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일기 으로 검색된 결과 3305건입니다.

정렬갯수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一氣之流行也。陰陽者二體之對立。何如。第三段未發時亦有氣質說。此處却不易一筆句。但斷曰。本然不在於氣質外,氯若霎時澄淸。則此處便是本然。足矣。第四段人物天命說。此是最難言處。天命若是無分別。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승정원일기』에는 이해 5월 21일부터 27일까지의 동부승지(同副承旨)가 누구인지는 기록되어 있지 않아서 5월 25일에 병조의 계목(啓目)을 담당한 승지가 누구인지를 알 수가 없다.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승정원일기』 인조 15년 9월 24·25일.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亦不免前日伎倆。玆以書上用以替舊。如何。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하다次는德峻이니縣監이요號는錦岩이니竄富寧하고次는德潤이니監察이요號는錦峯이니竄會寧하고兄弟師事五先祖東岡文貞公하다謫所旣還에以困齊伸冤으로集道儒上疏하니文貞公도力言其可從이라하니今其在文貞公文集과及日記門人錄可考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八月二十九日】洋洋陟降篤垂休慶繼序有重天妹載迎外內旣正歡愴維新將以仲秋小晦吉辰率見祖廟式遵經禮用伸虔告陳此牲醴 【右宗廟】於穆廟殿寧我先王隆報有節篤佑無疆綏厥後人釐以女士耤蠶供祭自今伊始禮當袛見吉日旣諏酌此淸酤先告事由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5일 일기는 중복되는데 내용에 다름이 있기 때문에 모두 싣는다. 뇌수해괘(雷水解卦) 감하진상(坎下震上).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日氣陽而風。 薄暮雨少洒。 대대(對待) 서로 상반되는 것이 서로 의존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越嶺之際, 與同行以馬上客, 問其所居與姓名, 則一則忠淸道 文義 德地居吳範錫 聖洪也, 一則金溝 白日居姜渭八 元達也。 仍爲通姓名, 吳碩士亦爲入鰲村門庭之人也。 有後日相訪之約, 仍爲同行。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승정원일기』 고종 21년 3월 기묘일, 즉 같은 해 3월의 기록에 따르면 강화부유수 김윤식이 장계를 올려 훈련원첨정(訓練院僉正) 황헌주를 영관(領官)에 임명하여 군무(軍務)를 감동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日己亥。早曇晩雨。聖徇有事先發。約會于金泉。當午雨意略掃。遂發行。聲洛持贈朴燕巖熱河日記一卷。追至南大門敍別。是日宿金泉驛。九日庚子雨。孔玉有事向大邱去。余與聖徇乘馬車至居昌邑。夜已三更矣。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시문류

聞道坡翁鉄樹春淸閒超俗德兼仁琴床日暖歡情篤玉砌風和寶蔭新曾說錦城垂極久方知龍里降仙眞肖子賢孫斑舞席星星髮白壽高人姜弼遠珠山松栢帶長春白髮如仙壽以仁鉄樹花開園送態老星光照宅增新世間名利渾無意物外淸閒剩得眞最是高風曾有望南州慶福一其人慕堂鄭熙勉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極於規模之大時俗之世頗有淳厚之風則此可與爲治之本也惟我國家守之以仁義處之以禮樂聿新一代之制作煥然百年之文物則禮制之備可謂詳矣士習之正可謂美矣禮教之施於人也宜其人心極其厚正習之施於俗也宜其風俗極其美矣而奈何享厚曰散而人不見質實之人薄俗日滋而俗不見可封之俗乎書曰惟民生厚惟本厚故君臣父子之倫由是而惇焉夫婦長幼之典由是而秩焉至於禮樂文物政教之化亦莫不由是而推焉故民心化者萬化之原萬事之本也是本先立則善俗可成至可行而俗可成化可行然後必以禮爲節民心之具而民