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전체 로 검색된 결과 517956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자부

송옥산 지리서(宋玉山地理書) 宋玉山地理書 宋玉山地理書 고서-자부-지리서 사회-지리-지지 고서 원문 宋玉山地理書 성책 정읍 영원 여산송씨가 정읍 영원 여산송씨가 병자년(丙子年)에 정읍군(井邑郡) 이평면(梨坪面) 청량리(靑良里)에 사는 송옥산(宋玉山)이 정리한 풍수지리서(風水地理書). 병자년(丙子年) 12월 초5일에 정읍군(井邑郡) 이평면(梨坪面) 청량리(靑良里)에 사는 송옥산(宋玉山)이 정리한 지리서(地理書)이다. 표지에 "宋玉山始鑑 地理書"라고 적혀 있다. 일반적인 지리서와는 달리, 주역(周易)의 시각에서 지리를 서술하고 있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어안집(魚鴈集) 魚鴈集 魚鴈集 고서-집부-서간독류 개인-생활-서간 고서 원문 魚鴈集 성책 정읍 영원 여산송씨가 정읍 영원 여산송씨가 갑신년(甲申年)에 지은 어안집(魚鴈集). 갑신년(甲申年)에 지은 어안집(魚鴈集)이다. 어안은 서신(書信) 또는 간찰(簡札)을 가리키는 말이다. 부친에게 보내는 편지, 자식에게 쓰는 답장 편지, 형에게 보내는 편지 등 간찰의 서식(書式)을 정리해 놓았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次靜虛窩上舍族弟【源坤】 修契源源歲歲連 人家此世莫能前 憐君謝病團圓會 還笑白頭讓少年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子音正本 毋무某畝這쟈諸져除稔임洟이豫여譽鷁익淸쳥取츄娶龜귀句구扣箇가辰신刷솰焼쇼勞로累류壘綏슈鬧뇨幅복迫覇파丑츄畵홰階巾근癸규泣급嘏가姬긔喟귀虧규訐갈誜欬詰길皓고慊겹足也孑결陔革격禰니耽담垤뎔跌뎔欠검荔리巒란鎌렴謀무寐미謬무眸무牟무矛무乏법逼벽弛시賖샤譟소腮餉샹雙상稍쇼率슐秫슐灑새襄샹舂숑縰ᄉᆞ擅션醪로酥소屹을娯우虐약硬영鷁역巍위巘언畏위筠윤迭뎔屯卦쥰昭明죠召죠逞졍詐자諄쥰船젼椽젼窀쥰撑鋤조漬ᄌᆞ牀장僭졈浹졉查차茶자澤擇宅坼 箴침佔쳠濁착悴취贅{츄+ㅣ}齎ᄌᆞ宏횡 系혜 洽협 褐할 酣함 撼함 夥ᄒᆞㅣ耗호 奚혜 脛형 觳혹 吁후曰월 灣완 闊팔 霍확 恬텸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牛溪集書略 答李宜仲音徽徵永阻杳如隔世向風長思意外得承手札於臥病中蹶然而興不覺感歎之深也備審初囬仙鄕起居超勝尤所忻聳拜無己某自前歲八九月得腰痛今則腰脊大通滿身骨節皆痛處處流注屈伸行止叫号宛轉以此老人氣力摧殘幾盡答鄭二相澈六七月以來不見手札懸懸可言逢人每問遠音皆以平安爲答小慰渴思今玆承見今月二日順天所惠書豈勝欣聳急手開緘仰審近况未佳馳慮無己許浚來言老兄止酒修養面如紅玉酒齄盡去不覚喜幸而今見來書則恐或流傳之妄也某僅僅廷活秋來还入溪廬凶年人事汨没精力日耗不能讀書以負殘生可歎催希稷沈方叔相繼淪謝老來每聞故舊之亡益覺傷痛益知餘日不遠西日凜凜深惜無聞而死也餘外不宣休祝屛絶兩斧以安靜簡淡爲趣則晩香亭前秋容無傀也與李兵使濟臣伏惟入朝起居萬福今已陛對蒙聖獎否行軒過境廢疾者不能徃送此恨久而愈新耳城主送示瓊章一篇奉讀之胸中漉然如羾寒門而濯淸風信乎作者之手段也初欲步韵和答而終日悲呤不能出口吻疾人精力耗竭己盡其能效嚬乎只申愧謝而已末委何日朝辞休願萬里一窮邊行役起居萬福且惟儒將登坍折衝樽俎之間而異類自服矣惟願仁心仁聞廣被邊氓恒使讙聲四合於田野則北門壯固隱然爲國之長城矣賤生呻病之中僣易及此伏希笑納拜謹拜謝狀不宣與宋雲長翼弼安峽山川可居云否鄙人拙計每思人生强半餘日幾許惟當汲汲定居斷間茅屋一架書丹酣飫其中粗窺一斑道理是爲至切至重事豈合奔走道路求田問舎費了殘生雖使淸溪白石環繞門前何益於身心道德而日月如衰老猝至因而溘死空負一生者多矣願兄母如叔獻之易其言計也十六日便回伏承手札恭審安達南村慰幸慰幸第未知風雪中还家氣味何似馳傃正深山中三日之會深荷不鄙之賜陪奉誨語聞所未聞察己病而觀人善其有發於昏耗大矣幸惎今又展讀轉覚四十非之語令人尢慨然也第恨觀理少定見敬身欠整肅競起而戱謔多恭已少而和敬失皆主人之陋也拜謝蒙喻道窟換由之旨不勝欣聳如今不決之論可謂定矣卽修書沈君以致其意耳雖然以賢兄之淸疎脱略常有超世獨立之志馳神泉石意思歆動又有利害二三言計多歧之惑則鄙人猶慮來言之易易也千萬不退轉至祝至祝且僕臥田間垂四十年飽諳田家之事請言佃人之能夫佃人之傭耕也志不着於其誠力不盡於其勤随衆而循循悠悠而卒嵗如斯而己及其出分而爲其家也浚晨而作其容欽欽望田而趨其促促內志達於四體外業積於勤勤村人遇之皆知其爲非昔日