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조선 으로 검색된 결과 3262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조선 시대에는 토지의 면적을 표기할 때 수확량, 파종량, 경작시간 등을 기준으로 산출하여 기재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조선 시대에는 토지의 면적을 표기할 때 수확량, 파종량, 경작시간 등을 기준으로 산출하여 기재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그러나 조선 후기로 갈수록 대개 요용소치(要用所致)나 절유용처(切有用處) 등으로 간략히 기재하는 경향이 나타난다. 이 문기에는 가대와 태전의 위치를 밝히고 있지 않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황헌주는 조선 말기의 무관으로 본관은 창원(昌原)이다. 1877년(고종 14)에 무과에 급제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황헌주는 조선 말기의 무관으로 본관은 창원(昌原)이다. 1877년(고종 14)에 무과에 급제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황헌주는 조선 말기의 무관으로 본관은 창원(昌原)이다. 1877년(고종 14)에 무과에 급제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倭寇陷朝鮮。急救大興戎。東方一草木。罔非聖神功。是時後合汗。【奴兒哈赤】縱橫滿洲北。楊【鎬】熊【廷弼】空束手。李【如柄】劉【綎】屢敗績。光宗【名常樂神宗子】立而崩。臨朝未朞月。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縣監李玄圃詩曰主人棲息不曾愁二百年來此地留堪憐白髮山中老還笑靑雲世外浮晴窓課子書盈篋靜夜呼朋月滿舟偶到君家多感古客懷寥落又逢秋十一世孫魯綜詩曰滄波送去世間愁一任淸風明月留卽看隨流山滴滴更疑無地樓浮浮朝霞夕照誰描畵釣水耕烟或掉舟宇宙循環今視後汀花汀草自春秋○十二世孫雲澤重修題詩曰一亭重構似無愁僻處田廬屢世留月印空潭山影倒苔緘層石水聲浮簷端鳥解評詩案窓外魚登喚釣舟時有臨斯偏倍感泡花荻露易生秋○十二世孫繼澤詩曰亭臺縹緲絶塵愁涵養乾坤浩氣留是我祖先曾學問任他流俗自沈浮江山不換三公地樵牧同遵一路舟願使後昆能守保承家孝友萬春秋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典律通補』 「別編」 〈本朝文字式〉 '進箋式'; 이강욱, 『조선시대문서개론』 상-신민의 상달문서-, 은대사랑, 2021, 475~479쪽.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없는 공자314)는 그만 못하여 한스럽네 孤鴈呼群月欲殘荻花風細夜生寒吾人久負江湖約惆悵虛從畵裏看山外風塵兩雄鬪山中日月四翁閒誰知秦漢興亡事已向圍碁局上看偶來橋畔聽鳴湍童子將琴合早還自是峨洋心與會不須移向曲中彈蘆中一鴈不鳴飛送盡秋風尙未歸舊侶好爲行陣去只今應占稻粱肥池中鷺傍靑蓮葉葉底魚驚白雪衣在世孰非求一飽漁翁肯與爾忘機一人吹笛一人聽知有聲聲入耳淸澗水松風添意趣靑天又是月輪明本欲窺魚下塘水若爲回首立多時秋來漸覺西風緊怕觸衰荷損頂絲此地只應淸渭是彼翁非卽太公誰一竿竹作大人釣三略書爲王者師我家何在碧山中驢背行將童子語楊柳陰濃村逕迷回頭不識歸來處已向山中睡未濃也應無夢作塵容戲隨蝴蝶不知遠中道莫敎風入松已敎童子護尊罍獨抱琵琶興未裁笑殺潯陽江上夜千呼萬喚別人來王孫筆下長風起幻出瀟湘岸岸秋千竿班竹孤輪月獨鶴鳴時分外愁懷人不見思悠哉見畵如何眼忽開無限江山煙雨處竹林惟愛鶴徘徊溪上有磯磯上石何人高距石頭苔兒童解取松醪至忘却漁竿共把來蓮子成時蓮葉衰蠏鰲眞與酒相宜醉中不覺圖中見右手持杯左手持別浦秋光霜露初敗荷枯荻日蕭疎女娘到此腸應斷公子無腸恨不如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朝遷暮改。 