 생활 모습이 어느 정도로 힘들었는지 짐작할 수 있을 것이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897년 이경전(李慶槇) 방매(放賣)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경제-매매/교역-토지매매명문 建陽二年丁酉二月十四日 幼學 李慶槇 建陽二年丁酉二月十四日 幼學 李慶槇 전북 부안군 [着名] 2개 부안 동도 전주이씨가 부안 동도 전주이씨가 1897년 2월 14일에 유학(幼學) 이경전(李慶槇)이 부안현(扶安縣) 상동면(上東面) 궁월리(弓月里)에 있는 논을 팔면서 작성한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1897년 2월 14일에 유학(幼學) 이경전(李慶槇)이 부안현(扶安縣) 상동면(上東面) 궁월리(弓月里)에 있는 논을 팔면서 작성한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이다. 그는 이 논을 매득하여 경작해 왔으나 긴히 돈을 쓸 데가 있어서 팔게 되었다고 매매사유를 밝히고 있다. 매매 대상이 된 논은 상동면 궁월리 동평(東坪)의 복자답(服字畓) 6두락지, 부수로는 15부(負)가 되는 곳으로, 매매가격은 110냥이었다. 구문기 1장과 신문기 1장을 매입자에게 넘겨주면서 뒷날 다른 말이 있으면 이 문서를 가지고 관에 고하여 증빙하라고 하였다. 유학(幼學) 임문백(林文白)이 문서를 작성하고 증인으로도 거래에 참여하여 서명하였다. 상동면 궁월리는 오늘날의 부안군 동진면 장등리 일대에 해당하는 곳이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연도>開國五百五年丙申</연도>九月十九日 前明文右明文事自己買得畓累年捧稅是多可勢不得已伏在<지명>全羅道扶安上東</지명>叩馬堤下<지명>弓月里</지명>東西南坪服字畓十二斗落果渠永一斗落果上畓三畝落所耕三十負四束庫果服字畓八斗落所耕二十負四束庫果乃字十二斗落所耕三十五負五束庫果乃字畓九斗落所耕宮結二十九負二束庫果官字畓九斗落所耕二十四負六束庫果鳥字畓十六斗落所耕三十七負一束庫果官字畓十二斗落所耕二十八負六束庫乙價折錢文壹仟肆佰兩依數捧上是遣右以新文一張與旧文記九張永永放賣爲去乎日後若有異言則지此文記憑考事畓主 幼學 <지명>忠淸道龍湖</지명> <인명>金子益</인명>[着名]證人 幼學 <지명>扶安</지명> <인명>金元謙</인명>[着名]文書債貳拾兩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을사년(乙巳年) 김원겸(金元謙) 수기(手記) 고문서-증빙류-수기 경제-회계/금융-수기 乙巳十二月晦日 金元謙 乙巳十二月晦日 金元謙 전북 부안군 [着名] 1개 부안 동도 전주이씨가 부안 동도 전주이씨가 을사년(乙巳年) 12월 그믐날에 김원겸(金元謙)이 작성한 수기(手記). 을사년(乙巳年) 12월 그믐날에 김원겸(金元謙)이 상덕전평(上德前坪) 궐자답(闕字畓) 8두락을 차후에는 답주(畓主)의 허락 없이는 경작하지 않겠다고 약속하면서 작성하여 답주에게 건네준 수기(手記)이다. 궐자답은 부수(負數)로는 9부 5속이 되는 곳인데, 어느 곳에 있는 논인지는 확실하지 않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答沈承旨 凞淳 號桐菴 