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조선 으로 검색된 결과 3262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學部編輯局 編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경부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啓我朝鮮節義興.忠義由來不可堙。平時砥礪且無人.疾風勁草尤難見。須識高麗一个臣.吉再抗節【高麗】。洪武己巳冬。 注書吉再棄官歸家。歲在庚辰。 恭定大王在東宮召之。 再至。啓于恭靖大王。 授奉常博士。

상세정보
저자 :
金夢弼 編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자부

상세정보
저자 :
安致默 著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시문류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典律通補』 「別編」 〈本朝文字式〉 '進箋式'; 이강욱, 『조선시대문서개론』 상-신민의 상달문서-, 은대사랑, 2021, 475~479쪽.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우리 조선에 들어와 휘 익손(益孫)은 학행(學行)으로 정릉 참봉(靖陵參奉)에 제수되었고, 휘 방한(邦翰)은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진주(晉州)에서 순절하였으니, 모두 현조(顯祖)이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중대에 이르러 휘 안우(安雨)는 조선에서 벼슬하여 군기시 소감(軍器寺小監)을 지냈다. 휘 운(雲)은 호가 덕암(德庵)이고, 평안 감사(平安監司)를 지냈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정여해는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으로, 자는 중화(仲和), 호는 돈재, 본관은 하동(河東)이다. 일두(一蠹) 정여창(丁汝昌)의 4종제이고,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이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우리 조선조에 이르러 휘 희중(熙中)은 호가 위남(葦南)이고, 벼슬이 직제학(直提學)에 이르렀으며, 진원군(珍原君)에 봉해졌는데, 자손들이 이로 인하여 진원을 관향(貫鄕)으로 삼았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호남의 기정진(奇正鎭), 영남의 이진상(李震相)과 함께 조선 말기 주리철학의 3대가로 꼽힌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지송욱은 조선말 1887년, 서울에 최초로 서점 겸 출판사 신구서림(新舊書林)을 연 출판계의 선구자이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본래 특정한 명칭은 없었으나 고려 멸망 이후 조선시대부터 만월대라 불리기 시작했다. 2007년부터 2018년까지 남북 공동발굴 사업이 8차례 진행되었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손우집(遜愚集)》 조선 후기 홍석(洪錫, 1604~1680)의 시문집이다. 홍석의 자는 공서(公敍)이고, 호는 만오(晩悟)·손우(遜愚)이며 본관은 남양(南陽)이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여기서는 즉 조선 건국 초기부터 선조 때까지 200여 년간 명나라에 잘못 기록된 태조 이성계(李成桂)의 세계(世系)를 명에서 고쳐준 것을 가리킨다.

상세정보
저자 :
柳健休 著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남포허공전(南圃許公傳)」은 임진왜란 때 의병에 참가하여 전공을 세운 허일(許鎰)에 대한 내용이고, 「홍열사전(洪烈士傳)」은 『조선책략(朝鮮策略)』을 비판하는 상소를 올리다 참형을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조선 전기의 ?중종실록?에서도 장계와 서장을 동일시한 사례를 확인할 수가 있다. 조선 후기인 정조 때에 편찬된 ?전율통보?

상세정보
3262
/164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