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일기 으로 검색된 결과 3305건입니다.

정렬갯수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日其孫學周來。請記其所築平川精舍。叩其山川形勝與其堂室之規。則舍在吾目中。而不覺神爲之馳矣。翁旣老而時尙又大異。學徒無至者。嗣子炫豊懼無以娛志而送老也。以甲申春。別構精舍於所居平川里之南。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日旣喪。養其父益篤。日夜以所聞外事告。聞有良藥可却病。厚價得之以進。父以故得老壽享年八十八。卒葬斂諸費。皆自己出。居前後喪。皆克盡制。噫行如此。顧不賢於世俗之稱孝者耶。嗣子大衍。旣爲默軒竹溪兩公治碑。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葬延日杞溪面鳳溪洞戌原。一男東基。四女金淙廈金榮根姜某。吳某昔方靈皐爲人銘墓。非親見其人平生。則不肯爲。于婦人尤加愼焉。以閨門之行。幽昧難詳。銘易爽其實也。今孺人之行。當時鄕里狀旣足以徵之。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抵祠日旣曛矣。遂權奉于玉振堂。告曰。百世景慕。奉摹遺象。廟貌未就。權奉是告。後石吳駿善顔其祠曰集成。命光善顔其堂與門。堂曰玉振。神門曰三元。外門曰道東。盖取集大成玉振也。軐躅可尋吾道東之義也。嗚呼。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日記一冊。秩滿辭歸。與舍季主事號秋觀。友愛湛翕。父母甚安樂之。今文益其必有觀感而是傚是則。存焉耳。夷考其實行事業。則屢世先墓。祭閣創建也。石物具備也旌閭也。棣華亭也。二樂齋也。斯皆誠齋平日志事未就。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携手信步行且息着力前進頗肯綮往事前跡剖如縷不向招提更叅訂紅日轉出扶桑頭萬象呈露鏡面炯迢迢坐臨苐一層俯瞰下界煙塵逈剩水殘山紛縈絡片片大陸浮如艇簌簌淸風生石竇空山萬竅發咳謦喘汗盡八毛孔去步屧軒輊餘鶴脛行到泉林石上憩一罇松醪一椀茗向陽孤花懸斷崖摘之染糕煮石鼎定睛茫茫看宇宙囫圇一氣浮溟涬蒼顔綠髮恰收歛丈人風稜獨秀挺渾然一團春和面不作輕薄小夫怒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田舍十二月歌 靑陽載啓維月之正一夜東風百鳥變聲地脈解發天心泰亨大君處中仁化斯宏與物更始同我太平【正月】一氣孔殷序屬春二夾鐘鼓和聲盈天地庭草仁心淵魚活意嗟我農夫庤乃田器不奪人時上有休治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春王建月正六氣休回泰吉士得中行明廷紆際會蠢蠕溢地膏菩蕾噓天籟大德與無爭陽陰分內外【泰】一夜發天雷四陽方少壯寅賓晷刻分甲坼華荄放擧趾迨時殷躍鱗乘運旺須尋聖戒存羝觸而羊喪【大壯】淸明月屬辰和健占逢夬動植各陶甄山河一爐鞴花風卄四番穀雨三千界君子旅王庭昇平春似畫【夬】六龍乘一氣行健大哉乾漸進賢才革咸亨物性全仁天雲降雨壽域日如年長養君爲德明堂夏令宣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七月二十六日政院堂后仕記 行都承旨金道喜行左承旨朴來謙【以上嘉善】右承旨張敎根左副承旨朴容壽右副承旨洪祐順同副承旨宋應龍注書尹敎成兪致崇假注書金震休李時愚事變假注書安永豊兼春秋田栽五金熙攸❍八月初四日己酉晴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미암일기를 남겼으며, 그의 묘소는 담양군 대덕면에 있다.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日氣甚淸和。 今日大駕回鑾之日也。 病雖不敢望, 其淸蹕可想, 回鑾安穩, 㑀幸㑀幸。 前次連書於家, 使千奴晦前上來, 而正月已盡, 杳無消息, 鬱鬱之懷, 不可言。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過玉果金參奉宅留宿 원문에 17일자 일기가 2번 쓰였다.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余曰此一記已盡之矣。更何補畵蛇之足。以招穢佛頭之譏乎。辭益牢而索不置。竊念樗散之於主人。幷世矣又同鄕矣。聞名盖久。而逢着盖鮮。嘗於稠座中。得一人焉。芝宇秀朗。藻思暎發。不問已知非流俗人。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已踰一紀。常爲之慨歎。昨年秋。族大父升圭氏。以吾門宿德。倡修譜議。自後山專書于本所門長泰基氏。又爲通告于列邑。遠近宗議。莫不歸一。遂設廳于道林講堂。編摩之役。鳩財之方。族祖士圭元圭氏。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千里逸驥。庶望登庸。七旬草野。屈而未伸。西河之痛。陋巷之貧。視古猶然。公又何悲。素來頭風。勿藥可醫。其疾雖苦。其質則貞。頤閑習靜。此樂誰爭。二蘭晩秀。春色遲遲。培養有道。先謨可貽。期公遐壽。永爲依仰。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一其種。若梅柳之早發。蘭菊之晩開。與夫牧丹芍藥之繁華。世皆艶稱之。夫以一時之早晩繁華。猶人所愛好。或入騷人之評品。或爲隱士之託契。或爲富貴者之慕悅。況乎挺十尋而特秀。貫四時而不變。氣凌霜雪。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一其心最是眞。嗚呼。斯可以見公之七分矣。其知見之正有如是。故發之言動云爲之間。壹以忠信謹厚。廢擧自適。沽名徼譽之爲恥。省冗存贏。急人濟物之爲務。不設畦畛而洞屬有守。不越繩尺而平淡有趣。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一其端。而乃若不計私已之肥瘠。推賢任能。無或干犯。期至遂成。以之光耀於久遠者。獨兄一人。此余之所欽歎而竊識之者。他人未能皆與之知也。嗚呼。今不復覩斯人於斯世。寧不痛恨。自余之越省遐寓。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余曰是必吳誠齋誠一其人也。後數月。誠一果來。索其楣需。遂序次客傳語。爲仙溪精舍記。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重修記(2) 褒忠祠卽忠烈公霽峯高先生享右之所而 聖朝恩額之特宣者也春秋明禋禮官之崇奉士林之虔誠三百年如一日其間非無隨毀修補而挽近以來未有修改之擧積以至於正堂以下忠孝堂東西齋及庫舍諸屋或有傾欹之慮失今不修則難乎爲力於是士論齊發鳩財倩工已臨首事尸其役者儒林諸氏臨時院任及先生後孫諸賢也不朞年功告訖墻壁之漫瀗者棟宇之傾斜者一時大新

상세정보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