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差帖 으로 검색된 결과 309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湖南固士之冀北而人才甚盛潭陽卽我之桐鄕而聞多名賢每爲之斂袵起敬昨冬余黜補武靈那一曰潭之士人金君德涵來示其五代祖晩德公行狀要得幽堂顯刻之文余僇人也顧何敢闡發幽潛屢辭不獲公諱大器字玉成晩德號也光山之金肇自新羅王子興光子孫連九世平章事有諱台鉉爲麗朝名臣號快軒諡文正其後世襲冠冕至諱厲精登科官止漢城判尹高祖諱處謙成均生員副護軍號六行堂戊午禍作自光州晦跡于潭陽曾祖諱麗輝生員典牲署參奉祖諱松命生員訓導考諱應生員訓導文行著世妣彦陽金氏生員彦忠之女公幼而骨格異凡兒文藝早成孝友出於天性甫十歲丁生員公憂持制如成人少遊於鄭松江門下與畸翁爲道義交松江甚許之時公年十八一時師友多推奬至比之於聖門之游夏十九赴鄕解至沃溝新倉津多士競渡舟甚危公止之而不得坐岸上俄而舟果覆皆溺死公仰天歎曰名利之陷人亦類是悉取行中書簏投之江水遂不赴公車逮廢昏朝益無意於世事杜門讀書以自娛拜沙溪先生於連山執禮請益自此聲譽播於道內丁酉倭亂人不保父母妻孥而公背負金夫人忍飢涉險得以免禍還鄕人謂之誠孝所感及金夫人喪哀毁柴脫築室墓下朝夕哭省虎豹避而不近拜跽之處莎草爲之不生服闋愈自韜晦視世之芬華聲利若浮雲過太空只刻意鑽硏沈潛義理之腴老而彌篤常引太公望衛武公事以自勉焉一遵程朱成法以啓牖後進爲已任其有功於斯文大矣時金延興家踣一門盡謫海島人無與結婚者公曰天道無終否之理遂取延興從孫千齡爲婚過一年金氏顯榮始之目公謬妄者爲之歎服反正後應求言之聖旨陳廢朝積弊又薦沙溪金先生張旅軒顯光可大用言甚剴切未幾除健元陵叅奉不就以仁廟辛未二月五日卒燾七十五遠近聞者莫不齎咨涕泣葬于府東貞石面揷峙坐酉之岡士林叶議配享于府內龜山書院配南原梁氏生員成澍女繼配永平文氏生員三省女有三男四女男劼勛玏女適梁千柱宋汝義金千齡金享祿聲發聲五聲駿長房出也聲達聲遠聲美二房出也聲永聲重三房出也曾玄以下多下盡記而皆以文學行誼著可謂公餘祉之未艾也蓋公生而篤事親之道長而盡執喪之節離亂搶攘之際能使老母全安晨夕哭泣之時至令猛獸遁藏至誠所格非孝子而何以師友而言之從遊於松江父子間又質疑於沙溪先生而諸名公交口奬詡則公之爲人可知也至若戒覆舟而廢擧子之業志操之卓也取禍蒙而作東床之郞鑑識之明也逍遙物外歌詠太平者有古人弄丸之意抗疏千言深陳積弊者有畝畝憂國之誠噫若公者宜乎生而爲一世之宏儒歿而躋百代之鄕祠歟余旣歎公事行悼然友重違金君懇叩謹撮而爲之書崇禎記元后百二十年丁卯杞溪兪最基撰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특히 그가 문과 응시 당시 작성했던 시권(試券)과 급제하여 받았던 홍패(紅牌)를 비롯하여, 고신 16점, 차첩 2점 등 20점이 그의 후손가에 전하고 있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특히 그가 문과 응시 당시 작성했던 시권(試券)과 급제하여 받았던 홍패(紅牌)를 비롯하여, 고신 16점, 차첩 2점 등 20점이 남아 있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특히 그가 문과 응시 당시 작성했던 시권(試券)과 급제하여 받았던 홍패(紅牌)를 비롯하여, 고신 16점, 차첩 2점 등 20점이 그의 후손가에 전하고 있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交朋友致切偲之規。