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조선 으로 검색된 결과 3262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여기서는 조선의 국력이 약해 청나라에 유린당한 것을 안타까워하고, 명(明)나라가 임진왜란 때 도와준 은혜를 생각하면서 멸망한 명(明)나라를 생각하는 존주 대의(尊周大義)의 뜻이 담겨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見公文曰諸將皆如倡義使之忠懇庶回天將之意矣及倭賊出城公又呈文於天將反覆以縱賊貽患爲言而提督之意牢不可破公入城率幕下詣宗廟遺墟慟哭再拜而退有旨命公追擊公方病聞命卽起曰吾得死所矣時部曲爲諸軍門所奪幾盡收合數百人南下賊陣彌滿嶺海將有窺湖南之計都元帥及諸將皆左次公獨謂湖南乃國家根本晉州爲湖南保障啓于朝請以死守晉州以捍湖南備邊司回啓曰金千鎰死守晉州之計出於憂國之誠極爲嘉奬回諭之旨中道不達六月十四日公入守晉州州有守倅二員而詗賊必至已有移家之計城池機械甚疏略所恃者惟矗石一面臨江而已公與慶尙兵使崔慶會忠淸兵使黃進復讐將高從厚義兵將張允等同盟分守曰此城一面受敵又無逃潰之路眞背水陣也十九日全羅兵使宣居怡義兵將洪季男等領兵來過公邀與同守皆曰賊衆我寡不如退避出城去二十一日賊已至城東選精騎出擊斬首十餘級二十二日午賊衆大至先據左右山環城結陣樹柵累石彌滿原濕步卒持火砲騎兵舞劍槊直突城門中軍吳永念等射賊先登者無不應弦而倒公令諸陣先賊未來撤城外人家入城及是明火城上二堞一炬自昏達曙賊來輒射賊不敢近二十三日黎明賊編竹爲甲排板爲楯中設炮穴直攻隔臺射手出輒放砲我軍殊死戰湯火矢石一時俱下賊爛壓死者不可勝計而番休更進夜攻益急二十四日平明賊酋四人會于城東山上有若計事者公召聚諸炮手開五穴一時發勝字筒中第二座者仆地賊以小輿擔去日午大擧薄城我軍又擊却之二十五日賊於東門曲城外築土山起屋俯瞰城中鐵丸雨下城中多死傷公令諸軍對築土山黃公進親負土石士卒莫不盡力須臾與賊土山齊放玄字筒中賊山屋屋破賊多死公以外援不至遣漢譯沈連環偕手兵告急於天將又請救於都元帥諸陣卒無一人至者公素病濕不能行步乘小輿巡城日夜不輟親持粥糜分饋士卒莫不感激致死二十六日七日賊添生兵急攻城東南以書投城中曰大明且降爾敢拒我乎若不速降明日當屠滅又使我國童子至門外呼曰朝鮮朝鮮人受倭書去爾不速降倭終不去賊又以書約矢射城中曰聞城中有三大將取其戴笠出掛城上則吾當退去公令左右答曰賊奴賊奴勿爲無益之戰勿出無益之言吾有好機謀又有殊死軍天兵又驅官義兵不日來援汝不速去好是送死是時倭大酋秀吉怒諸倭之出京城下嶺徼自倭京親至其國之肥前州遣其陸奧州之大將政宗者督諸倭將期陷名都大城以刷其恥故賊兵死者過半而猶不退公遣牙兵成大乞援于朝路梗還入城城舊爲霖雨所壞而新築自被圍無日不雨二十八日雨下如霔客土融液善崩城中隨機捍禦黃公進欣然俯城曰今日之戰賊死幾千餘一賊在積屍中放砲中黃公面卽仆義兵將張允行城又中丸死二公身長八尺勇力絶倫城中倚以爲重至是相繼死士卒奪氣是夜雨不止賊夜戰不息二十九日平明四面諸賊俱聚城東南賊魁植金色團扇指揮衆倭齊進吹唇擊鼓喊聲動天地戴棺板冒竹楯前者仆後者繼鱗次蟻附無或退一步城中水石火藥丸矢水石俱竭徒以竹木衝刺射臺狹窄階梯稀疏守堞死者未卽踐更而曲城已頹隔臺已倒賊兵乘勝登城我軍