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전체 로 검색된 결과 517956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家狀 府君姓李氏諱萬祿字大受號桐塢系出瀛州遠祖諱敬祖仕麗官僉議政丞諡文憲公封礪山君聯世燀爀十六傳至諱伯瞻以詩文嗚於世我 世宗朝中生員文科歷翰林府使至執義 光廟改玉後不復仕以遂自靖之志寔府君十二代祖也十一代祖諱錫祉自家公歛退後無意仕進自司醞洞南下扶安之行廊洞盖以宋吏判諱贇之孫壻而贅居也成廟朝筮仕授彰信校尉司直十代祖諱長孫官至瑞山郡守九代祖諱壹成均生員宣務郞八代祖諱雲齡德望聞于世以學行薦授禮賓寺參奉七代祖諱承宗通政大夫僉知中樞府事六代祖諱培五代祖諱鮮白俱有隱德高祖諱克守號小心齋從師尤菴宋先生質辨經禮居家有法爲世推重曾祖諱長春有文學德行祖諱{山+宗}能承先業考諱鎭燁有長者風篤行孝友娶綾城具氏諱橃女竹牗瑩五代孫性行貞淑有閨範以 正廟丙申七月十九日酉時生府君于扶安之乾先里第府君德性淳厚志氣淸介自在孩提不喜華靡遵奉庭訓甫八歲始入學專心課讀不作雜戱應對進退之節儼若成人事親至孝一以誠心每以貧乏不能供旨爲憂躬執樵漁餘力讀書未嘗小咈親意見聞者嘖嘖稱異十七歲遭內艱攀擗哭踊幾至傷生家無主饋奉嚴親依於從叔諱鎭默家從叔矜憐之敎導之課做也服食也與子無間府君亦事之如父惟敎是遵專心學業至二十五始聘有室因卜築于木花洞上里以設業焉夫人婦德均備奉舅誠勤不以貧窶懈其意府君嘗以幼年失恃爲恨尤以殯葬之貧不克備爲刻骨之痛每語及內艱輒飮泣掩涕嗚咽不能言聞人之喪慟若在已奉嚴親竭力盡誠便身之物無不畢給滫瀡定省之節欲以盡前日未盡底誠意又未幾歲在己巳遭外艱送終凡節殫誠準備無有餘憾矣用山於牛浦等地地主徵其價府君曰家雖貧寒豈可使有唇舌於葬親之土乎遂卽盡賣如干器物以償之仍無調度之計矣服闋後每忌辰齊沐衣冠終日危坐不與人語俯伏哀痛無異袒括之日老而深篤雖孔寒潦炎之時必薦新物極盡禮需若府君之孝眞夫子所謂生事之以禮死葬之以禮祭之以禮者也歟一日當妣諱前期二日家畜牝狗有將乳之漸棲于厨下不留晷刻矣家人告以俗忌云狗乳未三日不得行祀府君聞之卽蹶起躬臨諭狗曰爾雖微物養者久矣倘不知主人之意耶若因汝故而拘忌闕享則是至痛所在也情喩備盡有足感動物者矣狗乃拂耳掉尾若有聽感之意越二日質明後狗乃乳先府君在世時別嗜生薷菜忌在臘月故每乾置以爲忌日之供矣歲甲戌冬失其乾薷無以供進耳責其家人而入後園飮泣彷徨忽有數本生薷獨秀於雪中一家以爲神異之此豈非孝感之所致乎隣里與宗族之所共稱異者也平居鄙俚之語貨利之念未嘗形於辭色訓誨後進諄諄引接成就儒業者頗多矣若上舍公諱文祿柿陰公諱八祿皆府君之羣季惠連也以行儉文學倂名於世豈非餘廕耶中歲以來無意功利因廢擧業屛迹陋巷與世相忘庭畔有一株桐挺然特立每盤桓其下吟哢遣懷鄕人名其室曰桐塢因以爲號嘗言超拔塵臼日與賢友優遊以終餘日則不亦樂乎遂倣蘭亭契事與鄕社同志五六修契立約春秋講會一觴一詠以暢敍交情人稱蓬壺六逸云其述懷詩什總若干篇以 憲廟丁未二月七日考終于第享年七十二以四月葬于古阜斗升山南眞岩坐乙之原鄕隣士林皆輓之誄之後十有二年 當宁戊午二月移葬于縣南乾先坊書堂洞壬坐之原配平康蔡氏諱德胤之女壬寅生辛亥卒墓合窆有三男長東烈次東益次東麟出系女箕城李澈洪詩山許錫龍義城金基亨東烈號省岩守己以律誨子以嚴接人以恭誘宗以睦且事親至孝於送終則其占地也祭山祝天其省楸也箒雪芟草鄕隣莫不歎其誠服其孝也如何昊天使不延其壽萬事中止豈非一門之痛切哉娶義城金氏諱粲運之女無男女以弟東益之子奎魯爲後卽不肖也東益號直齋天性淳篤氣宇峭剛凡言動質實不爲表襮家貧無以養親躬漁以供及當忌辰則謂家人曰祭物豊儉雖稱家有無若精潔與否在誠敬何如耳將事之夜通晨不寐老而不衰矣娶扶寧金氏諱奉珏之女生三男奎魯廣魯驥魯一女興城張采承東麟娶箕城李氏諱賢模之女生一男錫魯一女延安金思庚內外孫曾羅列不可杖擧嗚呼痛哉以不肖之謏見劣學曷敢濫意於繼述之一端也哉省岩府君常恨家狀之未備臨其歸也遺言家傳常有耳如昨不肖亦有所感慕之篤摯故謹草實錄如右而實行猶未盡記奚暇文飾姑竢立言君子云爾云爾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추수기(秋收記) 