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전체 로 검색된 결과 517956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正月七日對嶺南客 人日人來自嶺南 初筵相對可供談 袖傳八域江山景 所得非徒萬鑑金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雪月 雪白霜明月又明 夜深風宿色三淸 徘徊庭畔胷襟爽 多感天人萬古情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壬辰臘月咏雪 數旬雪積江山白 數月經過竟不消 老農爭道明年旱 將見前郊民力勞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수확내역(收穫內譯) 고문서-치부기록류-추수기 경제-회계/금융-치부책 고흥 고흥류씨 류탁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광답(光畓)에서 나온 내역. 광답(光畓)에서 11,165냥 이 있으며 조(租)로 2,037전 5푼, 곡(谷)에서는 92냥 5푼을 수확했다고 적혀있다. 분절되어 정확한 내용을 파악하기 힘들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수확내역(收穫內譯) 고문서-치부기록류-추수기 경제-회계/금융-치부책 고흥 고흥류씨 류탁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각 파에서 금액과 주고 받은 내역. 각 파에 내준 금액과 각각 지역에서 내준 금액이 적혀있다. 각 파들에서 488냥을 받았으며 학림(鶴林)의 논에서는 123냥을 받았고, 예회(禮會)의 논에선 105냥중 50냥을 받았고, 풍호(豊湖)의 답에서는 200냥 중에 120냥을 받았다고 기재했다. 계산이 15냥이 맞지 않지만 이는 미기재한 것으로 보인다. 학림은 고흥군 두원면 학곡리 학림을, 예회는 고흥군 두원면 예회리를 뜻한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수확내역(收穫內譯) 고문서-치부기록류-추수기 경제-회계/금융-치부책 고흥 고흥류씨 류탁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거둬들인 것 중 사용한 것을 기재한 내역. 수확내역과 사용내역이 적힌 원래의 종이에서 파절된 부분으로 예상되며 정확한 내용파악이 어렵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수확내역(收穫內譯) 고문서-치부기록류-추수기 경제-회계/금융-치부책 고흥 고흥류씨 류탁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미상시기에 작성된 수확내역과 분급내역. 미상시기에 작성된 내역으로 남종(奴) 정금(正今)이 가져간 내역을 기재했다. 추울 때와 더울 때 가져간 것을 따로 기재하고 있으며, 가져간 곳의 위치와 금액을 상세히 작성했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수확내역(收穫內譯) 고문서-치부기록류-추수기 경제-회계/금융-치부책 고흥 고흥류씨 류탁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각 지역에서 거둬들인 수확내역. 미상시기에 각 지역에서 거둬들인 내역을 기재하였다. 두원(豆原) 2냥, 읍내(邑內) 2냥, 도화(道化) 2냥, 남둔(南屯) 2냥, 쌍충사(雙忠祠) 3냥, 고읍(古邑) 2냥, 도양(道陽) 2냥으로 모두 16냥이며, 송방호(宋芳浩)의 받는 분류조로는 대을(大乙) 2냥, 대서(大西) 2냥, 동둔(東屯) 2냥, 남양(南陽) 2냥, 점암(占岩) 2냥으로 경오년에 순천에 있는 여종(婢)에게 받았다고 기재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수확내역(收穫內譯) 고문서-치부기록류-추수기 경제-회계/금융-치부책 고흥 고흥류씨 류탁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舍田에서 거둔 수확내역 舍田에서 거둔 수확내역. *상태 : 1장, 양면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수확내역(收穫內譯) 고문서-치부기록류-추수기 경제-회계/금융-치부책 고흥 고흥류씨 류탁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入布木과 靑龍에서 거둔 내역을 적은 문서 入布木과 靑龍에서 거둔 내역을 적은 문서. *상태 : 1장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855년 이생원(李生員) 