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조선 으로 검색된 결과 3262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大東斯文會 編纂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자부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重峰趙先生墓表 尤菴宋時烈先生事實略具於錦山金浦二碑最後神道之刻詳且備矣噫欲知先生者觀於此可也然先生之所就孰爲大乎以爲致死之爲難則古今立慬者奚必先生乎以爲乂嚚之爲貴則王祥薛包世不乏書矣蓋聞聖人之事莫大於春秋而春秋之義莫大於尊王當秀吉之請好也先生獨曰天無二日士無二王大明一統而彼虜僣帝請斬其使以奏帝庭昔聖人小管仲之器而稱其功曰微管仲吾其被髮左袵矣今之人所以知夷夏之辨君臣之義者伊誰之賜哉先生少讀聖賢書其規模甚大綱領甚正其所云爲一出於仁義則其於管氏有其功而無其過者也使聖人復起則其所稱許或不能於無別矣噫惟其知此者然後可以知先生矣然知其如此者未必知其所以然也蓋先生最好朱子書如大全語類世皆望洋而駭而先生入其中咀嚼其味一句一字不敢放過故先生之道水臨萬仞無復凝滯論天下至大者而如説門內事説天下至難者而如食息於日夜也故不讀春秋則不知先生之功不讀朱子書則不知先生之所以爲先生也今神道之刻即清陰文正公之文而其所以發揮引重者殆無遺餘矣豈所謂後世之子雲堯夫者非耶噫天高地下日月照臨亘萬世而無虧斯其重峰趙先生之墓也歟時崇禎甲辰五月日後學恩津宋時烈述並書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祭肅齋趙先生文 維崇禎二百四十三年庚午二月二十二日戊午。我肅齋趙先生考終于溪上小學之室。越七箇月月旣望庚戌。門人金勳。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造璿璣玉衡疏【丁酉】 通訓大夫行金堤郡守臣崔攸之誠惶誠恐頓首百拜上言于主上殿下伏以臣伏聞弘文館啓辭請令觀象監聽臣之言倣造璿璣云云臣誠驚恠不勝惶惑慚悶之至不知玉堂胡然而有此率爾之擧耶臣乃是鄕曲蒙昧鄙野之人也其於國朝欽敬之制曆家推步之則曷嘗有窺覘而精察乎曾在鄕廬略讀古書至於尙書朞三百璿璣註釋處妄有所思索而如其運旋行度則有難以文字曉見必有形象然後可證故試爲環竹象圓注水激運制出於草創而薄陋不足觀爾寧有彷彿於古範近似乎渾儀者哉此不過私室戱翫而已而今者玉堂乃遽上達天聽卽令依樣造成至欲置之玉堂若使識者見之則適足爲嗤笑之資寧不愧忸觚之不觚經訓所譏器用失制尙云不可況此天儀是何等事而乃敢以草率違範之物置之於內省則臣之做錯失眞之罪至此而尤大矣嗚呼天象豈易形容哉天道豈易推究哉臣嘗聞諸古語天之道卽人之道也人之道卽天之道也欲觀天道當求於人欲知人道當質於天信乎天人一理而從古聖王曆象而敬授者誠所以欽天道而治人事也豈但爲翫賞觀美之具而已哉虞舜璇璣之制邈遠無所取法卽今可則可遵之方其不在於我朝先王之法乎昔在世宗莊憲大王欽崇天道作爲渾儀合德合序皥皥乎不可尙爾其爲制極其精妙而國家不幸近世多亂臺機毁墜儀象堙廢遂使先王則天圖治之道泯泯而無傳焉則豈非慨然而嗟惜處乎卽見景福舊址尙有石釜之遺跡其廢也不過數十餘年則耆老之解事者或不無見聞而知之者誠能廣詢而旁求則豈無可復之理玉堂之官不此之務而乃欲以臣草薄不似之具依而造之豈非苟且之甚乎伏願殿下察臣悶蹙之情姑停造機之擧舍此苟簡別求懿式命觀象監博考古典更採衆議必得其規範然後乃復欽敬之舊制再覩授時之休光則不勝幸甚臣無任矜惶隕越踧踖屛營之至

상세정보
저자 :
朝鮮總督府 編製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상세정보
저자 :
朝鮮總督府編製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자부

상세정보
저자 :
朝鮮總督府 編製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상세정보
저자 :
權琦煥 編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상세정보
저자 :
姜璘 著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기타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기타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기타

상세정보
저자 :
李重煥 著, 尹喜求 校, 玄丙周 編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상세정보
저자 :
金?炳 編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상세정보
3262
/164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