敎子以方。御下以恩。鄕人慶吊。及期往問之。孝悌本立。百行類推。一鄕多士。擧公行義。薦聞于本官及遺伯。至有嘉尙之題。而迄未蒙棹楔之子典。子孫之齎恨。倘復如何哉。以純祖乙亥三月一日卒。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而不知其言之深且切也。自擬百年永保湛樂。孰謂一朝遽棄吾而歿乎。嗚呼君之姿稟淸秀。孝友天至。事吾父母。誠敬備至。父親痰火之崇。母氏項核之腫。未必不由於中年經慘之餘。而君能左右扶持。養志養色。使父母忘憂。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能說出孝子情狀之明且切者。湖說至愛云云最好。不審然否。中庸第五章。道其不行矣夫一句。獨爲一章。尋常有疑。伊川經說。以此句連屬于上章之末。然而一章內兩子曰。亦非體例。曾見谿谷集。以上章末人莫不飮食一條。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且哲嗣欲討乙巳締約之賊。謀不成。逮獄久而後。僅以身免。然則公之義擧。上有所受。下有所傳。此可謂世類也。嗚呼。不亦美哉。銘曰。天潢名家。一士愷悌。石田肖子。蘆門高弟。夙生講討。曰義曰禮。剛方正直。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崇節義論【乙酉庭試初試魁】 臣聞欲立一代之治軆者必立一代之所崇何者不有以倡之於上孰有以應之於下不有以感之於先孰有以作之於後乎是故人君必先明一代之所當崇者而以一身爲民彛物則之標的建其有極則彼同有是性之善而興起焉者孰不咸囿於吾所以作之新之之方乎所謂其機如此者也夫人之所以爲人者以其有人倫也人倫有五五者之常所以不明於天下之人心者由節義之教不明於天下之人心也節義者所以扶人倫立人紀而使天下常不至於危亂天下或至於危亂然後節義之名始著於天下天下之所欲者莫甚於生而有節義者必捐之天下之所惡者莫甚於死而有節義者必就之是固其性中自然不容已之天也而以職分之所當然論之則爲子而雖至於割股廬墓自不忍汝父耳爲臣而雖至於殉國死難自不忍汝君耳非高遠難行之事也乃飢食渇飲之類也何足以褒之賞之哉雖然天下之人性常於本善而天下之人心動於作新故賞一人而天下之人莫不知勸以其好善人所同然也罰一人而天下之人莫不知畏以其惡惡人所同然也凡人遇治世在平時也其所以一言一行莫不以君子自處而陵駕乎舜禹及其臨利害遇事變也鮮不同歸於風靡波動之中而徒知爵祿之爲可慕不知苟活之爲可恥至於君父之羞有不顧之是豈性之罪哉以其無有以尚之也苟無有以尚之則天下之人豈必捨其所欲之生而就其所惡之死乎甚矣心之從上也桀紂率天下以暴而民從之暴者非人性之所有而從之若是者以其所令不反其所好也况節義者人性之所固有而孰不知愛其親也敬其長也人君固有以倡是機於躬行心得之餘則生固我所欲也義亦我所欲也其所以忠君愛親之念自然呈露於日用彛倫之中而至於事之不幸則豈不以節義任一身綱常之重而負吾君負吾親哉嗚呼節義之名何始乎三代以前無有也周武王一戎衣而伐天下逋逃主可謂天人合應之時而夷齊以一匹夫倡天下之義而折之武王能容之故夷齊之名與天地日月不足爲大明也而周享八百綿綿焉延延焉光武握赤符乗六龍是謂大漢之天子而子陵以布衣無萬乗之主而横足加腹光武能容之故子陵之名可謂得聖人之清而竟使桐江一絲扶漢九鼎焉節義也有關於人國也審矣彼二子者不待上之崇之而自