大亂失次中軍將吳永念別將池得龍俱守信地死公方在客館忽一賊踰墻突入欲犯軍官張天綱以杖擊其頭臚應手粉碎公執弓劍登矗石樓以射賊左右皆蒼黃分散惟公子象乾從事官梁山璹記室李榮老軍官曺仁浩張天綱李成哲崔德男牙兵鄭繼仁金得金鵬等守公不去仁浩等泣曰主將何以爲之公答曰我死決於起事之日今亦晩矣但汝等棄家從我辛苦二年而至此可憐仍起北面再拜訖解所佩弓劍先投於水抱象乾自投深潭從者或溺或散事聞上震悼政院啓曰金千鎰倡義首擧二載勤勞其功甚鉅而今又以節死爲先褒贈以聳觀聽敎曰可遂贈崇政大夫議政府左贊成兼判義禁府事贈典最優於諸死事者賜祭文有曰毓德丘園名動京闕束帛戔戔縻以好爵旣爲忠臣又生孝子父忠子孝死有耿光微卿一家誰植綱常東朝賜祭文有曰父死於國子死於親卞門父子異世同倫先公墓前有一株松直上數十丈枝葉蟠結童童若車蓋狀公卒之日松又枯死公次子象坤奔喪赴晉州賊退翌日入城求公屍十餘日不得見寢帽壓在矗石階石間擧石抽出則內裹七言長詩十七韻乃公贈沈惟敬排和議之作也字字忠憤筆畫嚴重如平時象坤招魂歸取公平生所落齒髮爪牙略備葬儀瘞于州南榮山艮坐原先墓側天朝指揮使吳公宗遣家丁賚銀二兩備物致祭于晉州其文曰凡人之在天地間有死而猶生者有生而猶死者生而猶死者滔滔焉天下皆是也若夫死而猶生者吾於倡義金將軍而有感焉夫將軍當海寇狂逞君后草莽一國八路幾無堅城惟將軍揭竿斬木奮臂一呼豪傑應響得仗義之士千餘人相與屯守漢江之滸誓不與賊共死生而將軍之名烜赫中外不倭迺於王事之暇而揖之一識荊焉卽惓惓若故知也時倭奴方以貢請將軍輒扼腕不平每欲滅此而後朝食其志其功雖不售而將軍之名申之益振也故倭奴常私計以宋事方今之事武穆不死和議不成金將軍不死貢約不決而倭之朝夕持籌者唯必以殺將軍爲事及其以散亡餘卒守晉州適崔君慶會亦在焉而崔君又倭奴夙昔之所憚者也由是倭奴以重兵壓之圍幾數重鳥雀不能度必欲得二公而後已斯時也不佞受命來戌全羅因途間淋雨止宿竹山倏忽間大風震雷揚沙拔木若促予行之狀不佞乃冒雨前進信宿至南原而飛報晉州以矢盡食竭城陷若干日矣將軍父子及崔君皆罵賊而亡不佞始悟竹山之淋乃將軍父子之淚大風震雷者其將軍父子不平之氣耶於戲將軍何淚爲將軍之名千載不朽矣將軍其不死也視夫謀國不臧而致君父之蒙塵擁兵不救而使城邑爲灰燼乃靦然面目而荐紳其衣冠者雖生曷若將軍之死耶嗚呼胡天不佑兮父子云亡節義成雙兮植我綱常幽明隔絶兮夢寐羹墻良朋永別兮貺我一觴後八年庚子吳公統浙營水兵防汛巨濟旋師過晉州愴然曰此乃倡義金公死節地也折銀措具親慟哭以祭其文曰睠玆林蔥孰無智能至於生死猶覺嬰情惟公英毅所見分明賊鋒南犯倡義起兵衆寡不敵誓不俱生父子全節氣貫靑冥昔曾識面寤寐公靈劻攘東事幸掃鯢鯨弛張闔闢陰護無垠今統浙師凱奏明庭菁江弔義肆奠將忱臨風流淚五內酸辛公靈如在來格來歆李提督如松都督如柏初見公嘆曰眞忠義之士也接待盡敬邢軍門玠移牌本國曰金千鎰趙憲之忠魂毅魄凜然猶在公之名節不惟國人之所瞻仰爲華人艶慕者如是矣始栗谷李先生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따라서 통문 원본에서 가장 먼저 이름이 기입한 鄭斗和는 일제시기에 생존한 조선귀족 정두화(1882~1939)일 가능성이 크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판부의 내용대로 잘 살펴서 시행하라."61)61) 정묘호란(丁卯胡亂) 이후로 조선에서는 후금(後金)에 