고문서-치부기록류-추수기 경제-회계/금융-치부책 고흥 고흥류씨 류탁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大門中의 몫과 虎形쪽의 몫을 기재해놓은 추수기 미상시기에 작성된 수확내역이다. 본문에는 대문중(大門中;고흥 류씨)에서 모인 금액은 116냥이 있으며 22냥과 10냥, 30냥, 60냥을 받았다고 적었다. 당시 호형에 계원은 3명이 있었고 그들이 모은 금액은 6냥, 51냥 8전을 받았다고 적었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추수기(秋收記) 고문서-치부기록류-추수기 경제-회계/금융-치부책 고흥 고흥류씨 류탁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미상시기에 작성된 수확내역. 미상시기에 작성된 수확내역이다. 새로이 각 8전 5복을 받았으며 □□댁에서 다시 받은 것은 1냥 3전, 쌀로 6전 5복으로 계산되었고 또 새로 8전 5복을 받았다. 합은 2냥 8전이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추수기(秋收記) 고문서-치부기록류-추수기 경제-회계/금융-치부책 고흥 고흥류씨 류탁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미상시기에 작성된 수확내역. 미상시기에 작성한, 각 지역에서 수확한 내역을 담고 있다. 두원(豆原)에서는 24냥 5전을 냈고, 고소(姑蘇)에서는 7냥 7전을, 풍안(豊安)에서는 29냥 8전을 냈는데 이 중 28냥은 사복(社福)을 위해서 가져갔다. 소곡(蔬谷)에서는 낸 2냥 중 1냥 4전을 오동나무 세우는데 가져갔고, 호산(虎山)에서는 19냥 6전을, 호형(虎形)에서는 6냥을 냈다. 술값으로 빌려간 6전을 받았다고 적었다. 여기서 두원은 고흥군 두원면을, 고소는 고흥군 고흥읍 고소리를, 풍안은 고흥군 풍양읍 안동리를, 호산은 고흥군 고흥읍 호동리 일대를, 호형은 고흥군 고흥읍 호형리를 뜻한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추수기(秋收記) 고문서-치부기록류-추수기 경제-회계/금융-치부책 [19세기후반~20세기초반] 고흥 고흥류씨 류탁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미상시기에 작성된 수확내역. 미상시기에 작성한 각 지역의 수확한 내역을 담고 있다. 187냥 9전을 모았으며 벼로 모인 금액은 56냥 5전이며 둘의 합계는 244냥 3전이다. 10냥은 소곡(蔬谷)에서 있는 사직공(司直公) 제사에 바쳤고, 7전 8푼은 분동(粉洞)에서, 강을 할 때 25냥 1전 7복을 사용했다. 