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일기 으로 검색된 결과 3305건입니다.

정렬갯수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一其饍服。無間已出。其季女失乳泄痢。先府君憐其情狀。提臥寢房。而鞠之。先妣于歸才三朝。命婢携入。䭧之撫之。揩拭其屎。人咸稱新人所難。及嫁早寡。尤加矜恤。每遺衣需穀物。如是者。二十餘年。如一日。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公乃血指以延一期之壽。及最後㞃指血。竟無效。以壬子正月十九日遭艱。公崩霣靡逮。終喪一如。暑不 脫衰絰。寒不離苫塊。仲氏欲盧墓。公慮其傷毁。以無於禮强止之。日往省掃。雖酷風雨。不少間斷。服闋。謂仲氏曰。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歲庚申仲春初三日己卯。 善山 柳羲迪 謹記。 인욕을 막고 《맹자》에 '인욕을 막고 천리를 보존한다.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日氣陰陰。 西風大吹。 夜雪。冬至吟。一陽初動歲之頭。其漸由來剥落秋。豆粥家家時節好。閉關處處旅人愁。齊明盛服嚴承祭。沐浴掩身靜對幽。氣化流行從此始。春風不遠到神州。奭鎭問。 孟子道性善之言。答曰。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日幾英雄。山動三軍鼓。海飜萬幕風。中宵瞻北闕。涕淚透蒼穹。板蕩誠臣在。一戎報國衷。時李忠武爲統相。巡邊使以嫌隙。百端誣毁。公抗言辨明。乙未三月忠淸水使李繼勛失火投水。公率水軍三十隻。邀擊於鹿島。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日起草先集跋與序視之曰。如有未妥處。勿爲謙讓。隨所見指示爲好。余以初頭起辭及中間數節。仰稟。勉菴卽爲手筆隨改。晦日至石里。謁立齋相公。相公喜曰。遠來相訪。良苦良苦。復言國計民隱之無可奈何。有愀然色。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其六十二凌波樓下渡三橋平地幽菴路不遙雨劫雕巖苔一色秋陰短塔檜千條蒼茫大界都歸寂頃刻纖塵頓覺消十尺穹碑何贔屭西山古蹟月迢迢【右白華庵】其六十三纔容隻脚石傾欹其下蒼淵百丈危聒耳風雷何太急纈眸煙靄謾相隨鮫綃半面浮三昧鼇嶼千頭助一奇料得別天幽暗境驚波臥美有潛螭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諸名臣被誣冤死之狀하야請追削鄭澈官爵하고以施懲惡討罪之典云云하니上이特下敎하고更命鄭澈創奪官爵하다【前年因大臣護幷命復澈官爵故也】肅宗十八年壬申에敎官柳後常이【西厓後】上辨祖誣疏에曰故相臣許頊와及判書臣李晬光日紀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所著玩物篇·南郊日記·經世通典及易象小訣·牛山答問·質疑書及詩若文若干篇藏于家。 嗚呼! 先生自幼少。 已知爲爲己之學。 及長閉戶讀性理書。 盖將四十年。 其造詣淺深。 有非後學所可推度。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此見各一其性。○按近世論人物性同異者。或曰。本然有偏全。或曰偏全非本然。蓋本然之理無乎不在。雖有偏全之物。豈非本然之理。把物偏全者。謂之理之本然。則不可。窓隙月光。雖有大小。罔非月。