해마다 봄과 가을에 각각 춘신사(春信使)와 추신사(秋信使)라는 이름으로 사신을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經國大典』 「禮典」 〈朝儀〉; 『六典條例』 「禮典」 〈禮曹〉 稽制司 進箋; 『승정원일기』 인조 15년 11월 5·6·7일; 이강욱, 『조선시대문서개론』 상권-신민의 상달문서-, 은대사랑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허준(許浚)과 양예수(楊禮壽) 모두 조선의 명의이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아경(亞卿) 조선 시대 정경(正卿)인 판서(判書)에 버금간다는 뜻으로, 육조(六曹)의 참판(參判)과 그 동급의 벼슬을 이르는 말이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조선 시대에는 실직(實職)이 2품 이상인 종친(宗親)과 문무관(文武官)의 경우 그의 부(父), 조(祖), 증조(曾祖) 등 3대(代)에 걸쳐 사후(死後) 관직을 주었고 이를 추증(追贈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조선 정조 때에 아버지인 사도세자를 기리기 위해서 정조의 명으로 18세기에 다시 지어졌다. 1자 원문 결락 원문은 '性眞養□'인데, '養'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自寅徂戌勢不暫閑呻吟夜晝月又再彎朝炊已畢擧案無因午棊將敲畫紙何人韓公之窮鬼不去淵明之天運如斯乃瞿瞿然撫枕而驚咄咄然書空而悲口若無語心若有思蓋天門甚嚴不可上問遂呼造物者而告之曰竊聞天道至公造化無私陰陽合散莫非所爲巨細長短各因其形蠕蠕蠢蠢化化生生一彼一此孰重孰輕然則我亦理氣中一物而先得其最靈者也凡悠悠一世碌碌幾輩窃位苟祿曳組垂佩行比齊人而得驕妻妾德慚于老而猶保子孫上焉則父母無故下焉則兄弟俱存而我乃孑孑身世踽踽形影偏罹禍罟獨投罪穽老萊七十而戱綵我哭怙恃之不待終軍弱冠而請纓我恨亨嘉之未會日迫西山每惱令伯之思草生春塘只夢靈運之詩喪小妹於甲申餘淚未晴夭赤子於丙戌悲膓繼驚鵬風未摶於九天鯉浪尙阻於三層誤身則自比杜甫學步則人笑壽陵我之於子有何所憎雖然此則一己之私寃而固難以尤子者也原夫太極未判而是理先具陰陽旣分而其用始布斡無爲之機而盈縮代謝不見其涘馳不言之化而費隱顯微莫究厥始於是五行之吏承其令四時之佐宣其氣雷以動之所以鼓羣蟄也雨以潤之所以養庶類也品物以之而咸亨動植以之而得遂是皆上帝之至德萬化之同被而子於其間實主其權固宜體仁覆而不違任元化而無愆盡性盡命而齊其長短焉竝行竝育而均其强弱焉譬如父母之視子不以賢愚而異待有財則分之同其惠有疾則憂之一其愛可也顧乃長者益長之强者益强之弱而至於過弱不能多其分寸短而至於過短不能加之毫釐糾錯紛紜莫有紀極鷹鸇之翼非衆鳥之利虎狼之牙豈羣獸之福則俛啄四顧者無補於强食深居簡出者不保其弱肉彼於爾何厚此於爾何薄是猶細事亦不子責人於兩間竝立爲三及其至也天地可參天之待之必出等夷旣生桑麻以衣其寒又殖五穀以食其飢醫藥爲治療之具水火爲生活之資利人者