실재로 남아있는 금액은 208냥 4전 3푼이 있다고 적혔다. 옆부분에 류영신(柳永新)과 낸 금액이 기재되어 있지만 잘려있어 내용을 확인하긴 어렵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수확내역(收穫內譯) 고문서-치부기록류-추수기 경제-회계/금융-치부책 고흥 고흥류씨 류탁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미상시기에 작성된 수확내역. 수확내역이 적힌 원래의 종이에서 파절된 부분으로 예상되며 정확한 내용파악이 어렵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수확내역(收穫內譯) 고문서-치부기록류-추수기 경제-회계/금융-치부책 고흥 고흥류씨 류탁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미상시기에 작성된 수확내역과 가져간 내역. 1냥 3전 7복이 전룡(田龍) 장생원(張生員)의 답에서 나오고, 10냥 8전중 1냥 4전과 남아있는 9냥 4전은 분천답(粉川畓)의 송생원(宋生員)의 답에서 나왔으며, 2냥은 금산(金山) 김생원(金生員)의 답이라고 적혀있다. 분절된 내용으로 추측한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845년 정득완(鄭得完) 방매(放賣)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경제-매매/교역-토지매매명문 道光二十五年乙巳十一月二十日 鄭得完 道光二十五年乙巳十一月二十日 鄭得完 전북 부안군 [着名] 2개 부안 동도 전주이씨가 부안 동도 전주이씨가 1845년(헌종 11) 11월 20일에 정득완(鄭得完)이 부북(扶北)에 있는 논을 팔면서 작성한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1845년(헌종 11) 11월 20일에 정득완(鄭得完)이 논을 팔면서 작성한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이다. 그는 긴히 돈을 쓸 데가 있어서 부북(扶北) 팔작(八作)의 누자답(樓字畓) 10두락지, 부수(負數)로 20복 5속이 되는 곳을 90냥에 팔았다. 거래시 매입자에게 구문기 2장과 신문기 1당을 함께 넘겨주었다. 뒷날 자손 중에 이 논에 대하여 다른 말을 하는 사람이 있으면 이 문기 3장을 가지고 관(官)에 고하여 바로잡으라고 하였다. 증인 겸 필집(筆執)으로 오예경(吳禮敬)이 거래에 참여하여 서명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840년 김기하(金基夏)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경제-매매/교역-토지매매명문 道光貳十年二月初十日 幼學李遠弼 幼學金基夏 道光貳十年二月初十日 幼學李遠弼 전북 부안군 [着名] 2개 부안 동도 전주이씨가 부안 동도 전주이씨가 1840년(헌종 6) 2월 초10일에 유학(幼學) 이원필(李遠弼)이 김기하(金基夏)에게 논을 팔면서 작성한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1840년(헌종 6) 2월 초10일에 유학(幼學) 이원필(李遠弼)이 김기하(金基夏)에게 논을 팔면서 작성한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이다. 