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省記 으로 검색된 결과 2075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生氣稟。理有善惡。此箇理字。當以合字意看。非謂理本有善惡兩箇也。客曰。孟子曰。存其心養其性。又曰養心。莫善於寡欲。又曰善養吾浩然之氣。養性養心氣。同一節度歟。養氣之說。何以而謂有功歟。余曰養性。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性只是此氣之不得不然處也。如無此性。木何以曲直。水何以潤下乎。無成性。非是無性之謂也。如土之性信也。而只是眞實爲仁。眞實爲義。則信在仁義上。在禮智亦然。此所謂無成性也。允深所謂本然之性者。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慶州人字善敬號鳳山文貞公長壽後駿錫子丙子生稟質雄偉樂善好義設私塾延德行之士敎子使不馳騖於世程至于今多稱道焉】鄭洛鉉 【字春甫河東人景烈公地後在贊子 高宗戊寅生天性純厚處事明敏盡誠事親交友擇善敎子義方人皆矜式】許銓 【字成基號雪岡詩山人繕縫監役緝後天資純厚言語執中昆季友愛家規有節不謀榮利不喜奢飾樂善好義淸儉自持累世爲先盡心竭力咸稱善行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허백(虛白) 《장자(莊子)》 〈인간세(人間世)〉의 "빈방 안에는 흰빛이 생기고 거기에는 좋은 징조가 깃든다.[虛室生白, 吉祥止止.]"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生旣獨子無兄弟。時年才十八歲矣。平生以爲至痛。常曰吾賦命奇薄。遭喪不能盡吾心。天地間一罪人也。不如爲農圃以沒世。因寓居南平之先墓下。扁其堂曰明農。自號南圃病逸。潛心聖賢書。有會心處。輒書之冊。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生奇遇。孰踰於此反勝金剛八景之遍也。乙酉登竹西樓。樓在眞珠觀。【三陟古號】衙西一帿。地壓絶壁。壁底有溪縈廻紺碧。復有白沙彎環如玦。川外衆巒。屛錯畫列。蓋溪自五十川含流匯於前。前左巖石蹲踞交錯。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伊川平生只拜二人。此禮恐不可從方三拜朱萬拜拜豈有定例其間高下曲折栗翁說未嘗不遵余則以泛愛衆親仁爲本甫踰一甲或數三歲或未滿已齒所尊敬有德義服人者。無不拜之。客到雖年少。必下階迎送。退陶此禮甚是中節處。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朱子謂: "生其世,必事曹操。" 此則又無言語文字之失,而只因一時不審之致,遂爲萬世莫改之罪人。只此寃恨可於何處訴屈也? 兄將不以朱子爲己甚耶?文聖甫謂: "不言之敎,不當書而書。"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爐 李忍善 【錦城巿松峴洞】司 尊 許鎰萬 【錦城市三榮里】奉 爵 尹炳祥【咸平郡大同面玉洞】奠 爵 黃義哲 【老安面安山里】贊 引 魯炳祚原乙丑二月十九日獻 官 鄭成基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生起坐曰。士弘乎來。凡科宦。孰不欲。雖至愚者欲之。至奸者欲之。能安分竢命者。其惟哲人乎。向也予言淡淡而吾言似謾沖起。心有所不安。故復告賢也。對曰。非安分竢命。自知所持者挾。不足以耀人眼目。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태극(太極)에서 음(陰)과 양(陽)의 양의가 생기고, 양의에서 태양(太陽)·소음(少陰)·소양(少陽)·태음(太陰) 등 사상(四象)이 생긴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咸平人 進士好仁后】金 瀞 【字 號 人】尹光祿 【字邦彦 號 坡平人 怡性榮商后】金一海 【字士洙 號 商山人 忠簡公德生后】李基祖 【字 號 咸平人】沈聖基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鄭以彪 【字應七 號 晉州人 市槐晉燁子】金龍海 【字乃明 號 商山人 沃海從弟】鄭{氵+桓} 【字達浩 號 晉州人 齊漢子】李鎭權 【字 號 人】安廣魯 【字聖居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性氣溫良。一事兩庭。庭無間言。嘗恨嚴庭早世。未及承顔。追遠事亡。極其哀誠。侍慈幃。色溫氣和。承順無違。家事巨細。必稟而行。己未委禽于礪山宋氏之門。女士好逑。極有內助。乙丑生考違世。季父諱在杓。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侍中琢后夏信安兵部尙書利川徐鱗后德洙妻生廳紀四二五八年乙丑年十七于歸孝舅姑敬君子寬而溫仁而慈於婦道無缺其夫有疾輿致醫藥扶救百方惟誠是殫奈天不佑竟至不救夫人哀號擗踊屢絶屢甦矢以下從家人知而尼之夫人擧目喉語曰妻之於夫所天所天已崩生亦何爲家人百端設諭曰夫子血肉布襁無他兄弟可依君今如是則遺孤疇依疇托夫人迺幡然改悟强起將事歛葬以禮之終三祥勤治產業孝奉舅姑義敎遺孤梗至成立家戶漸昌鄕里親戚莫不稱歎鐵治大洞中及羅州郡守並南平鄕校表彰重重焉】密陽朴氏【奇平女全州李任煥妻檀紀四二五七年生在父家婦德夙著嫁事舅姑益謹敬君子如賓性嗜酒常有家釀不絶外內雍睦宗族靡不稱善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誠其意則心自正。 心正則身修。 身修則道自立。 三綱五常。 百行萬事。 皆天理自然也。 非人安排。子朱子曰 '元亨利貞天道之常 仁義禮智人性之綱'。人於性綱。 函養而省察。 觸類而長之。 道在其中矣。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而但恨先慈平生一順嚴姑之志, 甘毳之役白首未懈, 未嘗一日坐享諸子之奉, 姑歿之後, 又遽從而歸, 雖先慈誠孝極至, 生旣盡心於人世, 沒又終養於地下, 然其在小子慟迫之情, 窮天極地, 而豈有盡哉?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性旣不存於此。則獨可存於彼乎。所性者。千萬人皆同。地分者。千萬人皆不同。不同故所性不存。而因其不同。又莫不各有當行之道。不爲此嗇而彼豊。何必捨此而慕彼哉。游氣何氣也。以天地陰陽之氣爲主。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欲誠其意者, 先致其知, 致知在格物.]"라고 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金鎭炫【金海人字順弼島城君完后】金基正【金寧人字相振敦寧公遵后】鄭永太【慶州人字俊珉老松知年后】申相均【平山人字俊彦文僖公漑〖槩〗后】宋柱僖【礪山人字允仲生員思權后】宋永淑【南陽人字允集杏亭公寅后】陳聖基

상세정보
2075
/104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