之佃客也夫然後知其人之爲己務宲真心立而宲功行也嗚呼今之君子爲學皆大家之佃客也鄙人詳於農能望其外而知之矣如何如何斯言鄙且俚不足以爲獻然不可不使金希元知之非但希元知之希元之先生亦冝知之如某者謹己自言而自知之矣盍相与勉之哉道窟之盗非所憂也君子居之何陋之有盗贼無常居亦聞交河多盗盗非君子之所宜憂也伏惟尊察自此何以嗣音臨書黯黯與尹左相斗壽冬候舒慘異常伏惟台座起居何如適見京來人伏聞台候違豫良苦而復未知信然否不勝仰憂之深也伏惟此日調攝康和以復乎常瞻慕無任某辭免書狀已在月初想卽有鐫免之命矣不敢久糜官廩退伏于石潭書院身疾旣痼諧糧亦難思欲歸死坡山以成首丘之志而畿輔之地盜盛難居伏悶海州日伏蒙台軒賜臨慰存廑至仰惟下士之風施之不称之人無所報塞第切兢懼奉書陳我妄見承顔申告前說俱是掇拾道路無所裨補追而思之悚仄無己鄙性輕妄不能靜黙雖蒙大度包容己久而想不契於高明多矣然區區素心宲切憂念不敢疎外而辭語淺陋納忠反格歸來山谷靜惟夙昔不覺慨歎嗚呼愚下之人上不能報君父之恩下不能答朋友之望生而無益死而負愧可悲也與李大諌海壽伏問起居何如仰戀仰戀某淂病深閉不聞外事今因人聞所啓蒙允未知果然否今日之事非高識沉慮不足濟事切欲往拜座下極陳鄙見而病不能出可悶瞻慕恒深伏因朴天瑞奉承手札之賜恭審比日起居萬安感慰無任且蒙下示私江之訃不覺失聲設位而哭哭之長慟某恒疾不死久生於世常恐逆理今而又送私江在先謂之何哉浮生修短同歸於盡只是早晩事耳而逝者甚好只留生者苦耳長羡長羡某月初傷寒迄今未復澌惙方深可苦可苦伏惟令鑑謹奉狀不宣雨後寒生伏惟令體起居何如瞻慕無任曾拜賜札仰審諄喩之旨令人深感某卽欲入州以竢南歸奴馬之还而近日病發苦惱增添玆不得發殘生可悶盖所居房屋蔽遮周密土床烘熱某思如此燠暖不可以冒春寒遠行乃稍撤去之又步出溪邊以試之因玆漉漉增寒流汗不已又所食不消眩暈大發作昏然如寐困乏長臥是以不能行矣氷霜陰厲伏惟起居閑勝瞻慕倍增某謬妄負罪終逭刑章蒙恩褫免軍職而歸永辭丹陛不堪流涕曉灯修此短紙未宣只祝自愛保重仲冬寒盛伏惟頤閑起居萬安瞻傃罙增某尙存澌骨久保鄕井以兄妻子之还非始願之所及也仲夏熱盛伏惟还城起居康頤瞻傃無任前者伏遇遠訪窮廬款承晤言初非始願之所及怳如異境奇遇出於世外者令人忻聳無以爲謝也綠陰滿庭溪离聲上下共對顔範溪山閑寂之中無異昔日之情境而中懷蕭索悲歎隨之窃仰素心以退耕爲急而專乏歸資恐不能遂初奉送之後進思良切不勝歎息也別時功成之言雖出戱談而亦知尊兄窮約之甚不能早歸也未知以爲如何某則旣矣歸負罪而歸不可以言歸殘生垂盡不知眞閑之趣誠可嗟嘆耳成汲以事入城俾令一候安信以慰懸戀不備答沈文叔示喩守口之誨敢不佣服前承顔範宲有在我之失於尊君有何不愼耶鄙人軒妄自以草浲之身聞生民利病人物賢否則中心慨然輒忘其身之飢瘁垂死而爲之愛歎是以出位之言樞機之罪每多於人不但喪德之戒而宲有刑禍之懼焉昨指鐫銘深荷規誓之賜自今倘蒙常加激厲則幸甚與趙汝式竊見質厚而近於守者多固滯氣淸而近於敏者多輕浮二者之病古今之同一也如吾尊兄美質强勇篤信力行非吾黨之所及伏惟進學自愛也每觀古人理明義精深潛涵養養心之功己自積累培植之餘凡遇逆境自家得力非別人之所可助也此外將理修養之方莫大於劉元城過嶺一誓擧意眞絶無宵寐之變烟瘴不能侵章惇不能殺賢兄必已早見而豫待之矣伏惟深察而講服之千萬至祝死生在天惟當盡心不容少懈靜中觀至玩理日深進學明睿弃去前時繳繞外事之病體履康樂惟此禱己丑七月答安景容仲冬之吉伏見前月十三日手札展玩忻慰恭審冬寒供職京師官况萬安亂世好音何以踰此不覺感喜之深也某久活於世何事不見八九月京城危急限以負罪不得奔赴國難彷徨中野不知所敀伏讀來書懇懇至懷溢於辭表令人感歎人情窮而後知惠弊而後知完今而後有以仰識故人戀戀於舊交也今年六十三精神氣力什去八九鬼事迫矣不知何故遲回至此日閱世變喫賢辛苦耶伏惟尊察丁酉答韓瑩中示喩云云此固學者之通患古人所謂主一者專爲治此病而設所謂靜而主於一則客念不復作矣動而主於一則外誘不能奪者正說治病之法也雖然所謂居敬主一用力之方大學或問詳之當依此用力使之通貫動靜無間斷又知用力不疾不徐勿忘勿助毋令壓重毋令拘迫退溪先生所謂平平存在略略牧拾者正是心法切要之方也雖然此非立大志專一刻厲讀書窮裏使之理明心靜浸灌存養則何以得路而成習耶若不誠路而徒欲制縛雜念則心恙必生爲疾非輕矣答崔丕承前秋遠來不能留讀数日敗意而歸令人愧仄不能忘也大抵爲學要須窮理窮理必在讀書而讀書之法必通達文義然後可以究極義理以爲已見在賢者今日所急正須汲汲開達文義使之卽書而知疑發問日有通明爲最先之務切願與一鄕文義通達者同處而咨問求益勤苦不舍以就新得可也示喩學不專一之歎固宜雖然學非但讀書之謂事親從兄得其當然乃學也但使操持之方功貫通動靜而行有餘力可加講習之方耳寒食風雨仰惟學履佳勝前承三訪殊荷見顧之重愧無以少謝厚意之辱也適會多客亦未能少欵而別尤所恨焉第惟三者之來言不及講學賫持亦無冊子如此閑出入恐非有惜於分寸也某雖非可與語者而竊所疑焉又被賢者見與之厚則不可以無一言故僭易及此幸惟察之何如日月易得悠悠可懼正宜旦自知也示喩欲得名言以自服行者甚盛心也雖然以愚思之則聖賢之言備在方冊今欲求之今人之言而不以古訓爲重則所見之誤已是可虞况一言之際安得使人感悟啓發持