그는 흉년이 들어 도저히 살 길이 없을 뿐만 아니라, 묵어서 쓸모 없는 토지만 허다한 반면에 세금 또한 마련할 길이 없어서 부득이 부안현(扶安縣) 우산내면(右山內面) 자미동(子味洞)에 있는 묘답(墓畓) 3두락지, 부수로는 9복이 되는 곳을 팔게 되었다고 거래 사유를 밝히고 있다. 거래가격은 50냥이었다. 그는 관련 입지(立旨)와 신문기를 매입자에게 넘겨 주었다. 뒤에 이 논에 대하여 말썽이 생기면 이 문기를 가지고 증빙하라고 하였다. 증인(證人) 겸 필집(筆執)으로 오경문(吳敬文)이 답주(畓主) 이원필과 함께 거래에 참여하여 서명하였다. 위의 자미동은 오늘날의 부안군 변산면 대항리에 해당하는 지역이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88년 안성집(安成集) 수표(手標) 고문서-증빙류-수표 경제-회계/금융-수표 光緖十四年戊子二月二日 安成集 光緖十四年戊子二月二日 安成集 전북 부안군 [着名] 1개 부안 동도 전주이씨가 부안 동도 전주이씨가 1888년 (고종 25) 2월 2일 안성집(安成集)이 30냥을 빌리면서 작성한 수표(手標). 1888년 (고종 25) 2월 2일 안성집(安成集)이 30냥을 빌리면서 작성한 수표(手標)이다. 안성집은 급히 돈을 쓸데가 있어서 부안현(扶安縣) 일도면(一道面) 매산리(梅山里) 전평(前坪)의 방자답(傍字畓) 12두락지(斗落只)를 전당(典當) 잡혔다. 이 방자답은 부수(負數)로 20복(卜) 8속(束)인 곳이다. 안성집은 논 문서 1장(丈)을 전당 잡히고 30냥을 얻어 썼다. 매달 5부 이자를 내기로 약속하였다. 전당기한은 9월 말일로 하고 이때까지 원금과 이자를 함께 갚기로 약속하는 문서를 작성해 주었다. 안성집은 부안의 전주이씨 소장문서 가운데 "1894년 안성집(安成集) 방매(放賣)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에서는 부안현(扶安縣) 일도면(一道面) 매산리(梅山리)에 있는 논의 매도자로, "1900년 이낙선(李洛善) 소지(所志)"에서는 분쟁 관계에서 이낙선으로부터 고발을 당하는 인물로 등장한다. 수표는 매매, 임대, 전당(典當), 차용(借用) 등을 할 때 서로 간에 맺은 계약이나 약속을 기록한 문서로 본 문기에는 이자율과 빌린 돈을 갚기로 한 날짜가 기록되어 있다. 추가로 본문에 일장(一張)은 일장(一丈)으로 써야 바른 표기이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793년 신명직(辛命直)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경제-매매/교역-토지매매명문 乾隆五十八年癸丑四月初六日 金履直 辛命直 乾隆五十八年癸丑四月初六日 金履直 전북 부안군 [着名] 2개, 喪人 1개 부안 동도 전주이씨가 부안 동도 전주이씨가 1793년(정조 