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조선 으로 검색된 결과 3262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윤광소((尹光紹, 1708~1786, 조선, 찬), 조윤형(曺允亨, 1725~1799, 조선)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상세정보
저자 :
윤증(尹拯, 1629~1714, 조선, 찬), 윤동휴(尹東休, 조선, 조필)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상세정보
저자 :
윤지완(尹趾完, 1635~1718, 조선, 찬), 이세최(李世最, 1664~1726, 조선)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상세정보
저자 :
김경중(金暻中, 1863~1945, 저)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상세정보
저자 :
허균(許筠, 1569~1618, 조선, 저)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상세정보
저자 :
송시수(宋時壽, 저)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상세정보
저자 :
이지익(李之益, 저), 강영직(姜永直, 편), 송명희(宋明熙, 교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後漢書 卷67 黨錮列傳》 송나라는……하였네 위와 마찬가지로, 조선의 유학에 대한 박해를 비유적으로 표현한 말이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특히 조선 후기 실학자인 유형원의 주장과 유사하게 현재의 결부(結負) 대신 경무(頃畝)로 바꾸어서 어린도(魚鱗圖)나 추배법(推排法) 같은 중국의 제도를 따르고, 정법(井法)을 참조하자고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이 때문에 한나라에는 창업한 태조(太祖)가 있었고 우리 조선에도 태조가 있었으며, 송나라에는 복수의 뜻을 둔 효종(孝宗)이 있었고 우리 조선에도 효종이 있었습니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祧遷必於親未盡者。則其祔位亦遷於兄弟之孫若子。何獨以兄弟之適孫死。而兄弟之諸子諸孫。不敢復祭父祖之兄弟乎。程子言兄弟之孫。何嘗單言兄弟之適孫乎。何必謂非程子之意耶。曰。子之言似矣。而中殤終兄弟之身。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殿下聖孝出天哀慕慨廓益復如新仍念臣才本魯鈍學又不力時文小技亦不猶人晩占蓮榜因即廢科迨近二十年矣向在先朝戊午年間冒忝校正於御定大學衍義點節册本繼有設科取士之命璇題遠頒試卷親覽臣於是時獲參初解聖鑑不遺榮耀已極旣有恩賜不敢不赴於昨年慶科而偶然登第非意所及一科兩朝均被聖恩俯仰今昔感涕交頤臣以蔑識年又衰晩名途進就自知無望奔走末宦力亦不堪惟有散處江湖歌詠聖澤以送餘齡於分足矣不科今年正月獲蒙栢府新除臣驚惶感蹙罔知攸措旋蒙恩遞愚分自安只是日月有期遐邇奔號臣亦來伏輦下而祥祀已經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조선조에서는 양반과 천민은 군역의 의무를 지지 않고 오직 양민들만이 이를 부담하였는데, 평시에는 군포(軍布)로 대납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송시열(宋時烈, 1607~1689, 조선, 저), 권상하(權尙夏, 1641~1721, 조선, 저), 윤봉구(尹鳳九, 1683~1767, 조선, 저)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경부

상세정보
저자 :
이문정(李聞政, 1656~1726, 조선, 저)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상세정보
저자 :
박신룡(朴信龍, 1575~1627, 조선, 被傳)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상세정보
저자 :
이형부(李馨溥, 1791~未詳, 조선, 저)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상세정보
저자 :
유몽인(柳夢寅, 1559~1623, 조선, 저)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상세정보
3262
/164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