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일기 으로 검색된 결과 3305건입니다.

정렬갯수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지명>新 里</지명> <인명>李喆壽</인명> 納一金 三六錢也 地稅(國稅) <연도>昭和十六年度</연도> 第一期分一金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吾黨中同一其懷矣。望須以隆中高抱波及之。而以愚見。見得㥘火洞燼。不燼惟玉。一句語。願作佩符。未知如何。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聞說泰世百莖萫上繚瑞雲下神龜玉井寶荷龜爲屋藕可千年花四時太乙道人葉以舟龍驤萬斛穩游嬉海外東邱君子邦手植靑藜降棲遲留相大冶噓鞴炭陶唐鑄虞慾無爲鳳兮覽德翔而下百鳥環集羽爲儀較如堂上堂下樂允諧庶尹足一夔聖主好生揚休命和風甘雨萬彙滋十年佐理歸造物寂斂神功坐無思但看八埏煙月下林蔥形色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便作一棄物。恐不免後木糞土之誅也。內誠悚懼。昔遜齋公。問於宋子曰。國恤葬前。忌祭墓祭。略行以單獻之禮。參禮之酒。止一上者。亦可不廢耶。宋子答曰。先儒說果為紛紜。難可適從。而鄙家則略行矣。忌祭旣爲略行。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一其性云者。五行。各具一太極云耶。有其氣質之性而云耶。伏望指導耳。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承聞昨年討匪日記。間已起草。仰認精力之康旺。各處各帖之出。未始不自鄙門爲倡。而其在閤下好生之地。濟得幾萬生靈。仰賀無已。下示月日。攷諸帖紙。繼又思惟。似在於九晦十初。而日字則未詳。下諒伏望。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卽吾家一奇事也。再邀時當與之偕行。以見新人懿範。兼承座下風儀。以講舊誼道新情之意。誨之非止一再矣。今當再邀之日。言在耳而親不在。使渠獨行。念到于此。尤不禁感淚之交頤也。豚兒姿旣至愚。敎亦不力。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實協平日期待之望。知舊瞻聆。不勝栢悅。況在德門。慶幸可斗。先師遺稿。周歲鋟梓。幾至告畢。此固會一兄至誠所圖。而亦莫非吾丈前後周旋之力。環顧吾黨。如吾丈者幾人。吾丈可謂大有功於斯文也。尤切仰歎。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師門眞訣一幾字。這裏講求不見難。世間萬事孰非難。最是身心持守難。牢定根基堅著脚。前頭行去有何難。文章儘美聖功難。於此人人見得難。敬義知行該內外。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則願與吾兄一期於靑松白雲之間。攄此積懷。豈不是快活。尊先學圃先生文集。荷此遠寄。因之窺見其宗廟之美百官之富。伏切感頌。頫示脣古云云。可發一笑。夫爲先一事。自是子孫職分。盡吾職分。而無愧於心。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日期待。豈尋常親友比也。蓋吾之於先公。契許之深。自謂不後於人。非獨鄙人如此。先公之於鄙人。所以相愛者。有踰常分矣。年後我而返眞先我。我之所以痛惜而百身難贖者。愈久而愈難忘。以此而望於左右者尤切。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日居士之胤昌善。過余山中。一見便知佳士。可驗其得於家庭者有素。不鄙請和。余心喜。吾黨有人。遂步其韻而歸之。學由爲己不由人。自警工夫日日新。獨處存誠無愧漏。及時進德不孤隣。源頭活水塘開鑑。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一其種。若濂溪之蓮。愛其香遠益淸。孤山之梅。取其臘前開花。雖甚淸賞。不過一時效奇而已。至於亭亭特立。鬱鬱晩翠。貫四時而不變者。其惟松乎。夫松受命於天。獨也正。干霄之節。經霜之姿。非閒草木所可埒也。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顧何有一技一長之可以及人哉。然竊念古聖賢。一生費心力。爲後世慮者。昭如日星。布在方策。願君歸而求之。自有餘師。勉勉孜孜。一此不懈。克祛已私。如孤軍遇敵。爲工不虧。終始不惰。如簣土成山。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弟狀只是昔日伎倆。而濫巾空堂。淸流白石。巖花澗鳥。非不滿眼。其柰少一何。自聞御者之出矣。益覺踽踽。日甚一日。消磨不得。以今觀之。此山便作囚山。良呵良憐。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余使景叔逐日記路。則自京至長安寺。恰四百里。自長安寺登地莊菴。歷白華菴。入表訓寺少憩。自寺後登正陽寺。上歇惺樓。有犀月僧峯名歷歷指點。或近於怪誕。或出於神奇。余聽之而已。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一豈無歎。伊人思正獨。作書寄舜卿。吾言幸相復。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答晦雲(9) 茅巖文載熙有便賜書在凡交類然而倒膽瀝肝之告非所施於人人而亦不可望受於人人也志士之踽凉固窮誰昔然矣況今蘭芷亦變之日其所以衿裾牛馬分之所甘而又安知天意之不欲使之拂鬱勞苦庸玉于成也玆不欲爲之眞憫耳更謹詢經體淸穆否菌慘此古來修善家所未免勿以悲念若何載熙生徒之食於我者十餘人鱗次委痛輕則五六日重則十餘日今幸才霽雖或諉之以天行輪症其何偏酷於吾黨耶此生素不愼吾夫子之所愼而又不能使從我者調養氣血以致數外之苦旣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又(蔚山金度中) 昔李文成公奉 敎製東峯傳以時諱雖不能明言當日爻象及秉義顚末而讀其文者千載之下猶可以扼腕而尙論當時同義諸公有西齋先生宋公公以鎭撫使丁禪代之日棄軒冕如蔽屣而終乃復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一元淳厖之初吾不得以見之得見我穆陵初載斯可矣何以言之一時彙征之贒旣光前耀後非吾容議往往其間捿遲沈淪諸君子大抵意思悠長隱約有玄酒大音氣味嗚呼氣數然歟抑崇圮之運有先露者達識之士已以鞱光鏟彩爲主歟過此以降古意日以衰薄蓋三百年於玆矣許氏東湘公當旹沈淪君子中一人也五世之澤再斬若欲一一其實際誠有不可能者膚淺竊有感於其出處一着以思庵爲舅豈云蟠木之無先以玉溪諸公爲友亦云茅茹之征吉始也攻駒之不卑終焉湖魚之相忘自身自用了無絆碍漢人不云乎隱不違親貞不絶俗又曰不夷不惠居身之安公殆庶幾焉其發爲詩律者亦然不可以有意求亦不可以無意觀公之後孫澳民植以咳唾之將入梓也俾余置一言於卷尾蕪辭如右崇禎後四庚午孟春幸州奇正鎭謹書

상세정보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