17) 4월 초6일에 김이직(金履直)이 양친(兩親)의 장례를 치르기 위하여 부안(扶安) 일도면(一道面) 지비리(之飛里)에 있는 논을 팔면서 작성한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1793년(정조 17) 4월 초6일에 김이직(金履直)이 양친(兩親)의 장례를 치르기 위하여 부안(扶安) 일도면(一道面) 지비리(之飛里) 전평(前坪)에 있는 온자답(溫字畓) 8두락지와 7두락지, 그리고 6두락지 논 등 세 곳을 신명직(辛命直)에게 310냥을 받고 팔았다. 이곳은 김이직이 외가(外家)로부터 자기몫으로 물려받은 논이었다. 당시 김이직은 사정이 있어서 양친의 장례를 바로 지내지 못하고 조금 기일이 지난 뒤에 치르게 되었는데, 이 때문에 장례비용이 필요하여 논을 팔게 되었다. 8두락지 논은 부수(負數)로는 24복 6속이 되는 곳이었으며, 7두락지 논은 21복 8속이 되는 곳이었으며, 6두락지 논은 18복 7속이 되는 곳이었다. 거래시 본문기(本文記) 7장을 매입자에게 건네주었는데, 만일 차후에 족속 가운데 다른 말을 하는 사람이 있을 경우에는 이 문기를 관에 알려 바로잡으라고 하였다. 당시 김이직은 상중이어서 문서에 서명하지 않았으며, 증인(證人)으로는 최덕관(崔德寬)이, 필집(筆執)으로는 유학(幼學) 김광이(金廣履)가 참여하여 함께 서명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기해년(己亥年) 송항순(宋恒淳) 방매(放賣)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경제-매매/교역-토지매매명문 己亥十一月十二日 幼學 宋恒淳 己亥十一月十二日 幼學 宋恒淳 전북 부안군 [着名] 2개 부안 동도 전주이씨가 부안 동도 전주이씨가 기해년(己亥年) 11월 12일에 송항순(宋恒淳)이 부안군(扶安郡) 연동(蓮洞)에 있는 논을 팔면서 작성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기해년(己亥年) 11월 12일에 유학(幼學) 송항순(宋恒淳)이 부안군(扶安郡) 연동(蓮洞)에 있는 논을 팔면서 작성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이다. 그는 이 논을 자신이 매득하여 경작해 왔으나 다른 논을 사기 위하여 팔게 되었다고 매매사유를 밝히고 있다. 거래대상이 된 토지는 연동 동평(東坪)의 만자답(滿字畓) 6두락지이며, 부수(負數)로는 18부가 되는 곳으로 거래가격은 330냥이었다. 거래시에 신문기 1장과 반으로 나눈 구문기 2장을 함께 매입자에게 건네주었다. 만일 뒤에 문제가 있으면, 이 문기를 가지고 증빙하라고 하였다. 문서의 끝 부분에는, 지난 병신년에 김여중(金汝中)으로부터 논을 사면서 받았던 신문기를 유실하여 주지 못한다고 하였다. 이로 미루어 보면, 반으로 자른 구문기는 그보다 훨씬 전에 이 논을 거래하면서 작성된 구문기로 추정된다. 증인으로 유학 김하순(金河舜)이 거래에 참여하여 방매자 송항순과 함께 서명하였다. 