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심경부주 으로 검색된 결과 191건입니다.

정렬갯수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心經附註)》를 저술하였다.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心經附註 卷4》 상전(桑田)이……변화 창상지변(滄桑之變)의 준말이다.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心經附註 卷2 禮樂不可斯須去身章》 이미……성찰하였네 행동을 절도에 맞게 했다는 것이다.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心經附註》 벼슬하지……것이다 자로(子路)가 세상을 버리고 은거하는 노인 하조장인(荷蓧丈人)에 대해서 "벼슬하지 않는 것은 의리가 아니니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심경주부(心經附註)》 〈경이직내장(敬以直內章)〉에서 윤돈(尹焞)이 "경이란 마음을 수렴하여 한 물건도 용납하지 않는 것을 말한다.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心經附註 卷2 正心章》 요부(堯夫) 북송(北宋)의 학자 소옹(邵雍, 1011~1077)의 자이다.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心經附註 卷3》 두려워 벌벌 떨고 원문의 '곡속(觳觫)'은 두려워하는 모양이다.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心經附註 卷3》 포옹(圃翁) 정몽주(鄭夢周, 1337~1392)로, 그의 호가 포은(圃隱)이므로 이른 말이다.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心經附註 卷1 易 閑邪存誠章》 답변 질문은 싣지 않고 답변만 실었다.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천만 명……한다 《심경부주(心經附註)》권3 〈우산지목장(牛山之木章)〉에 나오는 허형(許衡, 1209~1281)의 말인데, 남을 따라 동요되지 않고 언제 어디서나 자기 주체성을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심경부주(心經附註)》 권1 〈경이직내장(敬以直內章)〉에 정이(程頤)가 "주일을 경이라 이르니, 안을 곧게 한다는 것은 바로 주일의 뜻이다.[主一之謂敬, 直內, 乃是主一之義.]"

상세정보
191
/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