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조선 으로 검색된 결과 3262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이건창(李建昌, 1852~1898)의 본관은 전주(全州)로, 조선 2대 왕인 정종의 아들인 덕천군(德泉君)의 후손이며, 병인양요(丙寅洋擾) 때 순절한 이시원(李是遠)의 손자이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하지만 그가 사직한 이조정랑 후임자를 두고 김효원과 심의겸이 대립하여 동서 분당의 계기가 되었고 이후 조선 정치사를 뒤흔든 300년 당쟁이 시작되었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왕씨가 신씨에게 멸망을 당하고, 우리 조선이 신씨에게서 나라를 취득하였기 때문에 나라를 바르게 얻어서 국운이 신령스럽고 오래가게 되었다"고 말했습니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백일장에서 작성한 것인데, 조선시대에는 고을 수령(守令)이나 혹은 도(道)의 도사(都事)나 감사(監司) 자기 고을 혹은 여러 고을을 다니면서 백일장을 실시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자부

상세정보
저자 :
金善鎭 編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상세정보
저자 :
미상(未詳)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자부

상세정보
저자 :
薛瑄明 撰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자부

상세정보
저자 :
李見龍 著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조선 말기의 의병으로, 본관은 고흥(高興)이며 자는 여성(汝星), 호는 의암(毅庵)이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조선 후기의 선비화가로서 신위(申緯)와 두터운 교분을 가졌고, 유작으로 「계산만춘도(溪山滿春圖)」가 알려져 있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有文義二通四略一粗❍考官右議政鄭元容申在植趙秉龜李啓朝金學性申錫愚李根友】❍丙午十一月初六日丁亥晴上御暎花堂設堂下文臣製述賤臣以副司果進參應製【讀券官趙秉鉉御題林下風淸共一香排律七言八韻❍吏文製述同爲設試御題擬朝鮮國王進冬至方物試官朴永元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도정(都正) 조선시대 종친부(宗親府)・돈령부(敦寧府)・훈련원(訓練院)의 정3품(正三品) 벼슬. 당상관(堂上官)이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유물
유형분류 :
현판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유물
유형분류 :
현판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상세정보
저자 :
李齊賢 著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遭先生於道。只得正立拱手。古禮固然。然朱子童蒙須知。有曰几道路遇長者。必正立拱手。疾趨而揖。增損鄕約亦然。當遵而行之。但正立拱手疾趨而揖二句。相煥乃可。而今如此。可疑。負釰辟咡。

상세정보
3262
/164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