증인 김하순은 사실 이 전에 이 논을 갖고 있다가 팔았던 당사자이기도 하였다. "임인년(壬寅年) 김하순(金河舜) 방매(放賣)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이 바로 그것으로, 이 문서의 구문기이기도 하다. 논이 있었던 연동리는 오늘날의 부안군 진서면 진서리에 해당하는 지역이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연도>光武四年</연도>庚子四月初十日 前明文右明文事段以要用所致伏在<지명>全羅北道萬頃南一面竗羅</지명>坪方字畓十七斗落結三十八負果同字畓六斗落結十三負七束果同字畓五斗落結十一負一束果同字畓九斗落結二十三負七束果同字畓三斗落結七負六束果同字畓四斗落結九負五束果同字畓十二斗落結二十六負七束果盖字畓九斗落結二十六負果同字畓十五斗落結三十三負六束果同字畓六斗落結十五負六束果同字畓六斗落結十五負四束果同字畓十斗落結二十五負七束果同字畓十二斗五升落結二十七負一束果同字畓六斗落結十二負三束果同字畓九斗落結二十四負五束果同字畓九斗落結二十一負七束果同字畓十二斗五承落結二十七負一束果食字畓四斗落結七負四束果同字畓六斗落結十六負七束果同字畓四斗落結十一負八束果此字畓十三斗落結二十五負七束果同字畓九斗落結二十二負三束果同字畓九斗落結二十二負三束果同字畓十三斗落結三十負四束果同字畓四斗落結十一負九束果場字畓九斗落結二十四負七束果化字畓八斗落結二十二負二束果髮字畓九斗落結二十九負四束果身字畓六斗落結十七負一束果萬字畓四斗落結七負三束果木字畓十二斗落結二十六負七束果白字畓十五斗落結三十五負二束果同字畓六斗落結十負二束果在樹字畓十五斗落結三十三負果衣字畓九斗落結二十四負一束果制字畓十三斗落結二十八負八束果樹字畓十三斗落結二十三負九束果鳴字畓九斗落結十七負七束果同字畓八斗落結十三負一束果同字畓九斗落結三十負八束果同字畓十八斗落結四十負果鳳字畓十斗落結二十三負九束果同字畓九斗落結二十二負果同字畓三斗落結六負二束果賴字畓九斗落結二十負三束果制字畓三斗落結五負二束果食字田三斗落結九負果同字田三斗落結七負八束果同字田二斗落結五負果場字垈田一斗落結一負廤合田與畓貳拾石拾捌斗落乙価折錢文壹萬捌仟伍百兩依數捧上是遺右宅前以新文記㱏丈永永放賣爲去乎日後若有異說則以此文記憑考爲乎事畓主 萬頃 <인명>李福宗</인명>[着名]從兄 <인명>李允化</인명>[着名]證人 <인명>吳云先</인명>[着名]筆執 <지명>京</지명> <인명>張永根</인명>[印]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冬雨 冬天宜雪不宜雨 連月霏霏可謂淫 溝瀆合流川水溢 無異三夏注甘霖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旌閭時各郡儒林通文 井邑儒通 丙寅右通諭事旌忠褒孝 朝家之盛典闡行揚善士林之公議也 貴縣故處士李萬祿之父子一門二孝罕古所有而系出瀛州古文憲公李敬祖之後裔也其父事親至孝家素貧窮孝養之道出於至誠詩禮之學無不日講而萊子之舞彩復覩於髧齠之時伯兪之泣笞又慕於老親之庭其忠養之志出於自然之天非其勉强也當其妣忌之日牝狗有將乳之漸而聽其主之戒言狗乃避乳微物之感豈非天乎其子東烈能繼父道定省之節薪水之供不敢以疾恙廢之奄遭親喪送終之禮極其至誠結床林原千夜禱天築壇蓬岳百日祭山必有神明感應占山後每日省拜於墓所躬掃積雪手芟茂草哭泣之悲無異袒括之日階前當膝處皆穿又植松楸長養而蝗灾不犯微物之感應亦非天乎百行之源一家成風父兮子兮人之欽慕景仰無遠不屆聞不可含默故玆以馳通惟願 