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버지의 명으로 목백 임윤신53)의 시에 대신 차운하다 以嚴君命代次牧伯任公允臣韻 수령54)이 금각55)을 떠나 鳧舃辭琴閣표연하게 산수의 사이에 있네 飄然水石間안개와 노을 낀 기다란 길 고요하고 煙霞脩逕靜술동이 있는 작은 집 한가롭네 樽酒小齋閑하늘의 밝은 태양 얼마나 아득한가 白日天何逈들녘의 푸르른 모가 스스로 위로하네 靑秧野自寬쇠약한 백성들은 흰 머리 흩날리며 殘民揚素髮두 손으로 빛나는 안장에 절을 하네 雙手拜華鞍 鳧舃辭琴閣, 飄然水石間.煙霞脩逕靜, 樽酒小齋閑.白日天何逈, 靑秧野自寬.殘民揚素髮, 雙手拜華鞍. 임윤신 1529~1588. 본관은 풍천(豐川), 자는 경룡(景龍)이다. 1559년 기미년 정시문과(庭試文科)에 병과(丙科)에 급제하고 부제학, 동래부사를 지내다가 1587년 나주목사를 역임하였다. 수령 원문의 '부석(鳧舃)'은 신선들이 신는 신발을 말하는데, 여기서는 지방의 수령들을 가리키는 뜻으로 쓰였다. 《후한서(後漢書)》 〈방술열전 상(方術列傳上) 왕교전(王喬傳)〉에 "왕교는 하동(河東) 사람인데 현종(顯宗) 때 섭현 영(葉縣令)이 되었다. 왕교는 신술(神術)이 있어서 매달 삭망(朔望)에 대(臺)에 나와 조회하였다. 황제가 그가 자주 오는데도 수레가 보이지 않는 것을 괴이하게 여겨 태사(太史)로 하여금 몰래 엿보게 하니, 태사가 그가 올 때에는 두 마리의 오리가 동남쪽에서 날아온다고 하였다. 이에 오리가 오는 것을 보고 그물을 펴서 잡으니, 단지 신발 한 짝만 있었다. 상방(尙方)에 명하여 자세히 살펴보게 하니 전에 상서원(尙書院)의 관속들에게 하사한 신발이었다." 하였다. 금각 수령이 정사하는 곳을 말하는데 금당(琴堂)이라고도 한다. 옛날 복자천(宓子賤)이라는 어진 수령이 선보(單父)라는 고을을 다스릴 때 거문고를 타면서 마루 아래에 내려온 일이 없었으나 선보현은 잘 다스려졌다는 고사에서 유래한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