동중(洞中)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경제-매매/교역-토지매매명문 咸豐五年乙卯正月卄四日 幼學洪秉烈 李生員洞中 咸豐五年乙卯正月卄四日 幼學洪秉烈 전북 부안군 [着名] 1개 부안 동도 전주이씨가 부안 동도 전주이씨가 1855년(철종 6) 1월 24일에 부안(扶安)의 이생원(李生員) 동중(洞中)이 유학(幼學) 홍병렬(洪秉烈)에게서 밭을 사면서 작성된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1855년(철종 6) 1월 24일에 부안(扶安)의 이생원(李生員) 동중(洞中)이 유학(幼學) 홍병렬(洪秉烈)에게서 콩밭과 삼밭을 사면서 작성된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이다. 홍병렬은 자신이 매입하여 여러 해 동안 경작해 왔던 콩밭과 삼밭 8두락을 7냥에 팔았다. 그러나 콩밭은 감자전(敢字田)이며, 삼밭은 콩밭 아래 쪽이라고만 적혀 있을 뿐 밭의 정확한 위치는 기재되어 있지 않다. 한편 문서의 하단에는 밭은 사게된 저간의 사정을 상세히 설명해 놓았다. 이에 따르면, 부안에 사는 이생원이 선산이 마을 뒤에 있는 관계로 지난 갑인년 2월에 5냥을 동중에 납부했다. 그런데 밭값이 7냥이어서 2냥이 부족하였기 때문에, 동중에서 2냥을 융통하여 밭을 매입했다. 따라서 동중에서 2냥을 환납 받아야 했는데, 마침 이생원이 동중에 왔기에 2냥을 추심하였다고 적고 있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792년 여서(女婿) 이광열(李光列)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경제-매매/교역-가사매매명문 乾隆五十七年壬子十二月十五日 朴永福 女婿李光列 乾隆五十七年壬子十二月十五日 朴永福 전북 부안군 [着名] 3개 부안 동도 전주이씨가 부안 동도 전주이씨가 1792년(정조 16) 12월 15일에 이광렬(李光列)이 장인 박영복(朴永福)에게서 논을 사면서 작성된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1792년(정조 16) 12월 15일에 이광렬(李光列)이 장인 박영복(朴永福)에게서 논을 사면서 작성된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이다. 박영복은 자신이 매입하여 여러 해 동안 경작해 왔던 재목동(材木洞) 전평(前坪)의 치자답(治字畓) 3두락지를 15냥에 사위에게 팔았다. 3두락지 가운데 1두 5승락지는 기왕에 이미 사위에게 주었고, 나머지 15냥을 마저 주면서 돈을 받은 것이다. 부수(負數)로는 7부 5속이 되는 곳이지만, 재목동이 오늘날의 어느 곳인지는 분명하지 않다. 본문기는 다른 전답의 문서에 함께 붙어 있기 때문에 사위에게 주지 못하였다. 뒷날 자손 중에 이 논을 가지고 다른 말을 하거든 이 문기를 관에 고하여 바로잡으라고 하였다. 필집(筆執)으로 유학(幼學) 이종선(李宗先)이 거래에 참여하여 서명하였다. 이 문기는 "1796년 이생원댁노(李生員宅奴) 장복(長福)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의 구문기로 추정된다. 1792년으로부터 4년이 지나 거래된 이 논의 가격은 25냥으로 그 사이 10냥이 올랐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836년 염상봉(廉相鳳)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경제-매매/교역-토지매매명문 道光十六年丙申正月望 幼學田鎭斅 幼學廉相鳳 道光十六年丙申正月望 幼學田鎭斅 전북 부안군 [着名] 2개 부안 동도 전주이씨가 부안 동도 전주이씨가 1836년(헌종 2) 정월에 유학(幼學) 염상봉(廉相鳳)이 논을 사면서 받은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1836년(헌종 2) 정월 보름에 유학(幼學) 염상봉(廉相鳳)이 부안현 선은동에 있는 논을 사면서 받은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이다. 유학(幼學) 전진효(田鎭斅)는 자신이 매득하여 경작해 왔던 선은동 전평(前坪)의 현자답(玄字畓) 4두락지를 30냥에 염상봉에게 팔았다. 결부(結負)로는 8부 2속이 되는 곳이었다. 뒷날 다른 말이 생기면 이 문기를 가지고 관에 고하여 바로잡으라고 하였다. 