貴縣僉君子博議實蹟齊發闡揚俾爲登聞極致旌褒之地千萬幸甚丙寅正月三日井邑儒林幼學柳章煥孫錫哲南鎤柳星八安聖輝宋鎭奎柳灃煥李玄周安錫允金啓恒柳敦煥李秉常安瓊述柳榮琪宋尙鎭安大應任百震柳益煥安泰鎭白哲洙孫麟涉興德儒通 丙寅右文爲通諭事旌褒孝烈 朝家之盛典也闡敭幽微士林之公議也 貴縣故處士李萬祿卽文憲公敬祖後裔翰林伯瞻十二代孫也早襲詩禮庭訓不墜孝友家聲操行純美學識高明尤篤於事親家素淸貧菽水難繼山樵水漁就養無方朝耕夜讀竭力供職隆冬生薷之供忌日乳狗之避不下於孟宗之笋董子之狗此豈非感物而然耶以之叙族而雍睦成風以之接物而和氣襲人則傳所謂孝爲百行之源者今日準備語也夫大孝不匱而子焉而爲大孝者盖寡矣孝焉而能不匱者尤鮮矣孝子之子東烈又克趾先美定省之勤瀡滫之供靡不用極及其丁憂祭天禱山以祈其安窆三年廬墓事亡如事存晨昏侍奠終始如一其墓下當膝處土爲之穿且四山松楸爲虫所食攀松號泣揮淚灑葉滿山松虫移居他山楸下蒼翠獨也依舊此莫非誠孝所格物亦感也其父之孝其子之孝誠是不世出之大孝而幷出於一世萃美於一門則眞所謂醴泉有源靈芝有根也以若人之孝泯滅無聞非但爲士林之齎菀抑亦爲 朝家之欠典其在秉彝之性不容含默惟願僉君子采此實蹟亟修剡章仰稟 營邑俾徹 天聽以爲旌淑樹風之地幸甚丙寅三月十日興德儒林幼學李澈豊白昌鎭李可年考巖書院儒通 丙寅右通諭事夫孝者百行之源五倫之首也人有出天之孝則鄕有褒薦之風 國有旌閭之典秉彝所生凡有血氣者孰不觀感哉 貴縣故處士李萬祿父子一門二孝也系出瀛州文憲公李敬祖之後裔也其父則事親至孝家雖貧寠山樵水漁供甘其旨或有餘力則講讀古書行義於其中每當忌辰哀痛罔極無異袒括之日極盡奉祀之禮矣當其妣忌之日牝狗有將乳之漸躬臨諭狗曰爾雖微物養來已久豈不知主人之意耶因汝故而闕祭是至痛無地云云則狗乃拂耳掉尾感其至誠越二日質明後乃乳此豈非出天之孝而然乎漁樵之供乳狗之感不專美於董生邵南也其子東烈亦事親至孝而定省之節忠養之奉極盡至誠陸家之橘每思懷中王氏之奈亦守庭上矣奄遭親喪盡其送終之禮而結床林園千夜禱天築壇蓬岳百日山祭以若誠孝之篤有神明之感應占山後每日省拜墓前階下當膝處皆穿箒雪芟草行路之人指點矣又手植松楸長養而蝗灾入境遍無靑松獨於此松不入乃止此豈非人之至孝物有所感者乎有是父有是子自成一家之風自家而鄕自鄕而國聞不勝歆仰景歎者也玆以馳通惟願 僉君子共成闡揚之論轉報 棠營天陛俾蒙旌閭之典千萬幸甚丙寅四月二日考巖書院會所儒林幼學柳瓘鎭白瑢鎭金彰煥羅昌燁朴海奭鄭海禹金益煥朴仁陽南鎤柳敦煥宋基浩柳範春奇鍾國高濟九南鑽李存植李哲文光州儒通 癸酉右通諭事夫蘭生於谷而香播於遠玉藏於山而光潤於外者其香光也有所蘊而然歟人之處世有實行令名而稱誦於遠外者何異於谷之蘭山之玉乎貴邑故處士李公萬祿之至孝聞之宿矣其事親也山樵水漁甘旨自足朝耕夜讀文章乃成奉祀至誠乳狗感應事之所行物之所感無非誠孝中發來者則比諸古而不下於東京之季偉唐朝之邵南矣然而未有拔揮之尙欠旌褒之典久爲士林嗟惜又聞其胤子東烈能繼父道夏扇冬身以養生時祭天禱山以極襄禮盖東烈甫師事東谷宋先生先生每稱其文識三年之內每日晨昏奠谷墓所當膝處皆穿數年松蝗左右山形蕭瑟獨於李公墓松楸依舊蒼蒼則是豈偶然哉物感而然乎一門二孝於古罕有而今專美可謂醴泉有源靈芝有根曷不欽仰鄙等忝在道內章甫之列其在聳動之地亦不可無言故玆以通告惟願 僉君子仰籲于孝理之本倅轉報于巡營 啓薦于 朝家旌其門表其閭以觀列聖朝培植之功以闡盛德門丕承之孝千萬幸甚癸酉閏六月十五日光州儒林幼學朴海亨高時允李泰鉉奇德永朴燾休柳灝根尹範九奇潤永李晉秀高濟祐朴楨根宋文奎閔致龍崔基中金洪承朴晛東李晉永羅州儒通 癸酉右通諭事夫孝人子莫大之職分也近世以孝薦者甚繁而問其孝則不過一世而止耳若夫微物感化鄕里稱服能繼世而孝者今古罕有故孟宗之子未有孟宗王祥之子未有王祥而今果有父孝子又孝子一人焉 