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조선 으로 검색된 결과 3262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조선시대에 사용된 문서의 일종으로서 전답 등을 매매할 때 위임장 역할을 했던 패지, 궁방에서 발급한 도서패자, 관이나 서원 등에서 어떤 사안에 대한 처리를 지시하면서 발급한 패자 등이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심의(深衣) 조선 시대 유학자들이 입던 옷으로 머리의 복건과 함께 착용하였다. 흰 비단으로 소매를 넓게 하여 옷깃, 소매 끝, 옷단에 검정색 선을 둘렀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부수(副率) 조선 시대 세자익위사(世子翊衛司)에 속한 정7품 관직으로 좌부수(左副率)와 우부수(右副率) 등이 있었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본 문서가 작성된 때는 일제 강점기지만 토지 면적을 표기하는 방법은 여전히 조선 시대의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관리들에 대한 규찰을 맡았던 사헌부는 국왕에 대한 간쟁(諫爭)의 기능을 행사하였던 사간원(司諫院)과 함께 대간(臺諫)이라고 불리우며, 조선시대 왕권과 신권을 조절하는 중요한 역할을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추모동이라고도 하였는데, 이는 조선 숙종의 계비 인현왕후가 태어난 터에 비석을 세우고 그를 추모했던 데서 붙여진 지명이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여기서는 전주가 조선 태조 이성계의 선대가 살던 곳이므로 패풍이라고 한 것이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태평동(太平洞) 서울특별시 중구 남대문로4가・북창동・서소문동・태평로2가에 걸쳐 있던 마을로서, 서소문동에 조선시대에 중국 사신을 머물게 하고 접대하던 태평관이 있던 데서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庚申正月十六日夜夢看一異人卜余行藏得重乾初九初九卽潛龍勿用覺而恠之又占其夢得風山漸之山地剝九三鴻漸于陸夫征不復九五鴻漸于陵婦三歲不孕此亦夢中所占大意一般往在丙辰之十二月十二日曾夢是人寄余以書曰安履仍默中心穆裕以道爲道人欲爲欲云云卽今思之其亦潛龍勿用之意前後之夢了然相副況余占得剝卦敢不自誡作賦以申其夢賦曰藐離群而屛處兮何所思之多方感時序之流遷兮懼身名人未彰維經國而弘濟兮固非余之所期彼縻跡於抱關兮豈非爲貧而爲之矧吾人之微陋兮焉不勞而有獲私揆擬而然疑兮殷虞憂之交集心煩勞而不聊兮就衾幙而自息空館閴其無人兮夜凄淸而多寒獨展轉而陫惻兮廓抱影而潛身中鬱鬱之無解兮嘅御懷而告誰忽神悴而意怠兮晻寢寐而遂迷精飄翳而上浮兮迺亢乘而遐躋路崎嶇而低仰兮指淳芒之婓婓雲霧暝其泄雨兮雜風颷而晦微悵攬轡而顧慕兮念前路之良難若有矗余以淹留兮翩下翔乎來延倐矯首而仰眺兮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이 문서는 조선시대에 작성된 대부분의 명문들이 착명(着名)으로 서명한 것과는 달리 인장(印章)을 찍고 있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그러나 조선 후기로 갈수록 대개 요용소치(要用所致)나 절유용처(切有用處) 등으로 간략히 기재하는 경향이 나타난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조선 시대에는 토지의 면적을 표기할 때 수확량, 파종량, 경작시간 등을 기준으로 산출하여 기재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조선시대의 관직 임명 절차에 관한 규정을 보면, 4품 이상의 임명장은 왕이 직접 내주었지만, 5품 