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省記 으로 검색된 결과 2075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破屋雨中, 之桐谷, 遊玉溪, 校理遺墟, 恨賦, 牧隱墓, 論介碑, 扶餘, 三溪, 偶得, 屹然臺, 霽峰碑, 錦谷墓, 挽錦谷, 稚子讀孝經, 校錦谷, 和肅齋 附韻, 大明錢, 次肅齋, 先生示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당나라 때에는 전성기를 누린 고종이 있었는데 선제의 실상과 맞지 않습니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그런데 고명은 옛 사람처럼 함께 동거했던 친족이면서 벗으로서 함께 모여서 학문을 강습한 우의가 성기지 않았는데, 10여 년 동안 한 마디도 경계하는 말을 하지 않았습니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不動聲氣。故每有施措之事。始或莫能知之。而終服其雅量焉。嗚呼有本者。固如是夫。公早颺榮途。而不以得喪經心。恒有超出萬物之表之意。嘗曰七尺之眇小。而胸衿不可不大。大吾胸衿。則納納之乾坤。茫茫之宇宙。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비(比)・려(閭)・족(族)・당(黨) 향리(鄕里)의 이웃끼리 결속하여 어려운 일이 생기면 서로 돕도록 한 제도를 가리킨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初十日辛酉晴曉發梁井甫朝飯于參禮驛館秣馬于金堤東院夕飯于朴膺明善家九惕來迎矣宿于東津奴千守家是夜雨十一日晴而風自東津發行路逢崔濱崔沫于蘇堤止遇蔡弘淵于彥實家前又逢成彦章于從政池上各叙阻懷謁于先塋歷見娣氏遂到家子武叔主及李信孝南成己朴元哲宋得成李衢李衡舍弟昌童等來見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체수(滯祟) 먹은 음식(飮食)이 잘 삭지 않아 생기는 병의 빌미를 말한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主上蒙塵敢不竭忠卽赴安州之戰唐將年承椽奇其忠義使當劉興致一面冒刃力戰遂立勳功殉節壬申三月日也家人招魂而葬事聞純廟乙丑 命旌閭 贈童蒙敎官夫人完山李氏守光女也聞夫戰亡招魂返葬以二歲幼兒托於家叔曰孝於父母忠於國家丈夫之當然也生居一室死歸同穴婦人之所願也卽自決同旌閭縣監尹定鎭紀行狀繡衣成思默有詩讚忠烈領相申應朝記重修文事載節義錄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性氣溫仁。左右趨諾。承順如流。不戲色不暴怒。坐必端直。行必安詳。蓋其天稟然也。六歲遭王考喪。朝夕饋奠。必參無闕。見同學有飢者。必邀至家。同案共食。見隣里有飢者。歸告父母。俾有所恤。每深夜讀書。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興陽人良景公堰后】宋學濟【礪山人字和仁忠剛公侃后】宋基聖【礪山人字俊洪忠剛公侃后】孔世淙【曲阜人字善進孤山{亻+急}后】宋大榮【礪山人字子彦忠剛公侃后】申寅植【高靈人字采玉池亭汝極后】朴瑛鎭【珍原人字性琪葦南熙中后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吳珵煥【寶城人字誠益號竹巖 贈工判天錫后天性至孝親喪廬墓工於詩文壽階嘉善】宋柱俠【礪山人字君彬號栢坡忠剛公侃后姿品溫厚才藝純粹學高德博言直行邃人皆敬服】柳永道【高興人字成汝主簿忠信后天性純和事親極誠居喪遵禮言必履行學必實踐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 의심처를 읊조리다[疑吟] 동지시(冬至詩) 정규 윤문을 만나서[逢正奎允文] 우성일율(偶成一律) 하서선생이 문인에게 준 싯구로 인해 지음[河西先生示門人句韻而成之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凝道是成己上說。達道是事上說。行道是身上說。克伐怨欲。須從根上除治。其除治功夫下手處。在於未發時耶。已發時耶。端本淸源之功。固在於未發時。而制之於外。以安其內。則端本淸源之功。亦不可謂不在於已發時矣。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東化面龍亭里金鍾德【字昌鉉 丙子生光山人】 金壹百圓 珍原面高山里鄭煕鍾【字 號柳下生甲申晉陽人】 金五百圓 河東郡良甫面桶井里鄭伯鍾【字 晉陽人】 金五百圓 桶井里崔學林【字炅來號鳳南生己酉全州人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而謂之生氣死氣者何也。曰生者陽氣也。死者陰氣也。指出處曰。此亦火氣。通則溫氣生焉。不通則冷氣生焉。孰非氣也。稺倫問潮汐曰。高麗李奎報有詩曰。一免三龍水。三蛇二馬時。羊三猿亦二月黑復如斯云。稺倫問氣曰。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三首挽趙省菴【愚植】贈別金春章【正彩】二首己卯三月小晦與尹子仁【在麟】發冠山行金生俊基從之宿魏氏長川齋天冠山別白璿一【亨璣】及冠山諸友宿尹子仁水東世庄眉山埠泛海萬德山二首月出山送別梁而見【會龍】憩上見性居僧進茶鳩林海別諸友舟行至木浦儒達山別趙敬華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그리고 「증병조참판상주리삼억제문贈兵曹參判尙州李三億祭文」, 「남원관류촌 오생기상 방여여우 비설기조언주【호호암운】실행 색여일언료부근체이증지南原官留村吳生基常訪余旅寓備說其祖彦宙【號壺庵云】實行索余一言聊賦近體以贈之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寄李小山回甲晬席, 羅德巖搬移後, 謹呈林西湖, 謹次李敦亨櫟窩韻, 次鄭敏采田荷韻, 次李鐸憲南坡亭韻, 和金國衡鼎溪韻, 三山與松沙同賦, 用寄松沙韻呈石叔, 題羅氏新洞齋, 次羅進士松石軒韻, 和愚堂李敦晟寄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이는 옛날 부친과 형님들을 모시고 즐기던 일인데 오늘 내가 자제들과 친구들을 데리고 놀았으니 슬프고 애도하는 감정이 생기지 않을 수가 없었다.▪11월 8일 맑음내일은 선군의 기일로,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於是, 公兄弟奉議鶴峯, 營建書院於城西大谷洞, 以寒暄 一蠹 靜菴 晦齋 退溪 五賢, 竝享之, 欲爲士林模範之, 所功未及, 訖鶴峯遞歸, 任公允臣來, 代之踵成其事.

상세정보
2075
/104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