河豚無味綠陰麤荒村春事又此一番彈指句留不得此際懷想能不依依忽承雲椷若將把臂入林仍審春盡令体省福耿祝俯示屛書又是一新面目如入金剛八潭萬瀑無不神眩天一坮望衆香城是萬二千都輸一籌處尙以前日爲奇勝卽未及見衆香者矣如我拙不敢復語墨池事耳竹葉石從何得奇品耶坡公所云硯之佳者必費筆政爲如此硯道耳南鄕顚倒之際硯屬一無見存今所用者㬉㬉姝姝與墨無情使童子磨墨皆臂力欲脫得見此硯直欲神飛如見烈性男子不覺筆夬墨夬一月之期非不喜甚倘能更展一月外幾時使此老者稍得滿志是令他日福田如何不備雨猶未足熱又方始向千火輪已有不可抵當雖百疊澄練亦不過煩惱海中一弘際拜審令体侍護曼相頟祝盛翰三紙如蔗境之漸佳今日非昨日是不可以箭括瞿塘擬議洞天福地已入屐底轉近轉難是不可襲而取之也如我之頹唐無足言每覺前境無盡不知何時能了白首無成護落可慨䐉滿之時何憚而不前耶三聯皆可觀者有此垂示甚感暫留數日當追完屛蝶聞之未及見果是奇才此亦士大夫風俗與他特異者在原圖之趙州狗又非凡筆玆以順便奉還石峰帖可惜大槩此書有極高處又有極俗處其工到力到可以摧山倒海猶不及董香光緜緜若存此等境地不可與不知者言耳以其功何不屈膝於衡山枝指嵬然直接山陰之妄想耶亦東人貢高之習氣無論文章書畫先祗此習氣然後乃可門逕之不趨魔耳崔君書近日何多翠毛丹屑之奇珍也餘不備惟綠肥紅瘦春已夏矣日對江光所懷渺渺卽伏承盛翰謹審嫩暄侍體令護萬祉不任頟誦弟苦無勝景轉益癡鈍而已坡圖奉領詩語筆意俱極佳好寄托鄭重有不敢承當此圖自當初北來時烟雲變幻畢境歸於弟者甚奇殆若神物護持豈意又自令而轉來珠還璧歸太非偶然雖墨輪之轉文字因緣如是合湊懷世希有若非令貺何以辦此也第見筆意益有增長可知池魚之日日呑墨也甚庸佩欽瘞隺銘藉呈試細心臨過如何此是六朝人書確甚奇雋瑰特又非他書可比擬若欲見山陰以後筆勢變現不宆舍此無以也必熟撫累十遍可以入手耳恨無五段殘石本與之對證也餘姑不備甘膏一適可以沃焦書來於村炊埜說之中喜並灌頂且謹審卽晴令体侍禧葆晏額誦弟去益瘁甚無生趣耳書本與墨缸恭領老氣轉轉杤鈍無以立伻夬書不得不留俟三數日更圖亦報餘台地忍之如何不備春風本無恒性晴陰百變暄冷不常枕藉問尤難調適朝牕未旭眼花惱亂忽承令函非徒揩靑之爲快車渠木難珍珠柵瑚紛然滿前直歟屋脥騰光令之書法郭能知出群之異常欲所誦尙未忘若是其警心動魄聯書數片決非鴨水以東氣格金壽門鄭克桑之天機流動奇屈錯落無以過之顧此六十年着力自以爲有所窺見一二問不覺瞠乎後耳昨承惠覆甚尉況江空歲穹芳華之遠貽可使煦陰谷而回暖律穹途荒窡等有此一種喜歡緣耶聞有京馭無緣積此之懸望不異湍上春風已老雜樹皆花邨柳麤綠攬時懷遠收攝不得忽魚非非天令函遠扱謹審動靖侍禧耿祝第麥區已試甚善至於里魁邨丁之仿以行之自當有一二家之化不必勞勞於耳提面命如何如何弟夙昔挾此木旺眼花腕重伸等苦疼多時益無一占一世趣耳便忙電艱此不備日昨枉展尙襲淸芬今日又是熱輪轉空樓外輕雷似是它天之雨望望爲雲同一夬注卽伏承令晏甚尉願言鳳硏荷此委示卽手試墨雖不能獒釜塗蠟如西洞靑華等佳品也石德比之藍産有勝處微以拒墨頗潑墨之妙第當小試數日程璧矣製硯爲何人耶大非僞品耳荒窡寂寞之濱有誰溫存不肖婆心何以得拚芝覿几榻作三日香也歸駕太覺逼夕可能及城而漏未下否耿耿如結經時不已卽承惠壯始審恁時令侍候吉旋福晏甚尉此心弟江寒歲除百緖惱亂無所底泊佳箋名糕荷此別餉昔日風味得沾餘馥賸膏珮謝之餘實不禁俯仰感慨惟祝令禧增采擧筆大吉留不備枕底聞梧桐滴滴與野懽村欣同聲夫好過境碾空火輪又作何處間承令翰沈淹床前無以自力於硯墨稽謝如此倘或諒恕邇惟凉驟令体萬重膺祝弟病暴瀉如桷脫不可禁當眞元大敓厪能支一線緜緜不知又何以回蘇也昨今數日稍稍作人事方君適來尉款亦復强腕試畧千字草草不備別示錦椷謹領不料此世亦有此事也是所謂承流布澤宣上恩化一吉羊善事不止爲現在功德異日福田幽寃夬申彛常反正仁人君子神明宰官細心所摧將見一湖生靈仰拚棠陰涵育於堯醲舜郁之中讚誦感歡至若善地渠之生出於刀山釰樹者已爲非非想又何以再圖分外妄計爲也爲渠地不敢以過量者乘機更進俯諒諒耳永和之春帬屐壺觴望望淸都上界村況野味無所寄托情之所鍾偏屬令兄卽伏承惠翰並寶墨諸本土銼瓮牖可以破荒第想近日亦復池氷盡墨腕力益强字体益古苑是六朝以前風氣鴨綠以東無此作恨不與大江南北諸名流共此欣賞耳十年追境若是非徒爲令一人讚誦可使末俗之浮華浪蘂回淳返欅是豈小補也哉仍審邇者東馭吉旋覲慶彌康頂誦萬千弟昨冥今頑無一足稱仲季間蒙恩㨂感皇無地仲忽又患痁是去臘餘祟老者筋力凘頓不自振甚悶悶甚惱餘伻促不備風雨懷人無以遣情兄作何思鍵戶獨居秋史尺牘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贈盧生【鼎德】 擅君碩士在新村 玉季金昆倂一門 能使緇徒來悅服 時陪長老和談論 墓齋蒸禴神人感 山寺遨遊氣像溫 與世浮沉從衆意 