久而不變哉賢者持空心以向道而書冊之功常不接續義理疏漏向方未開日用之間宲功掃地其何能漸次有見存久而有得哉切願賢者無以空心爲可靠奉親之外一以讀書躬行爲急則一日有一日之功而稍改舊習矣與趙景至長欲奉晤開心而不可得今玆會合一城中倘非病甚豈不一相就耶未委今日學履何如昨見瘦容令人深念與韓士仰万里命駕來慰患難此意至厚何以爲報感歎愧佣第深縮恧而己某憂月例增凘頓今年特甚只存皮骨鬼事迫矣加以親知間喪兦日聞慘痛塡胸生意己盡力疾供職每多忘發公私俱病憂愧交生答李台徵百里命駕勤訪病人此意至厚何以爲報相對之際不覺垂泣而己適有外客不能盡懷款晤而別令人追思不已也未委入城陪奉親庭起居何如深戀深戀以僕之今日固不敢勤學於賢者然念先契之重思宿昔之託不可無言所以盡情獻言而亦未畢其說也願就其言而加念聽則區區之望也朱子大全奏箚中行宮便殿甲寅箚子論爲學之道者不可不洗心專一精讀而深玩也讀此而有得則所謂入道之門積德之基者卽此而在矣伏惟深察之也多少不宣布謝聞君懷章畿邑窃想奉檄之喜而未能修賀今玆遠承專使手札寄意眷眷展讀再三豈勝感歎恭審上官萬安忻慰倍增某七月例極柴立而今歲特甚殘生垂盡理勢之常也得保餘齡閑居噉飯亦云過分何敢念及滋味耶今承遠惠乾魚生蟹珍異之物感領以还亦深未安作宰百里生民休戚係焉君是京洛高華或未盡民間之疾苦願以視民如傷四字爲本原而以淸愼勤三字爲日用端的用心處則幸甚答金善慶兩妙連袂殊喜跫然况承手札展讀良慰第審遠出初還起居少愆深念不己某決意赴京師而病深無馬悶極悶極近將市馬而發尤未易行可歎聞州官惻隱之發未廣顧遇之禮不備不覺長歎世間惟有靑山綠水不帶利欲向人無厚薄耳栗谷有詩曰江山靑山不相厭世間交道在無在情令人諷咏而重發長歎耳答洪善應錫胤某餘生無幾澌骨垂亡每惟昔日師友之義慨然而悲獨立窮山顧影無儔無所資誨倀倀而死誠可哀矜尊先師子姪間在世唯賢者可告以此語唯願毋負先師敎育之意親近書冊俯讀仰思操持玩索交致其功一日常業有端的用心處則可以不墜初志不爲塵俗所汨而漸有得力處矣然此非大段舊發着宲爲己則終足游惰不能自拔矣臨別有求益之意略此開端惟賢者察之所喩乍存乍亡不能執持擾攘酬酌尤見失去不知所在者皆是初學工夫間斷之病且此心放逸己久豈能一朝而易馴一如吾之欲速之心哉正宜鑑前時之久放惜今日之分陰默默加功平平存在最於主一上喫緊下手要使志氣淸明隨事專一則庶幾有箇入處漸次淸明而專一之習通貫乎動靜矣朱子書節要尊書室有之否此書切宜讀之精究而深玩則凡士之受病處病之發藥皆具於是書不傳遠尋師友講求義理而操持玩索之方明白痛快於吾胸中矣其書之言曰知得如此是病卽便不如此是藥又曰卽此欲去之心便是能去之藥見此数句亦可知用力之方矣其餘主敬之方窮理之要具於大學或問而此書中講明尤詳賢者苟取而讀之實用其力則亦不患不得其門而入也與鄭士朝宗溟一別依依寜復有後期耶思欲徃訪而旅床夜寒朝起風盛不得就拜秪自悽黯而己凡人不學則雖有英才美質不能守本分而爲鄕里之常人虛過一生豈非可惜耶賢者有美質淳厚之材可與爲學進於希賢希聖之地位及此盛年閑暇致志專心於讀書則其所成就必有過人者矣學非但讀書之謂然非書何以尋箇路脉以入門庭耶今之時利欲滔滔無復有大志者皆是常俗之儒求富貴利達而已是以世道益下終見兦國之禍復何言哉願賢者勿輕於自待劬書刻厲玩索操持交致其功則庶有入處而深造自得卽此而在矣所當讀之書別紙書送程子言精神長者博取之氣衰者必須節約之功也心經已上皆節要之書也賢者盛年壯氣非氣衰之比然知要守約可以蹊徑無差泛觀博索或恐流於多岐也略此布之謹奉狀 小學大學大學或問論語孟子中庸及或問近思錄朱子書節要心經詩書易春秋禮記二程全書朱子大全伊洛淵源錄延平答問理學通錄退溪所集安東府有刻本通鑑綱目續綱目皇明通紀答安士彦山中一訪際晤之始未開深款遽然奉別報謝之情無所宣寄玆者續承前後手札眷惠尤勤殊極感歎思欲奉布謝而便信無憑迄用廢闕愧負深矣卽日署熱侍旁學履萬安馳傃無任某憂月柴立若將澌溘無足言者猥被千里顧遇之重其何以報塞來意之辱窃見士之爲學必有眞實心地刻苦工夫師友夾輔內外交養然後庶幾有得而尤當先察自家氣質之病克己矯治損其有餘補其不足而後根本稍培行持稍立亦可以行乎州里免於僇辱也賢者年當款異氣銳而發外居今之世恐非安德之基也誠願一意下學必以孝弟忠信爲本以謙遜拙訥爲質以沉潛爲篤實功劬書玩索堅固操持則以淸明之美志終必有所至矣荷相與之厚僣易及此愧仄愧仄答朴生榮定心氣從容安靜宲是治病之大藥修身之功要願致意力守於此則不唯進學有得又養壽命之妙法也窃覵賢者有遂泩不屑之韻落落不凡之趣慕學好善淸疎自將塵俗難染略於趍利此鄙人之所深喜者第以早嬰疾恙聦聽不達相對顔範不能達意是可恨也况又美質所長在於俊爽是以從容潛玩致誠耐久有所不足讀書之際習於奔趍文理之間略略看過只於對案之時宣讀過目取辦終篇尃乏意味以此爲事則雖終日勤勞有何所得願賢者以爲戒一改旧習一以朱夫子答宋容之書爲讀書之法則存久漸明可脫然而有得矣然爲學非但讀書之謂也其所謂專一嚴整操持玩索交致其功者不可一日而或弛未知賢者亦有意於此乎說甚長非所究於紙筆恨不能開懷晤言以盡余懷也答李生景愊示喩處事多失之意可謂大段會省察也良書大抵處事於吾心有好惡於事理有是非當舍其好惡而從其是非而處之則所失者少矣如今遷葬之事最爲大段君可