이하의 임명장은 왕명(王命)에 따라 해당부서에서 발행하도록 되어 있었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한편 조선시대의 관직 임명 절차에 관한 규정을 보면 5품 이하의 관직임명장은 왕명(王命)에 따라 해당부서에서 발행하도록 되어 있었다. 4품 이상의 관직임명장은 왕이 직접 내주었던 것과는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이 용정리는 조선시대에는 남원에 속했지만 지금은 임실 관내이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조선시대의 관직 임명 절차에 관한 규정을 보면, 4품 이상의 임명장은 왕이 직접 내주었지만, 5품 이하는 왕명(王命)에 따라 해당 부서에서 발행하도록 되어 있었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有室然後人可以庇親眷耕織當有僕出入宜有御而此皆富而後可能者也宜乎衆人之所欲不期而同於富也然而君子者恒不取於彼也寧疏食布衣而安焉寧負米躬耕而樂焉語富利則若將凂焉夫何咈人之性若是其甚耶東方素稱君子國而亦多以富稱焉者其果盡非君子之人歟聖朝崇儒重道之化超軼前古宜其士皆君子貧不閔富不淫廉耻之化成介潔之風敦可以肅朝紀警末俗而奈何近年以來擧世厭貧趍富比古尤甚立朝則專求利吾家爲士則專求利吾身利目互瞬貨拳交奪勢將淪胥爲漆黑世界富而汨人敗俗果若是之甚也則聖經賢訓何其有往往拈說如彼耶抑富之中有可不可而其所爲富者有同不同歟諸生富於窮格想必有多積而厚發者幸體以隣之義以塞相獎之望焉問天道之可驗而見者惟日月星辰是已日之行宜由天中而必側轉于南方者何歟月之行宜與日同而必分列于九行者何也經星爲天經躔次不忒緯星無恒躔行止無常者何也日月之出入其果由地底而升降耶星辰之昕夕其果與日月而同道耶物無純陽純陰之物日爲陽精而純於陽歟月爲陰精而純於陰歟星辰又是屬於陰歟屬於陽歟夏至之日近北而熱冬至之日近南而寒者何也日月皆麗天而行而冬夏有短長之殊者何歟晦朔有朏魄而異者何歟星辰與日月幷麗而其考驗偏於南方者何歟其樞極偏於北方者何歟日光之受日誠有似矣而賓理難詳日爲陽精古有說矣而明從何生星之有光其自光歟抑有受歟月中山河影推理以說而日若由地邊若羊胛之說則安得若是其均圓照射歟星辰分九野椎驗不差而地有南北之異星當順次序而何若是其雜錯無倫歟星辰降精而生者人死則星隕而日月有時乎呈祥於生人矣何其未聞隕落之異歟均一氣也而日月有遲速何歟同一物也而衆星之有殊色何歟日爲火精而出入由水方其行也水何不克月受日明而弦魄互變方其晦也明皈何處月而日望則宜日益明而日反薄者何歟日月有翬有冠有珥或兩或盈星辰之有彗有孛有流或鬪或搖何歟大抵難知者天道也以理推之只知其所當然而不知其所以然以器驗之但見其合度未見其本體然則茫乎難詳似不可測而其災祥符應如影如響有如先儒之說其果人事之上格於天歟天道之降際於人歟其或當災而無災不當災而有災者何理歟惟我東方偏在日出是號朝鮮則三光之光宜有異於他方考驗之法亦當密於衆耶邈矣三國災祥互異而數千里之內天道之有此差殊誠莫可倪逮我聖朝旣勤欽若之道亦精曆象之器國初制仕超軼前古列聖相承體堯舜敬天之心徵蕫劉考驗之傳仕配天命罔或差忽宜其日月無災星辰無祲以兆億萬年無疆之休近年以來災異畓臻司天之奏不日不歲聖上軫憂實兢實惕豈天道之失常歟人事之所招歟吾之所以應天有不能盡其實歟諸生窮格之餘必有所得其各悉著于篇問經曰天道福善禍淫以其理則誠似矣然自其已然者而觀而不惟不必然而已禍福每每相反以堯舜之大德有子不能世其家是亦可謂福歟以瞽鯀之頑囂有子而得爲天子父是亦可謂禍歟文命之大功而其孫失國成湯之大德而國統屡絶二聖之福何其不遠歟飛廉之孫終爲秦趙大國昆吾之後永爲北方戎覇二惡之禍何其無徵歟聖德莫尙於周公而慘忍之禍遽出於同氣重仁孰如乎文武而膠沈之殃猝於發其孫祗見德逾大禍逾暴烏見其福耶顔淵早矢伯牛病癩二子果不足於善歟盜跖壽終夏姬三少兩人不足於惡歟降自秦漢以後禍福尤不可常如漢之蕫賈蕭劉東漢之黨錮諸賢唐之退之眞卿兩宋之黨人夷論其德則雖有分數然俱應不在禍淫之科而只見其禍而不見其福如漢之張杜恭顯東漢之北寺諸姦唐之李逢吉盧杞兩宋群凶槩論其惡則雖有大小然俱應不在福善之科而福則溢門而禍不盈眦其中非不無禍福之相償然語小人之福則終身逸樂有若天助而神佑或其死之日不免君子之所同而猶有緩而少者語君子之禍則沒身困厄有若天懟而鬼讁或其一節之小康小人所倍而竟無終其吉者若乃細論今古慈惠廉勤淸直文行小小之善不一其科而善一分禍一分姦貪狠愎詭譎讒侫小小之惡不一