貴縣故處士李萬祿之父子是耳處士公之事親也養生送死無感之節不可枚擧而適當忌祭恐汚齊潔乳狗避去則便是陳氏家之同化也窮執樵漁隱居行義古書夜讀則此是董生孝之復見矣惜乎風化漸降褒典未蒙其所士林之嗟嘆者久矣近聞處士公之子東烈又能克家業事親以孝禱天祭山養生送死克盡子職能繼父道省拜墓所箒雪芟草當膝處皆穿手植松楸禁護有蝗灾不犯之異物感而然乎一門一孝猶所嘆仰而一門二孝孰不景慕而聳動哉如此卓異之行苟有秉彝之性者不可恬黙故玆以通諭惟願 僉君子卽稟于本官轉報 營門而以蒙 朝家褒旌之 典以副士林顒望之地幸甚癸酉六月二十九日羅州儒林幼學崔梯金性烈李炳采吳一善羅昌煥鄭源浩洪益周朴齊靑林昕洙柳寅獻閔采鎬進士崔權高時翰羅元錫李龍運南原儒通 甲戌右通諭事夫靈芝有根醴泉有源人之爲子者能繼父孝道者其有根源而然歟 貴邑故處士李萬祿之至孝有其子丕承其美一門二孝古今罕有豈可寥寥於來世者乎盖公之事親也自在齠齡能知愛親敬長接人應物之道其爲弱冠專主山樵水漁朝耕暮讀之方日用動靜無不合理是豈非誠孝學力之所蓄積而然耶生事死葬祭祀之節一依家禮且當忌辰家狗欲生雛公嫌其不精狗乃避乳感動微物尤極所難永感之後無意功名歗詠山水自適己意世稱李處士云東烈之養親也一依前規小無違越冬以身溫衣夏以扇凉枕及其襄禮也禱於山祭於天以卜吉地有是父子之孝遠邇成頌服膺蓬山之毓靈彩江之淑氣殆已盡於李氏門乎雖有潛德不揚不輝故玆以通告惟願 僉君子薦闡世躋之美矜式培植之功千萬幸甚甲戌三月二日南原儒林幼學尹炳斗金翰求金炳魯李廷九黃元黙李斗會盧有信梁恭鎭梁在德李亨白韓奎錫晉成福房浩泰朴敬亮李炳國全州儒通 甲戌右通諭事書曰克諧以孝詩曰孝思惟則賢聖經傳之旨莫不以孝一字爲大則孝之爲孝豈非人倫之難且至哉古昔王祥之冰鯉孟宗之冬芛莫非孝之所感焉而王祥之孝一於致鯉故皇天亦能感其誠孟宗之孝一於致笋故造化不能奪其權以此觀之詩書之稱孝良有以也 貴郡故處士李萬祿之孝行遠邇之所共見聞者也其事親也樵山漁水極盡養生傾貲營壙無憾送死家狗避乳於忌日文學成章於夜讀孝之終始於斯可觀其胤子東烈無改父道暑則扇寒則溫以悅親心禱於天祭於山以長恩愛蝗虫不犯鄕黨服膺眞所謂良冶之子學裘良弓之子學箕而然歟至孝能感微物奚殊乎冰鯉冬笋之事乎跡雖殊而致則同矣然尙不聞褒闡之說豈非士林之嗟嘆哉鄙等旣在章甫之名故玆敢通諭惟願 僉君子仰籲于 貴邑太守轉報 營門登聞褒寵之地幸甚甲戌三月十日全州儒林幼學黃龍顯金全九李炳祖宋鎭澤崔哲弘柳馨根李炳集金祥守權克秀洪在赫崔始彦柳益煥李寧一尹定大姜在鳳吳福烈蘇殷述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感時物慰內從宋永新【有昔】 枯木向陽更少年 枝枝葉葉樂良辰 人何無此還生理 欲問蒼天㝠黙然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壯洞書社和金文玉【命楫】 簷前裊裊千絲柳 浦上童童一盖松 把酒臨風詩興足 無邊光景善形容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見少娥移秧 彼美人兮二八女 何年誤嫁一田夫 嗟余衰暮垂霜髮 惜汝糞泥汚雪膚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次壺巖卞【啓賢】草堂壁上韻 二首 知是先生脫俗塵 煥然遺蹟是傳神 山襟水帶千百世 猶有草堂顔色新開戶看山忘市塵 憑欄觀水爽精神 先生杖屨咏觴地 花木爲誰依舊新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상세정보
517956
/25898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