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일기 으로 검색된 결과 3305건입니다.

정렬갯수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呶而流逸韙武皇之獨震廓超越於群惑故能汾鷁旋鱸輪詔降冊栢梁杜闢方士解術撤仙鼎之幻怪馽武庫之衽革培賢良以策對風天下於文學宜其刮垢一世綿業二百軼轢古今規矱萬億俾昏慳之來主至欽德而聳臆所以中子掉筆美風槩於悠邈晦翁辯論起鑽譽於陳餘紛衆口之調刀擧起予而穆如雖然虐兵窮武昔愆已甚耽虛汨身曩愚誰掩悔緣辭而纔萠萠晩悔其何益彼惠文之陶民久蕭然而殘竭咄諫獵之老臣遺死後之亂製余嘗徘徊桂椒倘佯盻詣飛棹九河吹噫龍門當夫王之雄風敢游喙於千春矧一氣之憀慄自激昂乎良性況辭藻之感發可滌染而易行橫大江兮詠秋風亦余襟之快然蘭有秀兮菊有芳想前后之衷端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昔在孝宗己亥宋尤菴先生判吏曹陞漢城府右尹愼公天翊爲禮曹參判後又與人書曰愼公高於人一等者潔身於廢朝而反正之初見幾收藏完南李相嘗訪之庭除蕪歿蒲薦穿弊問何爲不仕則拍掌笑曰我寧有意直病耳又拍掌笑傍若無人尤菴之言如比而余覩羅鷗浦所記丙子事則謂公因亂不仕嗟呼若公者無可仕之時矣悲夫公字伯擧自號素隱愼氏本宋開封府人上祖修來仕高麗爲司徒諡恭獻公子孫籍于居昌府曁我朝仍世貴顯曾祖諱喜男江原道觀察使祖諱餘慶尙衣院判官贈左承旨考諱諲贈吏曹參判妣德水李氏贈貞夫人公以萬曆壬辰生年三十一中進士旋擢文科自承文院副正字歷踐司憲府司諫院弘文館世子侍講院承政院吏曹一出爲興陽縣監而由副提擧特擢右尹辛丑六月考終于靈巖鄕第葬于郡東槎谷山負坎原從先兆也貞夫人柳氏祔焉夫人籍興陽正郞東立之女育一男曰聖三生子有萬無子子族人子昌復昌復子師哲師哲取族子宅顯爲子公有妾子三人曰六三九三再三公氣宇淸高有出世之表諱賦伏曹偶妙歲蜚英聲望無右而際時不幸一意歛退出身五十年仕于朝者不滿一朞然而在官盡責仁廟初歷討凶逆黨與上章于孝廟言正心爲治國之本其去興陽惟以一鹿裘與盆梅歸孝友有過人者鄕里之性亢直少時折朴承宗于稠坐墮碎李爾瞻子大燁之酒盃國舅金公佑明嘗候公于京邸公熟視曰后妃之家鮮保終始懼矣哉聞者悚然暇日會族人于林園飮酒彈琴築亭海浦上有時乘潮鼓枻打魚而返人望之以爲神仙有文集一卷行于世其詩賦載箕雅及海東詞賦云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王以之而威民與斯民同囿於無刑乃聖人之至仁然皇天授人以七情人孰無有生之感欲俗不常結繩之純治又非畵像之朴君子兮或一或二小人兮常千常百眞心毎晦於宴安本情呈露於憂惧思脫桎枯其有道盍設防民之一具雷霆兮爲門肅殺兮爲戶其貫絏縲兮筋骸其加縛束兮手足威以悚萬人之心嚴以塞萬人之目勞以萌本然之悔困以懲前日之惡天性之眞機藹如開旣晦之日月旣從善而遠罪身又免夫刑戮孰臨危而玩禍誠本然之可恃是所謂智者之福堂孰不曰足以和義然則是堂也禍之閉福之基築以仁守以威不慈者入之兮竟全慈而出之不孝者升之兮終致孝而脫之弑逆者由是而消縮能以福君父之大義盗跖以兹而懾慄能以福生人之天理難發者悔心是堂也能悔憚改者宿過是堂也能改所以尊之者福祿舎兹道兮孰克堂固福民之一器亦曰殃民之物苟不明德而愼罰民肝乃塗於鈇銊故聖人欽哉恤哉曰非道兮何及唐虞至化兮民協于中成周盛治兮囹圄其空夫何叔季之暴主紛用法之慘酷朝罪而暮受白刃又何路而自新棘林多夜哭之鬼肺石少不寃之人刑豈聖人之本心一何後世之殘賊福之者適以禍之兮嗟嗟乎冷骨於有識嗚呼仁德爲出治之本刑政爲輔治之末禮義利於斧斤忠信貴於桁摺有恥且格之爲可恃寧恃夫轉禍之有術所貴乎天下之皆全人俗可封於比屋斯乃國家之大福何有乎福堂之福也哉亂曰陰之剝陽之復威之至仁之極爰有堂消民欲賢者之恥愚者之福苟不敬哉堂其覆兮有民杜者採此說兮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一其篇。又皆發明理妙。就正於師門。足可爲後儒指南。任其散滅而無傳。則吾宗之責。而其次及門。始與族弟昌玟及諸宗謀。及於脚下生。皆無異辭。卷袠就完。如昌宇何力焉。謹依嶺湖諸長老指揮而已。若其周旋就役。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日剞劂。大非先生本志也。雖然吾輩豈敢私之。所輯若干編而附江上箚錄。總四箇卷。昔程伯子稱子曾子曰。安知其不至聖人。何嘗見他英氣壯節。危言絶行。有驚動人處謂哉。以其樂善不倦安行天理。而歸于正也。後之賢。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祭金友致奎【箕說】文 維歲次戊寅二月辛巳朔十九日己亥。東塢友生曺毅坤謹遣男錫休。奉奠于故友光山金君致奎之靈曰。嗚呼哀哉。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저자 :
黃中允 著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상세정보
저자 :
黃中允 著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집안……편지 《남포집(南圃集)》 〈남교일기(南郊日記)‧신축(辛丑)〉에, 1661년 5월 25일에 집안 조카 문봉의(文鳳儀)가 영암(靈巖)에서 돌아와 신성필(愼聖弼)의 편지를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此先考節窩府君, 爲吾家譜牒與先祖忠剛公請諡事, 西行錄日記也。 噫!, 先祖有美實, 而子孫不述焉, 則是忘其先也; 先祖無美實, 而子孫飾虛辭稱道之, 則是誣其先也。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店人曰今日豈無風乎。余曰是哉。余於今日始知風斯在下之理也。犯昏抵本城宿。初五日己酉。還于舊棲。各唫四韻一疊。而罷徠往費了三日。而觀山者只半嚮矣。何以周覽廣詢。充然有得乎哉。指路者無識一樵牧。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시문류

상세정보
저자 :
高仁繼 著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상세정보
저자 :
高仁繼 著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시문류

승정원일기? 2851책(탈초본 132책) 고종 15년 6월 16일(갑오)의 기사로 실려 있다.

상세정보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