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字觀卿校理斯文八世孫進士繼曾孫天質純實誠孝篤池早知學問不事俗儒詞章年二十五値丙子虜亂講和後無意顯榮隱居自守辛靑坡二剛道義相交從遊於李雲巖興浡門下見聞日就家素貧窶囂囂自樂若將終身及父晬辰獻壽之日賓朋咸賀而親親有不怡色左右問之則五有四子皆有文詞而一自丙子之後不赴擧門戶之望已矣國賓爲季子卽號而請曰此後當赴擧卽入延壽寺做詩文鄭大提學弘溟大加稱賞曰子之文可魁於國中是年陞補及覆試皆魁捷乃中司馬以悅親心後不復應擧平生不書胡虜之年號蓋遂丙子初服之心也親此可以知其忠孝之兼備矣靜坐讀書庸學周易終身講討日用誦讀詳載日記曰呂東萊日記所爲以自省是可法焉日記托始之日書其卷首曰是日爲一陽之日可以柯則於自新之意嘗讀謙卦適値隣里有怨尤之事因作詩以銘心曰嘗觀君子不傷廉做得吾心遠避嫌從古人心盈滿惡須看羲易地山謙手寫七書皆用洪武筆法蓋亦追慕大明以寓匪風下泉之思嘗曰朱子觀人字畵知其心學七書數多文字一體楷書無放心早解琴韻遇適意處撫琴自娛所居草堂只有琴書而已世稱草堂仙因自號蘆沙奇先生正鎭撰序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必共一器而食。是歲渾家犯疫。兄歿。兩庭俱危。公露禱嘗藥。夜不解帶。時時撫柩哀號。居數月。兩庭皆蘇。鄕里莫不歎賞。嘗以不得專力學業爲恨。敎子訓孫。尤惓惓致意。導以義方者。無所不至。愛金鰲水石之勝。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不必偏於一藝局於一器。遂兼習操弓馳馬布陣行軍之法。少遊京師。聲聞藹蔚。一時名士。無不願交。顯宗庚戌登武科。歷龍驤衛副司果。訓鍊院主簿。忠武衛司正。虎賁衛副司果。出爲加里浦鎭管。古今島僉節制使。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丙子正月六日棄世。夫人濟州梁氏通德郞中鉉女。賢而有禮。甚得婦道。先公十二年而終。公姿質沈重。氣容溫雅。言語簡訥。動止安詳。邃於經義。明於料事。鄕閭之間。事有所疑。政有未達。輒就決焉。嗚呼。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高宗實錄 31年 10月 28日》《承政院日記 高宗 31年 10月 28日》 선유(先儒)가……있다 이 내용은 한 무제(漢武帝) 때 동중서가 올린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성현이 …… 것을 《조선왕조실록》 〈光海朝日記[一]〉에 "아! 순임금은 옛 성인인데, 변고에 대처하는 방도에 있어〔嗟嗟! 大舜古之聖人, 處變之道.〕"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貴縣故處士李萬祿卽文憲公敬祖後裔翰林伯瞻十二代孫也早襲詩禮庭訓不墜孝友家聲操行純美學識高明尤篤於事親家素淸貧菽水難繼山樵水漁就養無方朝耕夜讀竭力供職隆冬生薷之供忌日乳狗之避不下於孟宗之笋董子之狗此豈非感物而然耶以之叙族而雍睦成風以之接物而和氣襲人則傳所謂孝爲百行之源者今日準備語也夫大孝不匱而子焉而爲大孝者盖寡矣孝焉而能不匱者尤鮮矣孝子之子東烈又克趾先美定省之勤瀡滫之供靡不用極及其丁憂祭天禱山以祈其安窆三年廬墓事亡如事存晨昏侍奠終始如一其墓下當膝處土爲之穿且四山松楸爲虫所食攀松號泣揮淚灑葉滿山松虫移居他山楸下蒼翠獨也依舊此莫非誠孝所格物亦感也其父之孝其子之孝誠是不世出之大孝而幷出於一世萃美於一門則眞所謂醴泉有源靈芝有根也以若人之孝泯滅無聞非但爲士林之齎菀抑亦爲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贈禮曹判書妣 贈貞夫人咸豊李氏參奉承重女以嘉靖戊戌生公于務安縣長而風神雋異文章華瞻見者莫不欽服受業於眉巖柳先生之門與高霽峯敬命姜睡隱沆從遊以志節相尙等戊午司馬筮仕多履歷而旣無後承家乘散佚遷除年月日居宮行治不可詳只以錦城邑誌湖南絶義錄所載槪見具事當倭亂之作公聞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詔使朱之蕃之來也館伴柳公根薦公爲從事官白衣被選兩世相繼人皆榮之詔使文章書法亦名天下彼此書法互相求取公多受詔使筆法而其所寫玉峯書室玉洞煙霞入大字二張則書其姓名焉公之書法朱亦多受去以絶世奇寶稱之在龍灣館與諸公酬唱多被佳譽或比之於顧況之匪熊右軍之子敬也詔使之歸也館伴又不欲舍公公力圖而得免四月十二日寄弟與壻書曰吾行昨日入京萬里好還專荷僉念詔使文章賢雅近古未有之人筆法兼之儐相亦能當之亦國家之幸也留京城七日則當復西下吾豈再勞萬里必欲圖免及端午下歸是料至戊申冬李月沙

상세정보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