舍其好惡而從其是非不憚勤苦死生以之可也其餘日用皆以此法從事則豈非至要之訣乎唯願完養心氣力學自立不墜家聲答申生敏見喩學不勤之歎今以治疾爲主何能致志於讀書唯願專精神收攝雜念不令散亂所謂淸明專一之方時習而有得焉亦治疾之妙法耳承喩趙月川篤學力行酣飫圖史玩樂之趣老而彌深令人向夙竦厲賢者美質邁徃有大志於此學深所期望然始初發軔尋箇路脉正宜深信方策之訓一於服行而屛絶浮慕駁雜之言拙訥將事旣讀或問主敬之方則料理此事食息不置又讀五章格物之訓則又當一意下工如不知更有他事可矣以此誠意以此工夫爲日用端的用心處而委己於於月川則趙丈必將感動惠許而不靳啓告之勞矣然賢者大病未後眞元塵損亦須謹於將息必先完養使氣力可堪服役先覺之門然後久遠爲學充吾志之所大欲矣唯願養心養疾合爲一事而用力焉可也春氣方生茅簷之下可以負暄溪澗之濱流泉有聲山村願有佳趣恨不與賢者芖之也寄子文濬婚姻凡事務從儉約不循時習切告汝母毋爲華侈可也汝亦點檢毋付之婦人之手至可至於 婚姻己迫凡事皆措置耶務從以間略以示可繼爲善吾家極貧儉今示以稍侈後對以繼之矣 昨日親事善成耶新婦謁廟仅莭汝言非也初謁之人豈可入家衆序立之列也若行參神則其時已謁廟矣又安用特引至兩階間拜耶講札最難識禮意汝言非是矣然則旣謁之後不入家衆辭神之列徑先退去亦可矣家禮所謂役位者指主人而言非謂新婦也寄孫櫟見書知汝平安可喜又有力學之意深以爲喜汝之心以不學面墻爲深恥此是深可書者弱冠之年不以浪遊爲得計而以讀書請於我可謂我家文獻遺風不絶矣極以爲喜也唯望汝勿遊惰誠心求學長使志氣淸明讀書專一則可以漸次開明矣丙申十二月日十年前栗谷訪余同宿溪廬時當仲秋窓外蛩聲喞喞無暫時停息及到曉鍾其聲益盛有自樂而不知其勤苦者余歎曰微物尙能盡其職分至於此哉栗谷又歎曰知覺多者深於利害擇利而就安怠㤢而日偸所以人不能盡性而天機自動不假修爲盡其天職乃出於微物也余喜其超詣之見未嘗忘也今夜侵晨感懷無寐虫聲四起宛然昔年之秋自念殘生未死而栗谷已爲古人余之貿貿此志未就日益昧陋則其有愧於微物深矣昔朱夫子宿篔簹鋪見壁上詩煌煌灵芝一年三秀予犻何爲有志未就深自感歎題詩而去詩云鼎鼎百年能幾時灵芝三秀欲何爲金丹歲晩無消息壁上詩嗚呼余於今日其有感於古人而有愧於可勝言哉因書拙句奉似兩賢兩生吳允謙黃愼求和一以請言志之方一以希相發之意焉此雖閑說善學者觀物而察已則近取而自養焉未必無助於感厲之功也 草根風露冷侵身勤苦聲聲夜向晨 感爾微虫能盡性白頭重愧最靈人 萬事空餘百病身 候蟲聲裡坐侵晨 秋風情境依然在 落月無端照舊人寄金剛寺讀書諸生 書生歲暮抱遺經靜榻那堪霜夜永西山啖薺是何人歎息於焉發深省 西山先生蔡季通登西山讀書忍飢啖薺薺者山菜。與栗谷書頭霖雨不止想惟道况淸和否傾仰自不已 數日來道况何如 昨家手誨獲承道履淸和欣遡無任且被長書開導累累千萬言辭旨明暢義理直截伏而讀之庶幾有牗昏之賜矣非但此也吾兄哀我之誤入血誠開示猶恐其言之不盡不辭勞且勤如此其至也則誨人不倦之盛心惻怛相與之誠意不勝歎服欽動慨然而心切也 卽承委問以審道履如宜感仰感仰某粗依感兄憤悱知其將有所悟不憚縷縷畢呈鄙見而不被揮斥乃蒙領略何幸如之道理不必聰明絶人者乃得見之雖氣稟不能高明通徹而若積誠用功則寧有不見之理乎聰明者見之易故反不能力踐而充其所見誠積者用功之深故旣見之後易於力踐矣此所望於吾兄者也 昨因客至草草報謝殊切嘆恨未委卽今靜履和勝否下賜圖說積日沿沂粗窺一斑感幸無已 夜來道况何如午年來閒箴理氣之妙本無離合遂作短律一首書呈昨領誨語三復慨然玆蒙寄札兼被明理韻語見明語精毫髮不爽拜受恩誨益以感隕 夜來請况何如昨承辱復備審雅旨庶有歸一之望幸甚牛溪集書略終心 一心之微衆欲攻之其與存者嗚呼幾希君子視 心兮本虛應物無迹操之有要視爲之則蔽交於前其中則遷制之於外以安其內克己復禮久而誠矣 存誠克念克敬天君泰然百體從令聽 人有秉彝本乎天性知誘物化遂亡其正卓彼先覺知止有定閑邪存誠非禮勿聽 無多言多言多敗誠能愼之福之根無道人之短無說己之長言人心之動因言以宣發禁跳妄內斯靜專矧是樞機興戎出好吉凶榮辱惟其所召傷易則誕傷煩則支已肆物忤出悖來違非法不道欽斯哉訓辭動哲人知幾誠之於思志士勵行守之於爲順理則裕從欲惟危造次克念戰兢自持習與性成聖賢同歸臨川吳氏曰一言靜旡違二言動旡違三言表之正四言裡之正五言心之正而達於事六言事之主一而本於心七言總前八言心不能無適之病九言事不能主一之病十章總結一篇朱子曰蟻封蟻垤古語云乘馬折旋於蟻封之屈曲狹小而能乘馬折旋於其間不失馳驅之節所以爲難也守口如甁不妄出也防意如城閑邪之入也又云敬須主一初來有个事又添一个便是來貳他成兩个元有一个又添兩个便是參他成三个須臾之間以時言毫釐之差以事言一正其衣冠尊其瞻視潛心以居對越上帝二足容必重手容必恭擇地而蹈折旋蟻封三出門如賓承事如祭戰戰兢兢罔敢或易四守口如甁防意如城洞洞屬屬罔敢或輕五不東以西不南以北當事而存靡他其適六勿貳以二勿參以三惟精心惟一萬變是監七從事於斯是曰持敬表裏交正靜動弗違八須臾有間私欲萬端不火而熱不氷而寒九毫釐有差天壤易處三綱旣淪九法亦斁十嗚呼小子念哉敬哉墨卿司戒敢告靈臺100-0040敬恕齋晦菴王文憲曰夫子答仲弓問仁一段卽敬恕之道 