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조선 으로 검색된 결과 3262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기자묘(箕子墓) 고대 기자 조선의 시조인 기자(箕子)의 묘로, 평양시 기림리(箕林里)에 있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六伐七伐擊破千艘尸堆京觀血漲波濤輔佐邦命泰山四維功光社稷澤被幼耆公像在堂凜然如生維靈不昧海氛永淸通政大夫前秘書院承安東金寗漢記有明朝鮮國通政大夫行龜城都護府使龜城鎭兵馬僉節制使兼防禦使 贈嘉善大夫戶曹參判兼同知義禁府事五衛都摠府副摠管贈資憲大夫戶曹判書兼知義禁府事五衛都摠府都摠管陳公行狀公諱武晟字士赳號松溪驪陽人也鼻祖諱寵厚高麗膚宗朝虎賁衛大將軍封驪陽君子俊大將軍判兵府事有五男長曰光純大將軍次曰光脩兵部尙書次曰光卿大將軍次曰光儀大將軍次曰光賢樞密府事大將軍光純子湛光脩子湜子温子澕光儀子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愚居安公(學淳)行狀, 節婦孺人梁氏行錄, 沙湖朴公(源鄕)行狀, 希菴梁公(在慶)行狀 卷 24 行狀 : 柏下先生梁公(相衡)行狀, 難窩吳公(繼洙)行狀, 守愚崔公(潤瑚)行狀, 朝鮮逸民植齋奇公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丙申秋居曾王考可隱公遺堂漁樵耕牧之暇乃取感乎, 心發乎情者構詩題歎云, 自述, 中夜無寐起題可隱堂壁上, 慨世吟, 逢玉坪任友, 曉月, 恨此世無與歸, 夜拈, 山樓夜坐, 又題可隱堂, 冒雨過錦山義塚二絶, 憶重峰趙先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여기서는 조선의 국력이 약해 일본에 유린당한 것을 안타까워한 것이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경부

여기서의 순계장은 조선후기의 문신 순계(醇溪) 이정리(李正履)를 가리키는 것 같은데, 이준은 바로 이정리의 아들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첩관통보류

조선후기 우승지, 이조판서, 좌의정 등을 역임한 문신으로 노론사대신(老論四大臣)의 한 사람이다. 시문에 능하고 송설체(松雪體)에 뛰어났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盖承流宣化之責。惟在於方伯守令。而今之按間闑者。無范滂澄淸之志。任字牧者。乏龔黃循良之治。分憂承化。罕見其人。而國計民憂。置之度外。敎化禮讓。視以弁髦。凶年饑歲。野多餓殍。而不振活之方。愚氓悍民。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한편 조선시대에는 매매행위를 대신하기 위하여 작성된 위의 패지 이외에, 궁방에서 수세(收稅) 등의 목적으로 발급한 도서패자(圖書牌子), 관아에서 발급한 관패자(官牌子), 서원이나 문중에서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조선시대에는 문과 급제자의 경우 승문원(承文院), 성균관(成均館), 교서관(校書館) 등 세 곳 중의 어느 하나에 배치되었는데, 박용호의 경우 문과에 급제한 뒤에 승문원의 종9품 말단관직인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조선시대에는 문과 급제자의 경우 승문원(承文院), 성균관(成均館), 교서관(校書館) 등 세 곳 중의 어느 하나에 배치되었는데, 박용호의 경우 문과에 급제한 뒤에 승문원의 종9품 말단관직인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조선시대에는 문과 급제자의 경우 승문원(承文院), 성균관(成均館), 교서관(校書館) 등 세 곳 중의 어느 하나에 배치되었는데, 박용호의 경우 문과에 급제한 뒤에 승문원의 종9품 말단관직인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조선 시대 궁중에서 사람이 죽었을 때 필요한 관곽(棺槨)의 제작과 수선을 담당하던 관청인 장생전(長生殿) 앞에 이 다리가 놓여 있었으므로 '장생전 다리'라고 불렀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조선 전기의 충신으로 생몰년은 미상이다. 호는 서재(西齋)이며, 시호는 충강(忠剛)이다. 세종ㆍ문종ㆍ단종의 3조를 섬겨 가선대부(嘉善大夫)에 이르렀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조선 시대에는 토지의 면적을 표기할 때 수확량, 파종량, 경작시간 등을 기준으로 산출하여 기재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조선 시대에는 토지의 면적을 표기할 때 수확량, 파종량, 경작시간 등을 기준으로 산출하여 기재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조선 시대에는 토지의 면적을 표기할 때 수확량, 파종량, 경작시간 등을 기준으로 산출하여 기재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조선 시대에는 토지의 면적을 표기할 때 수확량, 파종량, 경작시간 등을 기준으로 산출하여 기재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그러나 조선 후기로 갈수록 대개 요용소치(要用所致)나 절유용처(切有用處) 등으로 간략히 기재하는 경향이 나타난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조선 시대에는 토지의 면적을 표기할 때 수확량, 파종량, 경작시간 등을 기준으로 산출하여 기재하였다.

상세정보
3262
/164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