其道而惡一分福一分如符左契無一或差天道之不可諶何若是其甚歟君子求其說而不得或諉於理之變或諉於世之亂何其自唐虞以后常變而無一時之或正怕亂而無一代之或治歟或者以小人之富貴不謂之福而君子之窮厄不謂之禍焉若然則洪範福極之分果非歟吾黨之論回護天道曲演其說至於禍小人之福福君子之禍呫呫然自慰而誘人則其孰肯捨千古瞭然之耳目而信彼蒼蒼於定不定之間哉大抵有所勸然後善可以自勉有所懲然後淫可以知戒而天之勸徵旣如彼反常則人之自謀宜乎趍德而避禍無怪乎爲惡者日衆而爲善者日寡也雖然使吾人但求其福而欲爲其惡則有所不忍而決不可爲也自强爲善而兼求免禍則有所不堪而終不能免焉嗚呼唏嘻其將捨天而從人乎亦將修人而待天乎近年以來禍福之理尤以乖舛茫茫然立於宇宙之間竟不知吾所適從學善君子其必有與我同志者苟有格知天人之際禍福之說者願勿靳示諸掌吾當以書諸紳問經學之廢久矣學莫貴於經學則習之者多如牛毛而專之者少如獜角者其故何歟先儒云秦人楚經而經存漢儒箋經而經亡經學之弊豈由於箋註歟九師興而易道隱三傳仕而春秋散齊魯韓毛起而詩殘大戴小戴出而禮息經學之弊或由於派分歟五經六經九經十三經名何時增補可歷言歟賈逹石經子貢詩傳申培詩說何人之贅仕而可歷指歟匡衡解頤而無賴於實用劉歆通經而反慙於躬行經學果有眞僞歟皐夔無書可讀而能佐虞庭之治荊公平生說禮而釀成煕寧之禍經學亦有不足貴者歟庸學之表章已自是端而章句則曰實是兩程經序之源流的有程訓而序辨則曰漢儒傳會分金秤出之權衡何所取證而垂訓如此歟名物度數詳於漢而濶於宋天人性命詳於宋而濶於漢豈古今之專門各有所主歟三江碣石千古之疑案而尙在栢舟子衿兩書之定論相舛學者將何適從歟武成之二三策言出於亞聖中庸之未受命義戾於金縢經固有不足信者歟鵝湖講說使人涕下而死不兌告子之誚江西頴悟爲世宗儒而至今被異端之目經學若是難歟大抵聖作爲經賢述爲傳學之者將以爲聖爲賢也天德王道自此而立繼往開來賴此而施反乎此則老也佛也昧乎此則愚也不肖也彼以博物爲能詞章爲工者硜硜哉槩不須言雖標高揭已反許以直正儒者奈何吃吃於註家之同異字義之誥訓新書之盈箱堆案苟作非免園夫子熟爛爛陳言則要皆李贄毛奇齡軰詆謁穿鑿之說於是乎學歸空言僞喜矯餙聞其語精義入神而考其實灑掃應對之不掩經學之廢非一朝一夕之故雖然通復有時屈伸有待道統之不絶如綫今幾年所幸値我聖明在上文敎蔚興所以潛硏燕濩之中體行於施措之際者燠然是六經之宏謨偉烈則士生斯世沾偃草之化而卒未窺六經之籓籬凡民之不齒況乎豪傑云乎哉至於玆土尤有異焉名德輩出絃誦洋溢茫茫墜緒猶可及尋而今日又舍莱先聖配食先賢之日也一變至道之策與諸君子講之此其時宜然何以則戶皆尊聖人皆知學不但以口耳而必以方寸不但以勦襲而必以實得使十室忠信名物則可繼孔孟之緒義理則可接程朱之統歟願於下車之初先問興之方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李公甚敬重焉舟師天將之來也李公請公來待甚懇天將季金亦儒將雅善文聞公名因李公求見一見歡如平生每朝暮相會待以殊禮篇什相和稱譽不已蓋公之擧義敵愾素所蓄積故贈別季爺有此時帷席敢求安之詩皮游擊承德亦得公詩文筆法極其歆歎因言所住在廣寧路上他時朝天有日必賜相訪且語海南倅曰願備大筆使我歸路多得白某筆法而去一日統相簡于公曰昨日游擊曰白進士送人致情多謝多謝乃知朝鮮儒林信厚鄭重也不勝佳譽歆歎不已爲國家亦有光焉是歲十二月二十六日公獻壽於母夫人宗族賓客皆賀曰亂離中壽親之備如是之盛也又於歲除日爲行元日祭不憚敵陣在近騎牛往先考墓踏積雪踰峻嶺翌日行祭如平時齋宮山僧輩亦喜賀焉蓋公誠孝出天故雖亂離奔竄之際能如此海南倅念公無馬許以官馬代步且送魚鮮俾供親廚中國人在天將軍中者與公書略曰八載辭家首丘念切風便長發不及勉從諸君之留淚落靑衫曷勝悽愴況萬里天涯握手無期則又不覺神之傷也余所望于曰君者不淺願一展丹山之翅高鳴盛世翼彼黎民則庶不負余之望矣更惟留意焉四十三歲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朝鮮本叢爾小國也。縱有德帝。豈易乎。曰。古有以百里起者。以若堯舜禹之聖德。不過數千裡。我邦雖小。三面際海。北連沙漠。殆六千餘里土地。魚鹽冠帶衣履。此足以王天下。且在德不在小漢。南歸者四十國。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朝鮮逸民以書之。精神炯然不亂。卽辛未六月二十一日也。以其年七月日。葬聳珍艮坐原。門人環絰者七十餘人。會者四五千人。配。商山金氏。士人興澤女。墓在永思齋後麓坤坐原。生一男三女。男。憲洙。

상세정보
3262
/164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