此先生早年作也出門如賓承事如祭以是存之罔敢或墜己所不欲勿施於人以是行之與物皆春胡世之人恣己窮物惟我所欲謂彼奚恤孰能反是歛焉厥躬于墻于羹仲尼子弓內順于家外同于邦無小無大罔時怨恫爲仁之功曰此其極敬哉永永無斁祭延平先生文略某也小生丱角趨拜恭惟先君宲共源派誾誾侃侃歛袵推先氷壺秋月謂公則然施及後人敢渝斯志從游十年誘掖諄至春山朝榮秋堂夜空卽事卽理無幽不通相期日深見勵彌切蹇步方休鞭繩己掣安車署行過我衝門返旆相遭凉秋已分某於此時適有命召問所宜言反覆敎詔最後有言吾子勉之凡玆衆理子所自知奉以周旋幸不失墜歸葬朝嚴訃者夕至失聲長號淚落懸泉何意斯言而訣終天病不擧扶沒不飯含奔走後人死有餘憾儀形永隔卒業無期墜緖茫茫孰知我悲伏哭柩前奉奠以贄不亡者存鑑此誠意不息之謂誠始如是終不如是則非不息之誠不欺之謂誠表如是裏不如是則非不欺之誠矣 右新安謀陳氏詋朱子曰子路不急於聞而急於行此古人爲已之宲處如人之飮食珍羞羅列須喫盡方好喫不盡又增加亦徒然耳子曰非其鬼而祭之諂也問非其鬼祭之如諸侯僭天子大夫僭諸侯之類又如士庶祭其旁親遠族亦是非其鬼否朱子曰是又如令人祭甚麽廟神都是非其鬼又問旁親遠族不當祭若無後者則如之何曰這若無人祭只得爲他祭自古無後者祭於宗子之家問程子云待憤悱而後發則沛然矣如何有沛然底意思朱子曰此正所謂時而之化譬如種植之物人力隨分己加但正當那時節欲發生未發生之際却欠了些子雨忽然得這些子雨來生意豈可禦也有子名若魯人曾子名參字子輿南武城人子夏姓卜名商衛人子禽姓陳名亢陳人子貢姓端木名賜衛人樊遲名須魯人子游姓言名偃吳人子張姓顓孫名師陳人子淵姓顔名回魯人子路姓仲名由魯之卞人南谷名縚又名适字子容居南宮謚敬叔孟懿子之兄魯人子賤姓宓名不齊魯人仲弓姓冉名雍魯人漆雕開字子若蔡人赤姓公西字子華魯人公冶長魯人司馬牛名犂向魋之弟宋人會晳名點曾子父子羔姓高名柴衛人子牢姓琴字子開衛人坐馬期坐馬姓期字名施魯人冉有名求魯人伯牛姓冉名耕魯人閔子騫名損魯人原思名憲宋人申棖魯人宰我名予魯人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경부

사례축식(四禮祝式) 四禮祝式 四禮祝式 고서-경부-예류 종교/풍속-관혼상제-축문 고서 원문 四禮祝式 성책 정읍 영원 여산송씨가 정읍 영원 여산송씨가 관혼상제(冠婚喪祭)의 축식(祝式)을 설명한 책. 관혼상제(冠婚喪祭)의 축식(祝式)을 설명한 책이다. 사례(四禮)의 각종 축식(祝式)을 정리해 놓았다. 맨 뒤에 "丁未新刊 瀛州藏板"이라고 인쇄되어 있어서 고부(古阜)에서 목판본으로 간행되었음을 알 수 있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만성과보(萬姓科譜) 萬姓科譜 萬姓科譜 고서-사부-정법류 사회-가족/친족-종중/문중자료 고서 원문 萬姓科譜 성책 정읍 영원 여산송씨가 정읍 영원 여산송씨가 조선시대(朝鮮時代)의 문과급제자(文科及第者)를 각 성씨별(姓氏別)로 정리한 책. 조선시대(朝鮮時代)의 문과급제자(文科及第者)를 각 성씨별(姓氏別)로 간략하게 정리한 책자이다. 이름과 급제년도, 관직명이 실려 있다. 필사본이다. 누가 편찬했는지는 알 수 없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부안(扶安) 전주이씨(全州李氏) 추수기편(秋收記片) 2 고문서-치부기록류-추수기 경제-농/수산업-추수기 전북 부안군 부안 동도 전주이씨가 부안 동도 전주이씨가 부안(扶安)에 거주하는 전주이씨(全州李氏) 집안에서 작성한 추수기(秋收記) 2 전북 부안군에 거주하는 전주이씨 집안에서 작성한 추수기(秋收記)이다. 추수기란 일반적으로 소작(小作)을 주고받은 소작료(小作料)를 받은 내역을 정리한 것인데, 본 추수기는 그런 것과는 다르다. 전답을 배도한 일과 관련된 문서로 보인다. 어느 해에 작성한 문서인지는 모르나, 전체 4,000냥 가운데 3,500냥을 답가(畓價)로 제외하고, 7냥 8전은 축소하기로 하였으므로, 나머지는 492냥 1전 4분이라는 내용이 들어 있다. 4,000냥은 아마도 종중(宗中)의 자금을 말하는 것 같다. 