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省記 으로 검색된 결과 2075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생기 충만한 모습 원문은 '생생의(生生意)'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善山人白岩后【子炳鎬甲戌生】金亨述【字龍哉生己酉】善山人白岩后【子炳昌乙酉生】金希述【字萬成生辛亥】善山人白岩后【子炳玉乙亥生】金忠述【字 生癸丑】善山人白岩后【子炳電己丑生】金交述【字洙萬生癸丑】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成璣運)이 피봉에 성구용(成九鏞)의 명의[出附]로 보성군 문덕면(文德面) 가천리(可川里)에 사는 이교성(李敎成)에게 보낸 간찰이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宋史 卷427 周敦頤列傳》 《朱子大全 卷85 六先生畫像贊》 참고로, 원문의 '생의(生意)'는 생기(生氣), 생명력을 뜻한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追王之事在於武王之世追王之禮定於周公之制盖文王四十八年卽諸侯位古公與公季當以諸侯之禮立廟矣武王年七十三嗣位文王亦當以諸侯之禮入廟矣武王十三年受命爲天子享國七年則凡他小事雖或未暇而至於追王大禮緣何未行於七年之內乎揆以天理人情似不相近葬以士祭以大夫在士庶尙然況以武王之聖身爲天子可不急急追王於祖稱而以諸侯之卑號臨天子之尊乎夫古公也公季也西伯也皆當時之所稱也太王也王季也文王也乃後來之所追也今考武成旣有祀太王王季之文金縢又有告三王之文則武王之追王固無可疑而特以中庸有武王未受命而周公成文武德之文故以爲武王老未及行而周公成其志也三說皆出於經傳而若是矛盾然求之以義理推之以事勢則武王之追王者斷斷無疑矣謹按記之大傳曰牧之野武王之大事也旣事而退柴于上帝祈于社追王太王王季文王此與武成金縢合而石梁王氏釋之曰武王克商後但尊稱其號若王者禮制至周公相成王而後備也語類問周公成文武之德追王太王王季然考之武成金縢疑武王時已追王朱子曰武王時恐且是呼喚作王至周公制禮樂方行其事如今奉王冊寶之類也以是言之中庸以追王爲周公之事者盖以禮制之定於周公也哉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警學文 要學問須存心要存心須主敬主乎敬則心存理得而學無不成也蓋敬兼動靜而無始終惺起此心使不昏昧者靜時敬也精辨是理遵不差謬者動時敬也忠信進德始之敬也立誠居業終之敬也只於靜而不於動則殆釋氏之寂滅但於始而不於終則必半塗而廢焉雖終之而有終意則一罔念而作狂然則敬是何義生於禮而爲心之主者也致乎禮則敬立而心德全故孔子告顔淵曰克己復禮爲仁跋文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勅命原陵參奉從仕郞叙判任官八等者光武六年八月日 [宮內府印]議政府宮內府大臣贊政臨時署理大臣成歧運 [印]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霜朝渡蟾江 橋下寒江凍不鳴正如羸卒閉唇行雪中老客猶生氣慘憺新詩更有聲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시문류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팔요수(八曜水), 사로황천(四路黃泉), 반복팔로황천수(反覆八路黃泉水), 사골황천(四㐣黃泉), 쌍금살(雙金殺), 칠요배생왕식(七曜配生旺式), 선천구성기례(先天九星起例), 체용론(體用論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生氣數十分全。 문계원(文啓元) 문송규(文頌奎, 1859~1888)이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知縣李普溫揭記板】西齋【校生寄宿之所○去戊午重建○直員務安朴淇龍揭記板東別堂【校儒燕居之所○羅州鄭致魯揭重修記板】外三門 東夾門西夾門紅箭門【今幷無】○庫舍【去癸亥重建】○三綱門【丁卯創建】司馬齋【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而又自不能成其形。故却以二五之氣。運行發生。而各成其形。然氣亦不能無正通偏塞之分。故稟其正通者爲人。稟其偏塞者爲物。此其始有人物之分也。亦何嘗先有人物之分。而後來却如是也。且其所賦之理。亦未嘗不同。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而終又欲其成器成材以爲吾黨之光。蓋兄亦非少壯人。知聰明之難恃。念年歲之將至。可不思反而約之於道乎。鈺有難治之痼。而兄將起死而生之。鈺思報之無術。輒敢以是獻焉。洴澼之用。或有資於行三軍矣。暑熱比酷。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첩관통보류

這這推尋是乎則已入於其時該色李春永身死後遺失中云故更聒官庭極涉猥越逐年暗當者亦以無識之致而番亦甘受然顧厥先業則非但不肖累名可恃是㫆又東禎之姪仁錫橫入番名者亦以其叔之故也其叔當番其侄又番則哀彼東禎乃是番民之家不是簪纓之族而大抵東禎本以密城君後裔淸州大族我東美門恭孝公之十一代孫也訥齋公之九代孫也江叟先生其八世祖也棄窩先生其四世祖也而其前後文蹟與世譜昭昭可見者也幸我城主亦向已參商矣自棄窩于今四世于玆土科聲間寂班名世守然家力本窮農業自修便是常人樣故本坊面任之瞞報良以是也叔侄番名之俱侵亦以是也其四祖則無顯官之班而其高祖之棄窩之孫者烏可有番名乎玆以鄕內齊顙之發通本坊者慨此橫侵從公議雪寃之致也民亦上有司名色者實是齊憤之餘不可含嘿故如是累陳以稟爲去乎細細洞燭同番名特爲頉下俾此殘班堇守先業之地謹冒昧以稟癸未十一月日上有司房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逸】附答書【按盧玉溪文集亦有與金晦叔書而與此書全篇相似可疑】紹熙三年壬子始築室于建陽之考亭先生回自臨漳學徒益盛始議建精舍于所居之旁以待來學者五年甲寅竹林精舍落成後更名曰滄洲先生旣歸學者甚衆至是落成率諸生行菜釋之禮于先聖先師以告成事周程張邵司馬延平七先生從祀有祝文景賢堂祭儀聞其一依文廟之禮但用次丁云剛而丈李楨定此儀必有所據似難輕議然亦覺有所未安者來書得之矣竊觀朱子滄洲精舍釋菜之儀比之文廟之禮多所降殺蓋朝家命祀自有禮秩若群乎義起之制則禮當降殺故也雖然滄洲之祀上自先聖以及于七先生其事體與文廟無異但以非朝家命祀故如此降殺之若景賢堂則與先聖之祀固不可固而亦非朝家之命則豈可一依文廟而無降殺乎剛而丈雖或有所据亦恐一時未及博考之失謂當往復相議以歸至當可也又豈可知其未安而拘於避嫌遷就之私而不之正乎想剛而丈已過襄奉可用書尺通議須以此意詳稟更定何如滄洲釋苸儀寫在別紙倂惟照諒鄙意欲依滄洲儀以定之而時日則仍用次丁似爲允當也伏幸明裁且景賢堂立位版否滄洲則疑是立虛殿旋設主行事然未有的考爲恨餘不究俟通稟剛而後更定之何如惟尊照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過海陽城 ▦柳盈盈荷葉新晩鶯千囀小溪濱聖居橋畔西歸路芳草無情送遠人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去惡厠 惡之深賤之極非外飾誠臭惡勿欺其心務快於志克愼厥獨必誠其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謝諸惠 鳳城春色盎民簷民樂生生氣銳尖鳥峯客亦沾殘瀝欲報餘恩媿力纖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卽事 雨後山光一半靑洞前龍過氣猶腥起來獨坐松陰下溝水無人晝繞扃

상세정보
2075
/104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