답주인 전진효가 자필로 명문을 작성하였으며, 유학 조갑환(趙甲環)이 증인으로 참여하여 답주와 함께 서명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907년 오명집(吳明集) 표(票) 고문서-증빙류-수표 경제-회계/금융-수표 丁未六月初九日 吳明集 丁未六月初九日 전북 부안군 [着名] 부안 동도 전주이씨가 부안 동도 전주이씨가 1907년 6월 초9일 오명집(吳明集)이 작성해 준 표(票) 1907년 6월 초9일 오명집(吳明集)이 작성해 준 표(票)다. 오명석은 대석리 앞 들에 있는 콩밭 4두락지에 대한 원세(元稅)를 19말(斗)씩으로 하기로 약속하였다. 차후에 시비가 생기면 이 표를 가지고 증빙하라고 하였다. 하지만 본 약속 문서를 누구에게 써 주었는지 알 수가 없다. 대석리는 만경군 남일면 대석리를 가리킨다. 오늘날의 김제군 성덕면 대석리 일대에 해당하는 지역이다. 수표는 매매, 임대, 전당(典當), 차용(借用) 등을 할 때 서로 간에 맺은 계약이나 약속을 기록한 문서이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756년 유학(幼學) 김창해(金昌海)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경제-매매/교역-토지매매명문 乾隆二十一年丙子十二月初八日 故金明輝妻朴召史 幼學金昌海 乾隆二十一年丙子十二月初八日 故金明輝妻朴召史 전북 부안군 [着名] 2개, [右掌] 1개 부안 동도 전주이씨가 부안 동도 전주이씨가 1756년(영조 32) 12월 초8일에 고(故) 김명휘(金明輝)의 처(妻) 박소사(朴召史)가 부안현(扶安縣) 지비리(之飛里)에 있는 논을 유학(幼學) 김창해(金昌海)에게 팔면서 작성한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1756년(영조 32) 12월 초8일에 고(故) 김명휘(金明輝)의 처(妻) 박소사(朴召史)가 부안현(扶安縣) 지비리(之飛里)에 있는 논을 유학(幼學) 김창해(金昌海)에게 팔면서 작성한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이다. 박소사는 자신이 매득하여 농사를 지어왔던 지비리의 온자답(溫字畓) 8두락지, 부수(負數)로는 25부 3속이 되는 곳을 긴히 돈을 쓸 데가 있어서 김창해에게 95냥을 받고 팔았다. 거래하면서 본문기(本文記)를 매입자에게 넘겨주었는데, 차후에 만일 동생(同生) 자손들 중에서 이의를 제기하는 사람이 있으면, 이 문기를 관(官)에 알려 바로잡으라고 하였다. 박소사는 문기에 오른쪽 손바닥을 그려 서명을 대신하였으며, 증인(證人)으로는 김인재(金仁才)가, 필집(筆執)으로는 유학(幼學) 손만웅(孫萬雄)이 참여하여 함께 서명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909년 김봉상(金奉相) 방매(放賣)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경제-매매/교역-토지매매명문 隆熙三年己酉二月初八日 金奉相 隆熙三年己酉二月初八日 金奉相 전북 부안군 [着名] 2개 부안 동도 전주이씨가 부안 동도 전주이씨가 1909년 2월 초8일에 김봉상(金奉相)이 부안군(扶安郡) 좌산면(左山面) 연동리(蓮洞里)에 있는 모시밭을 팔면서 작성한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1909년 2월 초8일에 김봉상(金奉相)이 부안군(扶安郡) 좌산면(左山面) 연동리(蓮洞里)에 있는 모시밭을 팔면서 작성한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이다. 그는 연동 전평(前坪)에 있는 만자(滿字) 저전(苧田) 1두락지, 부수(負數)로는 1부 3속이 되는 곳을 긴히 돈을 쓸 데가 있어서 60냥에 팔았다. 신문기와 구문기를 매입자에게 함께 넘겨 주었다. 만일 뒤에 이 모시밭을 두고 다른 말이 있으면, 이 문기를 가지고 증빙하라고 하였다. 서기환(徐己煥)이 증인으로 참여하여 방매자 김봉상과 함께 서명하였다. 논이 있었던 연동리는 오늘날의 부안군 진서면 진서리에 해당하는 지역이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木枕 方如地像圓如天 臥則撑頭穩夜眠 怳然夢中蒼溟入 如水寒齋便是船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詩(排律)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詩(七言律詩)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偶吟 僻地窮居木上里 生平守拙一寒士 曾無經術人擯棄 且乏家財世冷視 心欲愼言多受謗 性常戒飮少知己 雖然誰識眞君子 薄俗炎凉歎若彼

상세정보
517956
/25898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