原來樹悳有淵源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贈族弟國彦【濟祿】 二首 七十鰥居是例事 傷心無益謾長思 人間縱負三生約 地下將修百歲期 華燭新緣應匪子 床琴古調其論誰 餘存只有吾雙老 逐日淸談亦樂斯不武不文世所棄 俗塵家業頓無思 人多夭折徒增歎 壽滿稀年豈有期 八耋釣璜猶早我 九旬登第未知誰 書齋日夕供觴詠 還與兒童樂悅斯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서호지(西湖誌) 西湖誌 西湖誌 고서-집부-총집류 교육/문화-문학/저술-문집 고서 원문 西湖誌 성책 정읍 영원 여산송씨가 정읍 영원 여산송씨가 중국(中國) 서호(西湖)와 관련된 시문(詩文)과 사적(事蹟)을 모은 책. 중국(中國) 서호(西湖)와 관련된 시문(詩文)과 사적(事蹟)을 모은 책이다. 중국 각지에 있는 서호가 26개인데 이 서호는 절강성(浙江省) 항주시(杭州市) 서쪽에 있는 서호이다. 주위가 30리이고 삼면이 산이고 풍광이 수려한 명승지이다. 서호와 관련한 고금(古今) 시인(詩人)의 유흥(遊興)와 제영(題詠), 궁원사(宮院祠), 탑묘루(塔墓樓) 등과 관련 기(記)와 서(序) 및 제영(題詠) 등을 수록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청구사(靑丘史) 靑丘史 靑丘史 고서-사부-역사서 사회-역사-역사서 고서 원문 靑丘史 성책 정읍 영원 여산송씨가 정읍 영원 여산송씨가 조선왕조(朝鮮王朝)의 역사와 관련된 여러 기록을 한데 모은 책자. 조선왕조(朝鮮王朝)의 역사와 관련된 여러 기록을 한데 모은 책자이다. 표제(標題)는 ?청구사(靑丘史)?로 되어 있으나, 내지에는 ?동사(東史)?로 제목을 달고 있다. 동사는 동국(東國)의 역사(歷史)란 뜻으로, 곧 우리나라의 역사를 가리킨다. 임진록(壬辰錄), 부산기사(釜山記事), 서행기사(西幸記事), 임진사의금산(壬辰死義錦山) 등 임진왜란에 관련된 기록과, 사육신(死六臣)의 생애를 정리한 육신전(六臣傳), 그리고 기정진(奇正鎭)의 저술인 노사기선생자경록(蘆沙奇先生自警錄) 등이 수록되어 있다. 필사본으로 편찬자가 누구인지는 알 수 없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839년 척사윤음(斥邪綸音) 斥邪綸音 斥邪綸音 고서-사부-조령주의류 국왕/왕실-교령-윤음 고서 원문 斥邪綸音 성책 정읍 영원 여산송씨가 정읍 영원 여산송씨가 1839년(헌종 5)에 국왕이 카톨릭교를 배척하기 위하여 백성에게 내린 윤음(綸音) 1839년(헌종 5)에 국왕이 카톨릭교를 배척하기 위하여 백성에게 내린 윤음(綸音)이다. 가톨릭교의 폐해를 적어 그 배척하여야 할 뜻을 적었다. 한자본과 한글본이 연이어 실려 있다. 책자의 맨 끝에 경자년(庚子年)에 완영(完營)에서 간행하였다고 적고 있다. 척사윤음은 1881년(고종 18)에도 간행되었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한준(漢雋) 漢雋 漢雋 고서-사부-전기류 개인-전기-유사 고서 원문 漢雋 성책 정읍 영원 여산송씨가 정읍 영원 여산송씨가 중국(中國)의 유명인물들의 전기(傳記)를 수록한 책. 중국(中國)의 유명인물들의 전기(傳記)를 수록한 책이다. 항적전(項籍傳), 장이진여전(張耳陳餘傳), 오왕비전(吳王濞傳), 육가전(陸賈傳), 부통전(剻通傳), 오피전(伍被傳), 관부전(灌夫傳), 한안국전(韓安國傳), 이광전(李廣傳), 이릉전(李陵傳) 등이 실려 있다.

상세정보
517956
/25898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