然以節義始倡於天下當此之時武王也光武也不知所以崇之尚之則天下之人安知二子之名天下孰加焉而君臣之不可犯富貴之爲可忘乎節義之名雖見於衰世而苟不能有養於平時則安能從容就義於顚沛流離之際乎是故崇節義者必先養士氣養士氣者國家之元氣也元氣一立而天下之士莫非元氣中人物而世治則爲臯夔稷契世亂則爲龍逄比干而亦不失忠臣孝子足矣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贊遣山靈王備儀仗出迎同入幔殿越二日同輦還宮立以爲后后嘗從容語王曰妾是阿踰陀國公主也姓許名皇玉年十六同年五月父王與母后顧妾而語曰夢中同見皇天上帝命曰駕洛國元君天所降而俾御大寶乃神乃聖只以新莅家邦未定配耦宜遣公主以配之夢覺而言猶在耳爾其往矣因載石塔曰可鎭風濤妾是故浮海遐尋而至耳旣配爲后誕生十子【後爲高靈水原之金】以元子居登爲嗣后請曰妾受天命奉父敎涉海來侍大王於此妾於東土客也妾之死悲吾姓之不傳於東土也王亦悲之乃錫其二子爲許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無俗客車轍。而亦不入於鄕里月朝者。以無心應之故耳。所與輸瀉者。惟吾季父省齋公。族弟普山宇承。逢必竟晝達夜。雖子孫莫得參其言議。歲乙未。時事大去。國母禍。而薙髮令下。公豫俱長繩短刀而自隨。人問其故。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鏡通無觗滯。平日以小學自律。繩尺是程。口若不能言而涇渭自別。身若不勝衣。而貴育莫能奪。稠人廣衆。論議朋興。而退然若無所可否。徐以一言折衷。莫不各厭其意。故族黨有疑幾難。必待君而決。嘗曰讀書。所以軆行。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此體字.乃形容仁知之體段。非體用之體。此體字。固以體段言。然以樂壽對言。則看作體用之體。恐無妨。樂而忘憂。此樂字。與樂在其中樂字。似不同。上章樂字。是天理渾然。而自有其樂者。以聖人之極處言。此章樂字。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此替候耳。講時設先先生位。以一邊一豆。畧伸瞻慕之誠者。此是嶺中諸友所倡之論。而已有爛商者。則未知今番之會。果能依此行之耶。澹軒是當日奠楹之地。而冠服杖履象設如在。則其感慕之切。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純祖九年己巳弘文館校理奇公歿朝野有殄瘁之悲今焉百有餘年狀德之文尙未成矣仍孫南鍾以行錄一通屬不俊侫檃栝之顧此晩生謏學不敢當是役辭之固而請益勤遂取考當時公誦者以具顚末云公諱學敬字仲心別自號謙齋幸州之族遠有代序枚卜取脈煥顯濟麗入我朝判中樞諱虔以儒學聞謚貞武再傳應敎諱讚生五子第四房勿齋諱進與其弟服齋諱遵從事性理書迨靖陵己卯服齋被禍勿齋遯于光州參奉不就是生副提學諱大升世稱高峯先生錄光國勳封德原君諡文憲於公爲七世高祖諱瑗贈承旨曾祖諱震說贈參判德平君祖諱挺後贈參贊德昌君考諱彦觀號菊泉官止參議有恬退之節妣驪興閔氏世櫓女以英祖二十六年辛酉生公公爲人英邁不拘小節性又卞急不容人過失旣而折節向學期於成立至於擧子業亦皆傍治正祖癸卯成進士丁巳命選文學之士校勘大學衍義而公與是選繼以璇題試士御考共券而亦參解額純祖辛酉登文科未幾陞六品除司諫院正言壬戍拜司憲府持平疏陳七條曰勤聖學也曰振紀綱也曰得人才也曰革弊瘼也曰合小縣也曰久其任也曰修軍政也首尾幾千言綜詳切實合於治體上嘉納之