그리고 그 돈으로 논을 매입하기로 하고 그 돈의 사용 내역을 정리한 것으로 보인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지명>全羅北道 古阜郡</지명><지명>宮洞面 靑良里</지명> 洞第 統苐戶籍表第 號 註明戶主 <인명>宋冠淳</인명> 年三十八 本礪山 職幼學 業農 前居地 移居月日父 學生 <인명>鎭龜</인명>生父祖 學生 <인명>培</인명>曾祖 學生 <인명>奎燦</인명>外祖 學生 <인명>黃永煥</인명> 本<지명>紆州</지명>同居親屬妻 <인명>丹陽禹氏</인명>歲三十一寄口 : 男 口 女 一口雇傭 : 男 一口 女 口現存人口 : 男 一口 女 一口 共合 : 四口宅家 : 己有 瓦 間 草 五間 借有 瓦 間 草 間 共合 : 間<연도>光武七年</연도>二月 日郡李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지명>全羅北道 古阜郡</지명><지명>宮洞面 靑良里</지명> 洞第 統苐戶籍表第 號 註明戶主 <인명>宋馹淳</인명> 年四十三 本礪山 職幼學 業農 前居地 移居月日父 學生 <인명>鎭龜</인명>生父祖 學生 <인명>培</인명>曾祖 學生 <인명>奎燦</인명>外祖 學生 <인명>黃永煥</인명> 本<지명>紆州</지명>同居親屬妻 <인명>禹氏</인명>歲四十本<지명>丹陽</지명>子 <인명>泰玉</인명>年二十一婦 婦<인명>張氏</인명>歲二十本<지명>興城</지명>寄口 : 男 口 女 口雇傭 : 男 口 女 口現存人口 : 男 二口 女 二口 共合 : 四口宅家 : 己有 瓦 間 草 三間 借有 瓦 間 草 間 共合: 間<연도>建陽二年</연도>二月 日郡守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903년 승헌(承憲) 서간(書簡)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개인-생활-서간 癸卯 承憲 癸卯 承憲 전북 부안군 부안 동도 전주이씨가 부안 동도 전주이씨가 1903년(고종 40)에 승헌(承憲)이 보낸 간찰(簡札) 1903년(고종 40) 2월 18일에 승헌(承憲) 보낸 간찰이다. 수신인은, 승헌이 스스로를 죄질(罪姪)로 적고 있는 점으로 보아, 승헌의 삼촌이었다고 생각된다. 죄질은 상(喪)을 당한 상태라는 의미이다. 승헌이 본 간찰을 보낸 이유는 전답의 매매와 관련한 내용을 전하기 위해서였다. 문서에는 작성연대가 계묘년으로만 되어 있지만, 문서의 지질과 내용으로 미루어 보아 1903년으로 추정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모년(某年) 정읍(井邑) 여산송씨(礪山宋氏) 문복록(問卜錄) 고문서-치부기록류-문복록 종교/풍속-민간신앙-점복자료 七月初五日 七月初五日 전북 정읍시 [印] 1개 정읍 영원 여산송씨가 정읍 영원 여산송씨가 모년(某年) 7월 초5일에 정읍(井邑) 여산송씨(礪山宋氏) 가문에서 가족의 운명과 안부에 대해 점을 친 문복록(問卜錄) 모년(某年) 7월 초5일에 정읍(井邑) 여산송씨(礪山宋氏) 가문에서 가족의 운명과 안부에 대해 점을 친 문복록(問卜錄)이다. 사언절구(四言絶句)의 형식을 빌려 평생의 사주를 풀이하고 있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계약서

토지매매계약서-. 土地表示난 左記와 如홈-. 賣買代金七拾六円也-. 賣渡人은 前記賣買代金을 準領하고左記土地 所有權을 買受人으계 轉渡함-. 保證人은 右契約이 確實ᄒᆞᆷ으로 保證ᄒᆞ긔爲하야 左에 署名捺印홈<연도>大正三年</연도>三月二十三日<지명>扶安郡 下西面 南水洞</지명> 一統 五戶賣渡人 <인명>李箕先</인명>[印]<지명>扶安郡 東道面 仙隱洞</지명> 二統 五戶買受人 <인명>李承冕</인명>[印]<지명>扶安郡 下西面 靑林里</지명> 統 戶保證人 <인명>蔡永淑</인명>[印]<지명>扶安郡 東道面 仙隱洞</지명> 統 戶保證人 <인명>姜化玉</인명>[印]左記面名 <지명>下西面 </지명>里洞名 <지명>南水洞</지명>字番號 右一七0四地目 田面積 九斗結數 一二束價格 七十六円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874년 전명여(田明汝) 방매(放賣)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경제-매매/교역-토지매매명문 同治十三年甲戌 田明汝 同治十三年甲戌 田明汝 전북 부안군 [着名] 2개 부안 동도 전주이씨가 부안 동도 전주이씨가 1874년(고종 11) 3월 26일 전명여(田明汝)가 대전(坮田)을 팔면서 작성한 매매명문. 1874년(고종 11) 3월 26일, 전명여(田明汝)가 동도면(東道面) 선은동(仙隱洞)에 있는 대전(坮田) 1두락(斗落)을 매도하면서 작성한 매매명문(賣買明文)이다. 전명여가 이 논을 팔게 된 이유는 급히 돈이 필요해서였기 때문이다. 매매가는 25냥이었다. 