醉入夢出。 聽命於胥吏。 呼唱於道上者。 於國於民。 有何少補? 計班資之崇卑。 蠹生民之膏血者。 盈府而充司。 尸位而僭祿。 不可勝計。 若此則使周公作家宰。 臯陶執法。 王道之至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銘旌以朝鮮遺民書之。精神炯然不亂。卽辛未六月二十一日也。以其年七月日葬聳珍艮坐原。門人環絰者七十餘人。會者四五千人。配商山金氏士人興澤女。墓在永思齋後麓坤坐原。生一男三女。男憲洙娶幸州奇氏宇蒙女。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題于墓曰朝鮮逸士。不肖靡所適從。多士議曰。晩生逸士。皆是哀世意。而晩生自道也。逸士公議也。不肖不得已從公議。抑未知無悖於義否。且京湖多士之誄挽。亦足以有徵矣。不肖亦曷敢厚餙其美。重此不孝之罪耶。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漢書 卷89 龔遂傳》 좀도둑 원문의 '서절구투(鼠竊狗偸)'는 쥐와 개처럼 몰래 물건을 훔치는 좀도둑인데, 조선 시대에 변경을 침략하여 노략질을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禮門仁宅久榛蕪正路一脉煙生寒爭將達道變蜀道九疑三危方寸端羊腸牛坂一翻手白日平陸生風湍昔自軒皇造舟車道通天下平而寬刊開民巖作坦塗君舟利涉回奔瀾重華大麓雷雨霽夏禹山川洚水安堯天已暮桀日喪忿山慾壑爭巑岏情田突起百步坂太行巫峽排層巒要津氣浪接宦海智水靈淵愁欲乾龍驤千斛尙難濟浮海乘桴嗟可歎殷輅無賴舞交衢嚙膝垂耳雙眉攢塗窮何處可問津泣盡朱淚空斑汍安得夸娥兩力士剗却巉巖平屈蟠西山木石費精衛灧澦成陸無危灘王良挾策六轡組水曲禽左調和鑾中行端爲美人導平步義路明衣冠不然歸臥水雲間東海閒垂漁父竿却笑詩酒老調仙苦吟平生行路難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仁祖卽位先生率同門上疏訟寃待其遺孤無異同氣鄭松江澈爲挾憾者所搆目爲姦魁因作陷人之一大阱平日相識亦或乘時下石以傅時論朝著諱言其姓名者三十餘年矣先生慕其忠直常辨明其心跡雖訾謷蝟至不顧也癸亥登對歷陳誣衊之狀請復官爵事栗谷先生一如事親甲申栗谷歿先生方在憂服中爲制師服遠赴臨之朔望服其服而哭之忌日齊素終身不廢於龜峯亦然自是師友之義復明於世也其接引後進則雖幼賤者必開心見誠反覆誘掖諄諄不倦讀書必使辨明句讀玩索義理以俟其自得而體之於身心驗之於事爲大要必立志爲先躬行爲實隨其材品多方開導見其爲己務實則心悅而色喜若已有之或涉於浮泛則丁寧戒之其授書次第則始以小學家禮次以心經近思以培其本根以開其門路然後及於四子五經循循有序階級甚嚴至於時文華藻之末則未嘗及於言議也嘗謂學者曰理氣混融元不相離權陽村近以爲兩邊出退溪李先生滉以爲互發皆見有未透而失之二岐也栗谷先生曰發之者氣也所以發者理也理者太極也氣者陰陽也今曰太極與陰陽互動則不成說話矣太極陰陽不能互動則謂理氣爲互發者豈不謬哉此言雖聖人復起而不能易者也又嘗論大學物格知至曰朱子所謂物理之極處無不到者謂物之理詣其極而無復可格者世皆以謂吾之知到極處若是則是知至也非物格也以物理言之則謂之物格以吾心言之則謂之知至雖是一事言各有當不可不明辨也鄭愚伏經世又謂無不到者謂物理來到吾心也譬如請客而客來云爾此大失朱子之意矣蓋人窮物之理而理之在物者旣詣其極則知之在我者亦隨所詣而無不盡矣程子所謂纔明彼卽曉此者正謂是也物理本具吾心豈有來到吾心之理又嘗論中庸戒懼謹獨曰戒懼是兼動靜說謹獨是單就動處說蓋集註於戒懼曰存敬畏云者是無動靜未嘗不戒懼也雖不見聞亦不敢忽云者是雖