心益厚士習益正矣嗚呼今日之民心不忍言也昭代之禮制則已庶幾於唐虞三代之制作人心渾厚獨岀於麗氏之下今之所恃而扶持世教者誰歟徒恃禮樂之獨備而不復求於本然之心則麗氏之渾厚恐不回於吾民之心也由是觀之麗氏則質勝文之時也而質則可以裁而就文有本故也昭代則文勝質之時也而文則不可以裁而就質無本故也苟能就麗氏之所有餘而補當今之所不足則亦能禮樂備而治道畢矣愚之必拳拳於麗氏者彼所謂渾厚者卽三代之所以直道而行者也今民之所當先得也雖然聖人之禮本於心聖人之制寓於器故欲法先王之禮者不惟先思聖人之心而亦當精究聖人之器今日之制作雖曰一遵中華之文物而猶有所未備焉筮賓三加者古之冠禮也而今則無古之制焉親迎以禮者古之婚禮也而今則無古之禮焉至於期功而有服者所以著其情也而今則無服焉服色必齊者所以一其俗也而今則不齊焉今兹數失可謂有關於治道而弊爲至此夫事有所改而必合於今之世則不改可也事有所循而必合於古之道則易之可也世之儒者嘗有言曰三代之時其所以教民之具甚詳且密而及至後世教化之道衰而盡廢其具是以若此其無恥也是說固亦有理而亦未必爲可也何者人性安於習俗之舊而舊則必難變使今之冠者如古之所以責成人之道而能不失其所以制冠之儀則復今之冠禮豈不能行古之道乎遭親戚之哀而有惻隱之痛者乃人心自然所不能已而聖人之至於期功者豈以紓其悲哀乎特爲之中制而今人皆不能行者勢有所使然也今若猝未能行古之服則莫若因其本然之善而聽其自然之人則治世之下豈無孝悌之心乎若夫服色之不齊者生於恭儉之不足而奢侈之轉放則敦節儉信厚之端納民心於至善則將無服美于人俗而亦安有不齊之弊乎苟不先務於人心之厚而乃以三代之禮欲繩之則所冠者古而心則今也所迎者禮而心則今也服雖哀而心不哀則何益於服乎服雖齊而心不齊則何益於齊乎如此而欲望厚倫成俗者不亦難乎愚於篇終之問尤有所慽慽焉一代之興必有一代之俗俗不能自俗而必本於天下之心心不能常用而亦隨於天下之時故殷因於夏禮所損益可知而其所以不能損益者常因於定軆周因於殷禮所損益可知而其所以不能損益者亦常因於定軆苟不知常因於定軆之心而徒欲權於時勢之歸則商之尚敬未必不戾於夏之尚忠周之尚文亦未必不戻於殷之尚敬矣今之昭代承麗氏渾厚之俗徒以禮制爲相承相救之道則不亦遠乎若是而稱曰俗之化在於人心在於隨時苟能先是心之軆達是心之變則可因而因焉用紛更可變而變焉用執拗其所以一因一變之間自無二者之僻而天地之消長古今之治化正在是矣謹對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其南郊日記。無非存心養性修身潔行之自警編。而其論朋黨之偏曰文如韓,范。學如程,朱。若或拘繫於今之偏黨。其人不足觀。於此可知其爲高世卓立之君子也。然而逸士山潛。隱居行義。雖有旌招而尙志不起。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一機斯張。 鈞石可拔。 六轡在手。 駟不詭馳。 四維張前。 車不亂序。 必殲滅無遺育矣。 焉使其有餘㕀哉? 咨! 我氣卒軍人等。 革去舊塵。 咸聽新命。 悟昔時之物化。 覺今日之天通。 勇礪劒鋩。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沈承澤韓啓源尹襸金始淵鄭基世李濟達李宗秉沈敦永御題祖述堯舜憲章文武上律天時下襲水土賦取十人李好亨眞寶權雲彩順興崔虎文高靈金始遠陽智徐在懋順興金弘祺開城孫永老尙州羅時鏞龍岡金鎭何榮川李基東順興❍武試官金左根李完植任聖皐宋持養李能權申泰運具性喜❍武科壯元羅敬俊順安】❍同月十五日己巳晴上親臨暎花堂設三日製通方外賤臣以收券官進參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其所以不忘此一棄人。又何其眷眷也。 臨別徘徊。 尤不勝情。未何處雲林復有奉面之日耶? 謹賦一絶以代薄贐。 拙滋可慙。雲水忘情閱幾秋。客窓夜夜夢浮邱.憑君遙憶東峯月。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而日偸所以人不能盡性而天機自動不假修爲盡其天職乃出於微物也余喜其超詣之見未嘗忘也今夜侵晨感懷無寐虫聲四起宛然昔年之秋自念殘生未死而栗谷已爲古人余之貿貿此志未就日益昧陋則其有愧於微物深矣昔朱夫子宿篔簹鋪見壁上詩煌煌灵芝一年三秀予犻何爲有志未就深自感歎題詩而去詩云鼎鼎百年能幾時灵芝三秀欲何爲金丹歲晩無消息壁上詩嗚呼余於今日其有感於古人而有愧於可勝言哉因書拙句奉似兩賢兩生吳允謙黃愼求和一以請言志之方一以希相發之意焉此雖閑說善學者觀物而察已則近取而自養焉未必無助於感厲之功也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