牛馬而可以役之則使之其性宜於家害人者虎豹而可以避之則使之其性宜於山以之養猫所以備鼠畜狗所以防姦區分類別互設其間則天之厚人者宜無不周而自今觀之桑麻五穀雖曰天産之利雨旱蝥賊實妨人事之修水火活人而有時乎爲禍醫藥救人而亦足以招凶園囿沛澤多而禽獸相逼天時乖氣至而頭畜竝空爲利者或不能厚爲害者或不能遠吾則以爲五穀可食則何必降其蟊賊桑庥可衣則何不節其雨旱五行叙而絶水火之災六氣順而無疾疢之患則不可無者生活之資而不必有者治療之具也旣害而救之莫若不害之爲得旣生而害之莫若不生之爲愈猶復納汙藏疾竝畜俱收獸狺毒人之牙人懷害獸之謀使之相戕而互賊不能同仁而一視此豈上天之至化造物之能事也哉且蜂蠆蛇蠍螫人而能肆其毒蠅蚊蚤虱擾人而不勝其滋猛虎不看几肉大冶不鑄囊錐云胡屑屑生此物爲至若年貌兄弟而壽夭貴賤則父子也言行伯仲而名譽愛憎則彼此也或龜鵠長歲蟪蛄不遲或雲梯高褰窮轍益迷食甘蔬糲而彼則膏粱充膓衣懸鶉結而彼則錦繡被墻通人取譬於茵花達士推分於適來至公無私果若是哉甚至趙瑟膠柱括以名使長平鬼哭小竪白起杜郵抱刃詎足酬彼猾賊有人劒學萬敵秦噍不遺亦云不足新安一坑塡彼寃骨驪山塚出章甫同悲大理獄成父子竝夷屈指宇宙痛孰如之生此一人易彼衆命豈是天意子弄其柄尤不可知者天不愛寶龍圖是届惟皇昊羲肇作書契辛勤累聖載道有器不有不韋孰孕禍祟寒灰已燼區區收拾茅茨坐堯天大是則童謠不知擊壤兩忘有何所警洪水湯湯順天代虐美矣湯德自天佑之奚待六責七年亢陽無乃太酷聖若孔子生民未有天爵空修素王名後賢若顔氏殆庶有得簞瓢命短陋巷三十漢季賢黨唐末淸流善如可報何罪盡劉伯道無兒禍在全姪張湯有後慶因刻法縱橫繆戾難可殫說福善之理無徵禍淫之說徒爾則目爾以多猜之故指爾以小兒之戱者有由然矣子寧有辭於是乎言訖若有老翁窣窣然至向余拍掌而笑曰夫漠然無分天道自運窈然無際天道自會紛紛若若昏昏昧昧莫之然而然者命也莫之爲而爲者時也聖智不能干鬼神不能欺余固爲之亦固不知斡旋變化莫有其涯是知生非貴之所能有也身非愛之所能厚也智者善算亦有時而失愚人妄料亦有時而得自短非所損自長非所益故信時者亡安危信命者無壽夭奚哀奚樂奚去奚就掩目塞耳背坂面隍眞矣愨矣惟無所量養窩子聞是言入其蓬室若廣廈之蔭衣其短褐有狐貉之飾貴賤不能移貧富不能奪棄得失於無何之外驅憂患於相忘之域乃大喜曰余固昏然寐蘧然覺旣而妻病果愈焉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조선 시대에는 토지의 면적을 표기할 때 수확량, 파종량, 경작시간 등을 기준으로 산출하여 기재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조선 시대에는 토지의 면적을 표기할 때 수확량, 파종량, 경작시간 등을 기준으로 산출하여 기재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조선 시대에는 토지의 면적을 표기할 때 수확량, 파종량, 경작시간 등을 기준으로 산출하여 기재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조선 시대에는 토지의 면적을 표기할 때 수확량, 파종량, 경작시간 등을 기준으로 산출하여 