전명여는 분 매매문서를 작성하면서 위 논과 관련하여 이전에 작성된 문서를 내 주어야 했으나 그렇지 못하였다. 그것은 그 옛 문서가 다른 전답 문서들과 합철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문서에 보이는 "구문기 타전답병부 고부득출급(舊文記他田畓並府故不得出給)"이라는 표현이 바로 그 내용이었다. 한편 전명여의 신분은 양반이었다. 양반이 어떤 거래에 직접 나서는 일은 거의 없었다. 대개는 자기 집에서 부리고 있는 노복을 대리인으로 내세웠는데, 전명여는 그렇지 않고 있다. 노복이 없었기 때문이었는지는 잘 모르겠다. 아무튼 본 문서는 양반 신분에 있는 자가 직접 매매현장에 참여하였다는 점에서 특이한 예라고 할 수 있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무신년(戊申年) 사음(舍音) 신옥현(辛玉鉉) 표(票) 고문서-증빙류-수표 경제-회계/금융-수표 戊申三月初十日 舍音票主辛玉鉉 韓文淑 張守山 李文兼 戊申三月初十日 舍音票主辛玉鉉 전북 부안군 [着名] 1개, [印] 1개 부안 동도 전주이씨가 부안 동도 전주이씨가 무신년(戊申年) 3월 초10일에 사음(舍音) 신옥현(辛玉鉉)이 작성한 표(票). 무신년(戊申年) 3월 초10일에 이의관(李議官)댁(宅)의 사음(舍音) 신옥현(辛玉鉉)이 작성하여 소작인들에게 건네준 표(票)다. 한문숙(韓文淑), 장수산(張守山), 이문겸(李文兼) 등 소작인들은 부안현 궁신리(弓新里) 전평(前坪)에 있는 이의관댁의 전답을 각기 경작하였는데, 결부로 따지면 모두 44복 9속이 되는 곳이었다. 그런데 이곳이 모두 진포질(陳浦秩), 즉 묵은 갯밭으로 들어가게 되었다. 이의관댁에서는 이를 거론하지 않는 조건으로 95냥을 작정하여 추봉(推捧)하기로 하였다. 신옥현은 만일 이번 가을에 도세(賭稅)나 결세(結稅)가 환출(還出)될 경우, 위 95냥에 대하여 월 5분례(分例)의 이자로 하여 갚겠다고 약속하면서 이 표를 작성하여 소작인들에게 건네주었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領受証一金肆百円也右<지명>下西面頓池里</지명>坪畓土四庫合十八斗落價로受領홈<연도>大正二年</연도>陰四月十五日領受人本郡<지명>下西面衣服洞</지명>一統四戶<인명>鄭公仁</인명>[印]保證人本郡<지명>下西面老谷里</지명>二統五戶<인명>金化西</인명>[印]保證人本郡<지명>下西面頓池里</지명>十二統六戶<인명>李京白</인명>[印]保證人本郡<지명>下西面三賢洞</지명>一統四戶<인명>朴泰桓</인명>[印]再畓土十八斗落四庫舊文은卽爲捧給홀事<인명>李樂善</인명> 殿(背面)<인명>鄭公仁</인명>畓價領受票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계약서

土地賣買契約書一 土地表示은 [檢証濟][印]<지명>全羅北道扶安郡下西面金光洞坪</지명>矜字二,七一七号畓一味貳斗落結三負九束一 賣買代金은貳拾五円也一 賣渡人은右賣買代金을凖領ᄒᆞ고前記土地所有權을買受人의게轉渡홈一 保証人은右賣買의 確的홈을認호고左에署名捺印홈<연도>大正二年</연도>三月十五日<지명>全羅北道全州郡伊東面波九里</지명>一統九戶賣渡人 <인명>姜化淑</인명>[印]<지명>全羅北道扶安郡東道面仙隱洞</지명>二統五戶買受人 <인명>李樂善</인명>[印]<지명>全羅北道扶安郡下西面金光洞</지명>三統九戶保証人 <인명>金鎭源</인명>[印]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733년 김명철(金明哲)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경제-매매/교역-토지매매명문 雍正十一年癸丑元月二十日 姜奉鶴 金明哲 雍正十一年癸丑元月二十日 姜奉鶴 전북 부안군 [着名] 3개, [左寸] 1개 부안 동도 전주이씨가 부안 동도 전주이씨가 1733년(영조 9) 정월 20일에 강봉학(姜奉鶴)이 다른 전답을 사기 위하여 부안현(扶安縣)의 논을 김명철(金明哲)에게 팔면서 작성한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1733년(영조 9) 정월 20일에 강봉학(姜奉鶴)이 다른 전답을 사기 위하여 자신이 매득하여 경작해 왔던 부안현(扶安縣) 지비리(之飛里)의 온자답(溫字畓)을 김명철(金明哲)에게 46냥을 받고 팔면서 작성한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이다. 