癸亥出監茂長縣仍參瀛館錄甲子拜修撰乙丑以校理承召入京師俄而以獻納登對而啓曰學問者非但講讀而已凡日用施爲一出公正合乎天理然後乃可謂學問況帝王之學莫切於克己莫急於保民曷不深究致灾之由亟施恤民之政乎又曰古語云國有三空者朝廷空倉廩空田野空也今之朝廷不可謂不空而倉廩之空亦豈非可憂者乎又陳科弊曰考官以用私爲常士子以夤緣爲能故不務實學徒尙虛名終使世乏良才識者之憂歎久矣一時賢公卿咸敬憚之公之素志不樂紛華退臥田廬者有年己巳九月因邦慶進賀班至十一月二十三日歿于京師享壽六十九越明年安厝于長城南八娘山庚坐配長澤高氏霽峰敬命后得謙其父也貞淑有壺範先公歾葬在玉果巽龍之負乙原學二男曰象頤曰象豊進士二女適金安休兪台煥又側出二女適某某象頤男忠國孝國韺國賢國一女適某象豊無子取韺國爲嗣金壻一男二女兪氏婦夭無育公至性愛親生養死葬擧以禮及釋褐也鄕里榮之公曰父母不存何榮之有聞喜之宴不擧樂掃墓號隕傍人動容在茂長也有珍羞不忍下著不洎之慟見於顔色是豈非終身慕者歟昆季三人伯氏早世與仲氏友愛尤篤將構屋先端壠下同處而終年不幸仲氏又逝風雨中宵涕簌簌霑纓可見其孝友之過人也早歲館甥于昌平將倩手作親庭書外舅曰君以文憲後承年過成童家書亦倩人耶公乃慚悔直入白牛山中窮晝夜呻佔肘不離案者三十年博通經史若程朱書平生所蜀芻豢也牲命之蘊奥如燭照而數計義理之辨別如霜刃之劈畫時人稱之曰湖南之小東萊可知其學業之過人也讀河西之年譜而覈四七往復之居後見江上之問答而辨削勳發啓之在先以明高峰之事實載在遺稿其見識之精詳於斯乎又可知己出身登朝以天德王道陳於經幄名言碩畫使人主動聽苟非有實見得者烏能如是乎假使在朝日久大鋪所學其裨補聖化拯濟民生者當翹足而待矣而言不行於當世身已退於林下是豈公之不幸而已耶有遺藁幾卷藏諸巾笥可覩其出處大節而若無後之君子大特書焉其何能炤耀於永永年代乎幸秉筆大家亟圖之甲戌九月旣望安東金甯漢謹狀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특히 그가 문과 응시 당시 작성했던 시권(試券)과 급제하여 받았던 홍패(紅牌)를 비롯하여, 고신 16점, 차첩 2점 등 20점이 그의 후손가에 전하고 있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특히 그가 문과 응시 당시 작성했던 시권(試券)과 급제하여 받았던 홍패(紅牌)를 비롯하여, 고신 16점, 차첩 2점 등 20점이 남아 있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특히 그가 문과 응시 당시 작성했던 시권(試券)과 급제하여 받았던 홍패(紅牌)를 비롯하여, 고신 16점, 차첩 2점 등 20점이 남아 있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특히 그가 문과 응시 당시 작성했던 시권(試券)과 급제하여 받았던 홍패(紅牌)를 비롯하여, 고신 16점, 차첩 2점 등 20점이 남아 있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특히 그가 문과 응시 당시 작성했던 시권(試券)과 급제하여 받았던 홍패(紅牌)를 비롯하여, 고신 16점, 차첩 2점 등 20점이 남아 있다.

상세정보
309
/16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