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조선 으로 검색된 결과 3262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閔再鎬(발급자), 花村 侍執 叔君(수취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저자 :
김갑현 등(金甲鉉 等, 발급자), 유사 첨집사(有司 僉執事, 수취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저자 :
유중교(柳重敎, 1832~1893, 조선, 저)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자부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호남의 기정진(奇正鎭), 영남의 이진상(李震相)과 함께 조선 말기 성리학의 3대가로 꼽힌다.

상세정보
저자 :
영조(英祖, 조선, 발급자), 윤광소(尹光紹, 1708~1786, 조선, 수취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상세정보
저자 :
吏曹(발급자), 金鳳植(수취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상세정보
저자 :
從姪 升赫(발급자), 從叔主(수취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저자 :
윤증(尹拯, 1629~1714, 조선)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상세정보
저자 :
정지운(鄭之雲, 조선, 저)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자부

상세정보
저자 :
이전인(李全仁, 1516~1568, 조선, 저)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상세정보
저자 :
이전인(李全仁, 1516~1568, 조선, 저)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西山眞氏曰集註所引程子三說其一曰不以貧窶改其樂二曰蓋自有其樂三曰所樂何事皆不說出顔子之樂是如何樂其末却令學者於博文約禮上用工博文約禮亦有何樂程朱二先生若有所隱而不以告人者其實無所隱而告人之深也有人謂顔子所樂者道程先生以爲非由今觀之樂者道之言豈不有理而程先生乃非之何也蓋道只是當然之理而已非有一物可以玩美而娛悅也若云所樂者道則吾身與道各爲一物未到渾融無間之地豈足以語聖賢之樂哉顔子工夫乃是博文約禮上用力博文者言於天下之理無不窮究而用功之廣也文者言凡物皆有自然之條理也博者廣也如伊川之論格物自一身性情之理與一草一木之理無不講究是也約禮者言以理檢束其身而用功之要也如視聽言動必由乎禮常置此身於準繩規矩之中而無一毫放逸恣縱之意是也博文者格物致知之事也約禮者克己復禮之事也内外精粗二者竝進則此心此身皆與理爲一從容游泳於天理之中雖簞瓢陋巷不知其爲貧萬鍾九鼎不知其爲富此乃顔子之樂也程朱二先生恐人只想像顔子之樂而不知實用其功雖日談顔子之樂何益於我故程子全然不露只使人自思而得之朱先生又恐人無下手處特說出博文約禮四字令學者從此用力眞積力久自然有得至於欲罷不能之地則顔子之樂可以庶幾矣素患難中庸曰君子素其位而行不願乎其外素富貴行乎富貴素貧賤行乎貧賤素夷狄行乎夷狄素患難行乎患難君子無入而不自得焉【附註】北溪陳氏曰君子無所往而不自得惟爲吾之所當爲而已程子貶涪州渡江中流船幾覆舟中人皆號哭先生獨正襟安坐如常已而及岸同舟有父老問曰當船危時君獨無怖色何也曰心存誠敬耳父老曰心存誠敬固善然不若無心先生欲與之語老父徑去不顧自涪還洛氣貌容色髭髮皆勝平昔謫涪註周易與門弟子講學不以爲憂赦得歸不以爲喜尙友孟子謂萬章曰一鄕之善士斯友一鄕之善士一國之善士斯友一國之善士天下之善士斯友天下之善士以友天下之善士爲未足又尙論古之人頌其詩讀其書不知其人可乎是以論其世也是尙友也朱子曰言己之善蓋於鄕然後能盡友一鄕之善士推而至於一國天下皆然隨其高下以爲廣狹也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조선에 들어와 공조참의(工曹參議)를 지내고 판서(判書)에 증직되었다.8세. 명신(明晨). 지돈녕부사(知敦寧府事)를 지냈고, 시호는 강평(康平)이다.9세. 추(抽).

상세정보
저자 :
영조(英祖, 조선, 발급자), 윤동수(尹東洙, 조선, 수취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상세정보
저자 :
자선(自先, 발급자), 손이(孫伊, 수취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상세정보
저자 :
東谷書院(발급자), 幼學 尹德炳(수취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상세정보
저자 :
弟 案孝(발급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3262
/164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