온자답은 이번의 측량에서는 부수(負數)로 21부 8속으로 판정된 곳이었다. 거래시 매입자에게 본문기(本文記) 2장을 넘겨주었으며, 만일 뒷날 자손들 가운데 이 거래에 대하여 다른 말을 하는 사람이 있으면, 이 문기를 관(官)에 알려 바로잡으라고 하였다. 답주인 강봉학은 왼손의 손가락 마디를 그려 서명을 대신하였으며, 증인(證人)으로는 사위 권노랑(權老郞)이, 증보(證保)로는 김이정(金以鼎)이, 필집(筆執)으로는 김초상(金楚相)이 거래에 참여하여 답주와 함께 서명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902년 최윤칠(崔允七) 방매(放賣)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경제-매매/교역-토지매매명문 大韓光武六年壬寅十二月十九日 崔允七 大韓光武六年壬寅十二月十九日 崔允七 전북 부안군 [着名] 3개 부안 동도 전주이씨가 부안 동도 전주이씨가 1902년 12월 19일에 최윤칠(崔允七)이 부안군(扶安郡) 연동(蓮洞)에 있는 논을 팔면서 작성한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1902년 12월 19일에 최윤칠(崔允七)이 부안군(扶安郡) 연동(蓮洞) 전평(前坪)에 만자답(滿字畓) 6두락지를 팔면서 작성한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이다. 부수(負數)로는 13부 5속이 되는 곳으로 거래가격은 700냥이었다. 신문기와 구문기를 합쳐 문기 6장을 매입자에게 건네 주었으며, 차후에 이 논에 대하여 문제가 생기면 이 문기를 가지고 관에 고하여 바로잡으라고 하였다. 증인으로 김정숙(金正宿)과 강권영(姜勸永)이 참여하여 방매자 최윤칠과 함께 서명하였는데, 이 중 강권영이 이 문서를 작성하였다. 이 논은 뒷날 이정서(李正瑞)에 의해 다시 방매되었는데, "1906년 이정서(李正瑞) 방매(放賣)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가 바로 그것이다. 따라서 최윤칠 방매 문서는 이정서 방매 문서의 구문기인 셈이다. 이 두 문서를 살펴보면 4년만에 논값이 700냥에서 780냥으로 올랐음을 확인할 수 있다. 논이 있었던 연동리는 오늘날의 부안군 진서면 진서리에 해당하는 지역이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祖考諱<인명>宗愿</인명>字士謹<연도>壬辰肅宗三十八年</연도>九月二十四日生<연도>壬子正宗十六年</연도>五月初二日寅時卒壽八十一是年八月初九日丑時葬墓在<지명>扶安縣古山內慈尾洞</지명>後甲坐庚向之原公年甫十餘家禍孔酷<연도>壬癸</연도>兩年之間連遭王考內外艱及父母之憂重以一門喪慽相續不絶公以童稚之年跳身避禍或去寄于<지명>南原</지명>渭陽家或往留于<지명>京</지명>中同族家荏苒十有餘年之後轉向于<지명>扶安</지명><인명>成萬統</인명>氏家而公之姨從也年三十三始有室回寓于<지명>扶安</지명>刻意興復敎子弟以文墨之工爲宗家而別置奉祠之田使旣覆之門戶至於重創成立之境非天挺之資烏能及此孝友純至以早喪考妣未得奉養爲終身之痛每語及<연도>壬癸</연도>必泫然下淚當忌日則汛掃門庭切禁外人之來汪祭品必致富饒而且極精潔齊之夕整飭衣冠而危坐自夕達曉暫不倚側將祀之時哀號踰節一如袒括之日年迫八旬而若非疾病則未嘗不叅祀平生不以紬帛爲衣曰吾昔於父母之喪以連喪蕩敗之故初終之際未得用一尺帛吾豈忍今日着紬帛之物以爲自便之道乎子孫或欲進之則責而却之仲季兩弟嘗在於<지명>咸陽</지명>而仲弟則貧而無子季弟則早卒而三子皆幼公中年並皆率來買給田舍與之同居友愛隆篤恤撫備至隣里觀聽者莫不聳動而欽慕焉公嘗於於奔避之中以未能專心於學問爲恨脫年多粹書冊杜門靜坐沈潛反覆至忘寢食其文義之窒碍處音釋之深閟者必窮究而解得之至於陰陽術數之書亦皆貫通尤好易書作驗易方二卷以遺于後間且留意于筆工一字一畫不爲放過必以楷正爲主至於草書亦如之所騰書篇頻多而皆可爲後人之摹本焉公性外嚴而內寬凡接人之初凜然有不可犯之色及其與語溫溫有春風底和氣人以是初憚而後悅焉嗚呼語公之成家事業則眞回天之雙手也論公之進學工夫則實隱德之君子也此皆實錄豈敢有一毫所私於其間也哉

상세정보
517956
/25898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