未有見聞之時而亦不敢忘其戒懼也於謹獨曰旣常戒懼云者申言上文所謂戒懼者是兼動靜也於此尤加謹焉云者始就動之端尤致其謹也其答胡季隨以戒懼屬靜以謹獨屬動者乃朱子初年所見也至於論人心道心則黜羅氏性情之說論心性情意則辨胡氏二岐之惑一以朱子之訓爲主此皆百世以俟而不惑者也又嘗曰司馬公所謂平生所爲未嘗有不可對人言者吾常特守此戒而不敢失也又論東方道學之統以鄭圃隱夢周倡絶學於麗季金寒暄宏弼繼墜緖於我朝而微言未著至道未暢靜菴趙先生光祖以誠明之學任君民之責立朝施設蔚有可觀其遺風餘韻足以聳動百世矣自是厥後間有一二儒賢挺出名世而未見有卓然傳道者退溪先生承群賢斬伐之餘能以興起斯文爲己任沈潛經傳講明義理守一己之謙德牖後學於來世其功言行而無瑕尤措之事業而合時宜出處以正進退以義任繼開之丕責壽道脈於無窮者惟吾栗谷先生一人而已其所以論道學之淵源辨先哲之本末而審於取舍者如此云先生平生不事著述每讀書輒記所疑有經書辨疑近思錄釋疑疑禮問解書疏雜錄若干卷藏于家又有刪定申義慶所編家禮輯覽喪禮備要備要則刊行已久雖遐方委巷無不遵用焉然此書刪定未盡徑先流布先生蓋未善也仍復修改先生歿後又爲追刊故有前後本焉蓋先生平生用力最多於禮學也嗚呼栗谷先生以卓絶之姿應奎躔之瑞不由師傳黙契道妙任斯文之重而倡聖學於世則貴我東晦翁之嫡傳也先生旣承其學得聞大道之要則遂一意擔當銖累寸積自少至老祁寒暑雨造次顚沛未嘗有斯須之間以至於明誠純一觸處洞然明以察其微則太極陰陽萬事萬物之理貫於一而無餘剛以任其重則古今聖賢至德懿行之美備於己而不遺用力之確也雖事物紏紛而不能奪自守之篤雖死生交變而不能移威儀容止之則猶謹於衰暮耆艾之境戒懼省察之功益嚴於幽暗隱微之中工夫日新上達不已至其晩年道尊德盛則渾全完厚崇深廣博不可涯浚冲和之氣達於面背豈弟之意溢於言笑神定而貌莊色溫而言厲動靜語黙徐泰詳緩自然之中成法分明燕居油油樂易多恕及其酬酌事變斷以義理則截然有不可犯者此則淺陋愚昧之可知而可見者也嗚呼先生學已至於高明而勉勉乎如未及見德已臻於純茂而謙謙然如未有得年已踰於八帙而玩索之功日加一日悠然不知老之將至觀於外則可謂安且成矣而測其內則蓋有人不及知而獨覺其進者存焉宜其學成而行尊道純而德備蔚然爲一世之儒宗矣中庸曰有弗學學之弗能弗措也有弗問問之弗知弗措也有弗思思之弗得弗措也有弗辨辨之弗明弗措也有弗行行之弗篤弗措也人一能之己百之人十能之己千之果能此道矣雖愚必明雖柔必剛歷選古今能如此用力以至于成如先生者無幾焉蓋天旣生栗谷於前以高明超絶之資抽關啓鍵洞開道學之源委以日星乎乾坤又生先生於後以篤實踐履之學眞誠積久卒究聖賢之成法以模範乎來裔天之所以生我兩先生以啓我東方萬學之統者夫豈偶然哉易曰智崇禮卑崇效天卑法地抑兩先生之氣衆造詣各有相近者而其於朱子所論二程夫子如文王治岐周公制禮之不同亦或庶幾焉爾後之知德者或有考焉則亦庶乎知斯言之不誣也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그는 조선 성리학의 6대가(大家) 중의 한 명으로 꼽힐 정도로 성리학에 조예가 깊었으며, 위정척사파(衛正斥邪派)의 정신적 지주였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첩관통보류

조선을 침략했던 청(淸)의 연대는 붙이지 않은 사실에서 화이론(華夷論)적 입장을 관철하고 있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조선 시대에는 실직(實職)이 2품 이상인 종친(宗親)과 문무관(文武官)의 경우 그의 부(父), 조(祖), 증조(曾祖) 등 3대(代)에 걸쳐 사후(死後) 관직을 주었고 이를 추증(追贈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조선 시대에는 토지의 면적을 표기할 때 수확량, 파종량, 경작시간 등을 기준으로 산출하여 기재하였다.

상세정보
3262
/164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