기재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日達城裵氏仁彩女務安人敎官朴淇洪妻性資貞淑承順舅姑夫病祝天血指獲三日效旣易簀舅姑在堂乳孤在膝不克下從忍慟抑哀孝養益虔撫育存祀○壬戌二月 日慶州李氏利川人徐禧淳妻夫病血指延一日全節○壬戌二月 日務安朴氏贊相女光山人金鶴中妻夫先墓有偸塚以刀刺腿而發掘因致命朴痛哭曰夫旣死於祖先妾當死於夫子絶粒七日而自盡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衮以媢嫉奸邪之魁而飾以文墨小技貞沅以貪毒兇巧之徒而聽衮頤指見公論益張是非益明而賢邪之勢不可以兩立則相與謀爲擯斥之術作爲不經之讖黯諶之說熒惑天聽中夜起事潛漏西門以驚動之天門九重下情難達事起倉卒情僞難辨先王不得已而苟從其言初豈我先王之志哉當是之時大學諸生排闥抗疏號哭大庭爭囚禁府則光祖之無罪明矣士林之憤菀極矣幸賴先王之聖明特從末減之科而命之曰汝等皆以侍從之臣上下同心期見至治汝等之心非不善也近來處置朝廷之事似爲過誤使人心不平故木得已罪之予之心亦豈安耶然則罪光祖者豈先王之志哉自是之後儉人植黨布滿要津目以爲僞學爲詭激指以爲尙奇喜事爲變更舊章凡一時之賢士大夫莫不鋤治而芟刈之噫兹數言者豈非古今奸黨擠陷賢土之一穽乎尙奇喜事變更舊章乙謗前則司馬光之賢而不得免焉詭激僞學之謗後則朱熹之聖而不得免焉況今末世奸邪之無忌憚者欲構賢工之罪則何患無辭哉及我先至追念光祖等之無罪而將欲爲收敘之計則如衮貞沆輩陰嗾尹世貞黃李沃等無賴者數人上書誣論托以爲布衣公論而置之重典世貞李沃之希世論疏固無異於余嚞之上書乞斬朱熹而當時之奸人無有如謝深甫之抵書于地則其狠愎殘忍亦已甚矣臣等伏開論命之議一决行路之人莫不涕揖失聲而哀其無辜則光祖之賢信於人深矣及其臨死從容顏色不亂但曰愛君如愛父憂國若憂家又曰白日臨下土昭昭照丹衷則光祖之忠誠天地之所共監也惜乎以光祖之賢遭先王之聖卒爲憸邪孶所構而抱恨入地臣等每念至此不覺拊膺痛哭也夫以先王之明豈不知光祖之無一毫私心哉特急於鎭定衮貞輩之情而爲此不得已之擧此豈先王之志哉噫臣民無祿不享遐筭遽有鼎湖之慟其未及追復光祖者莫非先王之遺悔也然則今日之責顧不在於殿下乎殿下誠孝自天愛所親敬所尊凡所以繼志述事者無所不用其極則獨於光祖可不推先王之初心哉先正末年上而臺諫侍從下而韋布之士交章爭論欲明光祖之無罪不爲不多而其於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합계(合啓) 조선시대 사간원, 사헌부, 홍문관이 서로 연명하여 논죄에 관해 임금에게 글을 올리는 것을 말한다.

상세정보
저자 :
蔡東說 編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이최선(李最善, 1825~1883)은 조선 후기 유학자로 본관은 전주이고, 자는 낙유(樂裕), 호는 석전경인(石田耕人)이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고려(高麗) 때 밀성군(密城君) 휘 언부(彦孚), 은산군(銀山君) 휘 영균(永均), 밀성군(密城君) 휘 천경(天卿), 그리고 조선에 들어와서 문정공(文貞公) 휘 부(敷)는 모두 이름이

상세정보
3262
/164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