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省記 으로 검색된 결과 2075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一見先生器重之。 盛加啓褒。 甲午遭母夫人喪。 喪祭一遵家禮罔愆。 己亥孝廟昇遐。 先生又奔哭而歸。 顯宗初服。 詢問草野士流奔哭者。 廟堂揀八賢以奏之。 先生亦其一也。 仍付軍啣不就。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本來如此,故爲其"功業爲重而不計道義"【此九字,先師嘗斥震泳語】也,則不憚冒錄師銜,投諸不測之地; 爲其防人口而脫己罪也,則不憚誣先師以認敎; 爲其報人討罪之憾也,則不憚禍同門於完檢; 爲其刊師稿而成己功也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一見先生器重之。 卽褒啓先生。 然時黨同伐異之風甚。 下及委巷士庶。 亦莫不覘人一動一靜。 以爲向背毁譽之候。 而先生吹噓適出於龍洲趙公絅之手。 由是人多猜惡。 始欲訾毁先生而不得說。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生氣不平。 進藥物。 謂家人曰。 "來日上元。 敬備牲酒。" 令子女奠于祠堂。己巳。 先生扶病夙興。 整冠危坐。 以候祭祀之頃。因命"吾死後。 勿書乙巳以後官爵。" 翌日庚午。 疾革。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蓋由不知氣質之性只是此性墮在氣質之中, 故隨氣質而自爲一性, 正周子所謂各一其性者. 向使元無本然之性, 則此氣質之性又從何處得來耶?〕"라고 한 일성(一性)을 가리킨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內洞院村金永化 扶安人 辛卯生 德林里金先益 義城人 丁亥生 上西面 油洞里長子三友堂子孫也 義城人上西面 蒼水洞婿金在哲金慕齋先生播種大忌也后稷諱辰日子父母妻忌日耕作犂丁亥丁未乙巳癸巳 甲寅右五日은崔聖基網巾工匠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二首, 己卯三月小晦與尹子仁(在麟)發冠山行金生俊基從之, 宿魏氏長川齋, 天冠山, 別白璿一(亨璣)及冠山諸友, 宿尹子仁水東世庄, 眉山埠泛海, 萬德山二首, 月出山, 送別梁而見(會龍), 憩上見性居僧進茶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成忮克之風也。曰渠本無見處。被人所動了。十月朝廷以儒臣筵薦。除肇慶廟參奉。先生曰匪據。不就。俛宇郭丈自京下。以書來曰。朝廷方三遞。而三還付本職以待上來。又曰出身事主。由此權輿。不可以不一出。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老先生其人也。雖然若先生之門。未有公則千古不傳之訣。一心獨得之妙。幾於卷而懷之。無可告語。而此可謂千載奇遇。觀其平生。無小小出脚。可以指議。而超然遐擧。始終無累者何人。千辛萬苦。極其揶揄。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그러나 조조가 찬탈 의사를 비추기 시작했으므로 후한(後漢)을 유지하겠다는 정치적 이상을 가졌던 순욱과는 자연히 틈이 생기게 되었다. 212년 50세에 손권(孫權) 정벌하는 데에 조조를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미양(微陽)을 길렀다 미양은 곧 동지에 일양(一陽)이 처음 생기는 아주 미약한 양을 가리키는데, 그것을 안정시켜 기른다는 뜻이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則指本然性氣質。磨礱在於習字中。四箴結句。按陶菴曰克己復禮一句。雖獨言於視箴。實包含得三箴意。愚意非獨此句爲然。四箴結句。皆互換看恐當。有道者之言。按以小小恩怨而欲其分明。非循其當然之道。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高秉賛 【字聖弼濟州人】 道岩壯洞吳秉燮 【字太三平海人】 郡東安池 李珍默 【字 原州人】 金塘李炳玉 【字 光山人】 扶蘇 崔寬洪 【字成基全州人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先生十九歲】 先生旣長, 而判書公猶趁日課業, 如童子時。十二年甲申。【先生二十歲】 七月, 與金廷叟、金伯厚會讀于衿陽精舍。先生刻志勵學, 與兩金公講貫, 有《文會錄》。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人心未結, 則雖有可勝之勢, 固不得成其功, 況我國家, 時無可勝之勢乎? 然則爲今之計, 莫急於回天意結人心而已. 何以則感回天意耶? 嗚呼! 蒼然於上者天也, 眇然於下者人也.

상세정보
2075
/104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